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레바논의 대외관계)] || [[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레바논|{{{#!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100%]]}}}]] || || '''{{{+1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大韓民國}}}''[br]''{{{#fff Republic of Korea}}}''[br]''{{{#fff جُمْهُورِيَة كُورِيَا}}}'' || '''{{{+1 [[레바논|{{{#fff 레바논}}}]]}}}'''[br]''{{{#fff الجمهورية اللبنانية}}}''[br]''{{{#fff Lebanese Republic}}}''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레바논]]의 관계. 두 나라는 1981년에 외교 관계를 맺었다.[* 레바논은 [[북한]]과도 동년에 수교하였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97년에는 레바논의 라피크 하리리 총리가 [[고건]] 국무총리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https://mnews.joins.com/amparticle/3454556|#]] 양국 수교 이래 현재까지도 최고위급 방문이다. === 21세기 === 2014년 5월 29일 주한 레바논 현직 대사인 자드 사이드 엘 핫산 대사가 서울 [[남산3호터널]]에서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던 중 추돌사고로 사망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59km/h로 달렸다고 한다.[[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405299251g]|#]][[https://www.ndtv.com/world-news/lebanese-ambassador-dies-in-south-korea-car-accident-564507|레바논 현지 영어 뉴스]] [[대한항공]]과 [[인하대학교병원]]은 2019년 4월 29일에 레바논에서 현지어린이들을 위한 의료봉사를 진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821009|#]] 그리고 한진그룹은 2019년 6월 3일에 레바논 티르지역에서 청각장애를 앓고 있던 어린이 2명을 한국에서 수술받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867158|#]] 2022년 8월 13일 기준 어떻게 되었는지는 불명. 2019년 7월 9일에 베이루트에서 한국[[국악]]의 공연이 개최 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944448|#]] 레바논에서 2019년 10월에 시위가 발생되었는데, 시위현장에서 시위대가 [[상어가족]]을 한 목소리로 부르는 광경이 펼쳐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4263215|#]] 2020년 8월초에 [[베이루트 항구 폭발 사고|폭발 사고]]가 일어나자 [[문재인]] 대통령은 전화통화를 해 [[미셸 아운]]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애도의 뜻을 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006267|#]] 2021년 7월 13일에 CMG제약은 레바논 제약사인 아르완에 입에서 녹여서 먹는 필름 형태의 [[발기부전]]치료제 제대로필 ODF을 수출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520812|#]] 2022년 2월 18일에 [[서욱]] [[국방부]] 장관이 [[동명부대]]를 방문해 모범적인 임무 수행을 주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11014043|#]] == 파병 == [[대한민국 국군]] [[레바논 평화유지단|동명부대]]가 UN 평화유지군(PKO)의 일원으로 수도 베이루트 남쪽으로 86km 떨어져 있는 티르에 주둔하고 있다. 레바논과 [[이스라엘]] 경계 지점이라 테러 의심 차량들을 색출하고 있다. 게다가 티르는 한때 '''[[헤즈볼라]]'''의 본거지였다. 다만 헤즈볼라는 어디까지나 이스라엘을 적대할 뿐, 다국적군이나 평화유지군은 공격하지 않는다. 월간 [[플래툰(잡지)|플래툰]]에서도 취재했는데 이라크 파병 주둔 경력이 있던 미군 평화유지군이 인터뷰하길 그래도 여긴 이라크보다 훨씬 평화롭다고 한 바 있다. 현지인들이 양떼들을 가득 몰고 평화유지군 차량을 가로막고 갈때 이라크에서는 미군들은 [[저격수]]나 폭탄 공격을 우려하여 장갑차나 차량에서 얼굴 내밀지도 못했지만 여기선 얼굴 내밀고 한가롭게 기다려도 몇년이고 아무 일 없었다고 했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베이루트]]에, 레바논은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이 [[시리아]]와 수교하지 않은 관계로 주 레바논 대사관이 시리아를 겸임한다.[* [[북한]]은 대한민국과 반대로 주 레바논 대사관이 없고 주 시리아 북한 대사관이 레바논 대사관을 겸임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레바논/외교]] * [[레바논 쇼크]] * [[동명부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바논/외교, version=9)]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레바논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