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수단 공화국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جُمْهُورِيَة كُورِيَا}}}'' || [[수단 공화국|{{{#fff '''수단 공화국'''}}}]][br]''{{{#fff جمهورية السودان}}}'' || [목차] == 개요 == 한국과 [[수단 공화국]]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1977년 4월 13일에 수교하였으며 2011년 [[남수단]]이 공화국으로 분리독립한 이후에도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수단 공화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은 48명이었으나, [[2023년 수단 내전|수단 내전]]으로 지금은 아닐 수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76년에 무역, 경제와 관련된 기술협정을 맺었다.[* 수교 이전에 맺었다.] 그리고 1978년 무역경제협정, 1979년 문화협정, 1991년 항공협정 가서명을 체결하였다. [[대우그룹]]이 대통령 영빈관을 수주했다. === 21세기 === 2000년 5월 16일에 수단 공화국 정부는 2000년 안에 중부 및 북부지역 유전 개발을 외국기업에 허가할 계획이며 한국과 일본 등 극동지역을 수단 공화국산 석유의 수출 유망시장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003213|3]] 2004년에도 청소년 체육 교류협정을 체결했다. ==== 2010년대 ==== 2010년 10월 25일, 케냐, 부룬디, 지부티, 에티오피아, 수단, 우간다, 탄자니아 등 동아프리카 7개국에서 온 8명의 기상전문가들은 한국의 기상예측 시스템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128062?sid=102|#]] 2014년에도 두 나라 청소년들 문화 교류, 행사 등이 있었다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22350|#]], [[https://www.kywa.or.kr/pressinfo/photo_news_view.jsp?bgubun=&currPage=34&searchText=&searchColumn=&searchTextEn=&bgubun=&no=11083|#]]. 2017년에는 수교 40주년을 맞아 수단 공화국에서도 다양한 한국 문화 행사들이 열렸다 [[https://www.google.co.kr/amp/s/m.yna.co.kr/amp/view/AKR20170316004100079|#]]. ==== 2020년대 ==== 2020년, 수단 공화국의 민주화운동과 과도정부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https://www.dongnam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 한국 정부는 홍수가 발생한 수단 공화국에 30만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87004|#]] 코이카는 주 수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유엔개발계획과 함께 다르푸르 재건을 위한 청년자원 활동 사업 약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483304|#]] 2021년 6월 28일, 한-수단 공화국 고위급 정책협의회가 열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445970|#]] 또한, 한국 기업들의 수단 공화국 투자와 경제협력에 대해서도 논의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579119|#1]][[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447477|#2]] 2022년 1월 22일, 재한수단인들이 군부[[쿠데타]] 규탄 시위를 진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32&aid=0003124691|#]] 2023년 4월 23일, 수단에서 [[2023년 수단 내전|내전]]이 일어난 뒤에 수단 내 한국 교민들이 한국 정부의 군수송기를 타고 수단을 탈출해 한국으로 귀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02453?|#]] 그리고 외교부 측은 수단 교민들을 위한 숙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69142?sid=104|#]] 국방부는 수단 교민들을 철수시키는 '프라미스'(Promise) 작전은 재외국민보호 약속을 지킨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67692?sid=104|#]] 5월 9일, [[한아프리카재단]]에서 수단 사태에 대해 인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30968?sid=100|#]] 5월 24일, 주한 수단 대사는 인도적 지원와 재건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62450?sid=100|#]] == 대사관 == 대한민국은 [[하르툼]]에, 수단은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2023년 4월 25일, 한국 정부는 주수단 대한민국 대사관의 운영을 중단시키고 사우디 제다의 영사관이 수단 대사관 운영을 맡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02172?sid=104|#]]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02453?|수단 교민 28명 서울공항 도착…"수송기 보고 살았다 생각"(종합2보)]]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02172?sid=104|수단주재 한국대사관 운영 잠정중단…"상황 장기화 가능성"]]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67692?sid=104|작전명 '프라미스'는… "재외국민보호 '약속' 지킨다는 뜻"]] - 뉴스1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한국-아프리카 관계]] * [[수단 공화국/외교]] * [[2023년 수단 내전]]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북아프리카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단 공화국/외교, version=57)]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수단 공화국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