[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조지아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100%]] || ||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br]''{{{#fff კორეის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ა}}}'' || [[조지아|{{{#fff '''조지아'''}}}]][br]''{{{#fff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 [[한국어]] : 한국-조지아 관계 [[조지아어]] : კორეა-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ურთიერთობები [목차] == 개요 == [[한국]]과 [[조지아]]의 관계. 조지아는 [[소련 해체]] 후인 1992년에 한국과 공식 수교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두 나라는 [[1992년]] 수교하였다.[* 조지아는 [[북한]]과 [[1994년]]에 수교하였다.] 1990년대에 한국과 조지아는 수교했지만, 당시에는 교류가 미미했다. 처음에 독립했을 때엔 러시아어 명칭 그루지야로 불렸다. === 21세기 === 한국과 조지아의 관계는 90년대에는 교류가 적었고 가는 사람들이 적었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교류가 많아지면서 양국관계가 활발해지고 있다. 2007년 10명, 2016~2017년에 100명을 돌파했다. 2008년에 조지아 정부가 [[남오세티야 전쟁]] 시기에 러시아와 전쟁을 치르면서 자국을 그루지야 대신 '조지아'로 불러달라고 한국에 요청했고 이를 한국 정부가 수용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비자 없이 한국인의 무비자 입국, 체류가 가능한 국가들 중 하나다. 그 중 체류기간이 굉장히 긴데 최장 '''365일''' 동안 무비자로 체류가 가능하다. [* 이 엄청나게 긴 무비자 체류기간 덕분에 이론적으로는 무비자로 [[귀화]]도 가능하다. 귀화 전 [[영주권]] 필요 없이 도합 10년 이상 거주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귀화를 하든 안 하든 생활에 큰 영향은 없다는 뜻도 된다.] 웬만큼 한국과 비자면제 협정을 맺은 나라들이라도 대부분 90일이나 60일, 또는 30일에 그친다는 걸 감안하면 굉장한 조치다. 1년 동안 비자 없이 체류가 가능한 외국은 사실상 조지아 밖에 없는 셈이다. 2018년부터 옆나라 [[아르메니아]]도 한국인에게 180일 무비자라는 널널한 기간을 주게 됐지만[* 사실 180일 무비자도 세계 대부분 국가들과 비교해 엄청나게 긴 것이고 관광객 입장에선 거의 무제한이나 마찬가지다.] 여전히 조지아의 365일에는 못 미치고 있다. [[2010년대]]부터 조지아의 빼어난 경치와 관광지들이 한국에서도 입소문을 타면서 조지아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지아 여행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관광 책자들이 출간되고 있고 [[http://www.trave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044|인천국제공항발 조지아행 관광 전세기도 취항]]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조지아 관광청에서 [[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ilovegeorgia|한국어 블로그]]를 개설했고, [[2019년]] [[https://news.v.daum.net/v/20190804080108283?f=m|대한민국과 조지아의 항공회담]]이 열려 한국과 조지아의 직항 항공노선이 개설될 가능성이 커졌다. ~~[[코로나19|그러나...]]~~ == 문화 교류 == 처음엔 교류가 적은 편이었지만 2010년대부터 조지아에서도 한류 팬들이 생겨나고 있다. 그리고 적지만 [[한국어]]를 배우는 조지아인들도 있다. 전술했다시피 한국과 조지아 간의 항공회담이 2019년에 개최되면서 양국간 노선을 개설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에서는 [[조지아어]]를 배울 수 있는 책들이 적지만, 조금씩 발행되고 있다. == 대사관 == 현재 조지아에는 [[주조지아 대한민국 대사관 트빌리시 분관]]이 [[주아제르바이잔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분관 형태로 운영중이다. 조지아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조지아 국민은 대한민국 입국 시 사전 비자가 필요한데 중국인, 동남아인, 중앙아시아인등과 마찬가지로 비자 발급 난이도가 상당히 까다롭다. 오히려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솅겐지역 및 유럽연합 국가를 여행하는 것이 훨씬 쉽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조지아/외교]] * [[주조지아 대한민국 대사관 트빌리시 분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캅카스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지아/외교, version=28, paragraph=2.1)]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조지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