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네팔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네팔 국기.svg|width=55%]] || ||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कोरिया गणतन्त्र}}}'' || [[네팔|{{{#fff '''네팔'''}}}]][br]''{{{#fff नेपाल}}}''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네팔]]의 관계. 양국관계는 1968년 영사관계를 시작으로 1974년에는 대사관계로 격상되었다. == 역사적 관계 == === 2010년대 === 2014년 3월 20일 [[프로듀서]](PD)를 비롯한 국내 [[방송사]] 직원 3명과 여행가이드 등 한국인 4명이 네팔에서 [[힌두교]] [[사원]]에 [[불법]]으로 [[침입]]하여 사원과 군사시설을 [[드론]] 촬영 금지 지역에서 불법 촬영한 혐의로 18일 체포돼 사흘째 조사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한국 대사관에서는 이들의 촬영장비가 공중에서 전경을 촬영하는 [[헬리캠]]으로 군사장비가 아니며 불법 촬영 의도가 없었다고 현지 경찰을 설득하여 이들 4명을 풀려나게 했으나 19일 다시 경찰서로 간 뒤 20일까지 [[구금]] 상태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2015년 4월에 촬영된 [[JTBC]]의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의 네팔편에서 공중촬영분에선 네팔당국의 허가를 받았다는 자막이 나왔다.] === 2020년대 === 2020년 1월 14일, 전남도교육청은 네팔 성커라풀에서 엄홍길휴먼재단과 함께 네팔 전남휴먼스쿨 준공식을 가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335011|#]] 같은 해 1월 17일, 네팔에서 [[안나푸르나 교사 실종사고]]가 발생했다. 코로나 유행이 한창이던 6월 16일, 코이카는 네팔 보건부에 2만 건의 검사가 가능한 32만 달러 상당의 진단키트를 제공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682076|#]] 또한 8월 말까지 산소농축기 378대를 네팔 측에 지원하기로 했다. 2021년 20대 네팔 유학생들이 강원도에서 13세 가출 [[여중생]]을 집단 [[성폭행]]하여 [[미성년자의제강간]]으로 처벌받은 [[강원도 외국인 유학생들 여중생 성폭행 사건]]이 일어났다. 2022년 3월 25일, 불교계 국제개발협력 단체인 지구촌공생회는 네팔 저소득층 여성들의 취업과 창업을 돕는 재봉 교육 프로그램 확대를 위해 모금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oid=001&aid=0013073307&sid1=104|#]] 같은 해 12월 26일, 엄홍길휴먼재단이 네팔에서 산티푸르 휴먼스쿨을 증축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3329?sid=104|#]] 2023년 1월 15일, 네팔에서 한국인 2명 등 72명이 탄 [[예티항공 691편 추락 사고|비행기가 추락]]해 사망자 68명이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01740?|#]] 1월 16일, 한국인 탑승자로 추정되는 시신 2구가 발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04108?|#]] == 경제 교류 == === 2010년대 === [[코이카]]와 현지 한인 기업인 마카리오스가 손잡고 CG 교육센터를 열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855690|#]] 해외건설협회의 회장이 네팔을 방문해서 네팔건설협회 등 주요건설기관과 한-네팔 건설협력 비즈니스 미팅을 갖고 양국 간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9274235|#]] [[서울주택도시공사]]는 네팔 국가재건청, [[카트만두]] 밸리개발청과 [[공공주택]] 개발, 도시 개발, [[스마트 도시]]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066373|#]] === 2020년대 === 한국도로공사는 2천 100만 달러 규모의 카트만두-테라이 고속도로 설계 및 시공감리 용역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627217|#]] == 문화 교류 == [[1988 서울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18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한국에서도 등산가나 인도 문화 애호가 등을 중심으로 네팔 관광이 나름 인기를 얻고 있다. 그리고 네팔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이 한국 내에 존재한다. 또한, 한국에서 근무했던 네팔인들이 네팔에서 한국 식당을 운영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2019년 5월 25일, 네팔에서는 [[K팝]]축제가 열렸고 5천여 명이 참가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10849672|#]] === 언어 === [[네팔어]]책들이 한국에도 출판되지만, 네팔어가 한국에선 희귀한 언어다 보니 출판되는 책들이 적은 편이다. 아직 한국에선 네팔어학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네팔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로 지정돼 있다. 그리고 [[ECK교육]]에서 네팔어 강좌를 수록했다.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대한항공]]이 네팔 노선을 이어주고 있다 보니 한국-네팔 노선을 자주 왕래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네팔의 카트만두 공항과의 항공 노선이 존재하고 있어서 한국인 관광객들이 네팔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네팔인들은 한국으로 입국할 때 비자가 요구된다. == 재한 네팔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재한 네팔인)] == 대사관 == 대한민국은 [[카트만두]]에, 네팔은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여담 == 네팔에 여행가거나 혹은 네팔 요리 식당 사장하고 친해진 경우 종종 네팔산 [[석청]](꿀의 일종)을 사라고 꼬드기는 경우가 있는데, 석청은 맹독성 식자재[[https://www.ytn.co.kr/_ln/1208_201804100001509970|#]]라서 수입 금지 품목에다가 네팔에서 가져올 경우 압수당하는 경우가 있다. 사지도 말고 먹지도 말자.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재한 네팔인들이 거주하는 네팔 타운의 네팔인들이 줄고 빈자리를 베트남인들이 차지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262/0000015837?ntype=RANKING|#]] 90년대에 [[찬드라 쿠마리 구룽 사건]]이 일어난 적이 있는데 해당 네팔인이 6년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된 적이 있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네팔/외교]] * [[대한민국/경제]] * [[네팔/경제]] * [[찬드라 쿠마리 구룽 사건]] * [[안나푸르나 교사 실종사고]] * [[예티항공 691편 추락 사고]] * [[주네팔 대한민국 대사관]] * [[한국인]] / [[네팔인]] / [[재한 네팔인]] * [[한국어]] / [[네팔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네팔, version=644, paragraph=8.7)] [[분류:한국-네팔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