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1 프로야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게임빌의 모바일 게임, rd1=2011 프로야구(게임))] [include(틀:KBO 리그 시즌)] ||<-2> '''{{{#ffffff 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 || ||<-2><:> [[파일: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 엠블럼.svg|width=200]] || ||<-2><:> [[파일: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 워드마크.svg|width=300]]|| ||<:> '''기간''' || [[2011년]] [[4월 2일]] ~ [[2011년]] [[10월 6일]] (정규시즌) [br] [[2011년]] [[10월 8일]] ~ [[2011년]] [[10월 31일]] (포스트시즌) || ||<:> '''참가팀''' || [[넥센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br]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이상 8개팀. || ||<:> '''스폰서''' || [[롯데카드]].[* CJ 마구마구가 2009년부터 3년간 한국프로야구 타이틀 후원 계약을 맺었으나 대승적 차원에서 롯데카드에게 넘겨줬다고 한다. ~~아마 위약금을 엄청 물어주었겠지~~.][* 참고로 롯데카드 사용 실적이 2010년에는 641억원이었는데 프로야구 스폰을 한 2011년에는 38%가 늘어난 884억원을 기록했다고 한다. 50억 투자해 240억+@의 효과를 본셈.] || [목차] == 개관 == [youtube(b24jx-sSpu8)] [[2011년]] [[4월 2일]] [[토요일]]에 개막하여, 각팀 별 133경기[* 2010년 홈에서 66경기를 치른 SK, 두산, 롯데, 삼성이 홈 67경기·원정 66경기를, 홈 67경기였던 한화, KIA, 넥센, LG가 홈 66경기·원정 67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팀 간 19차전씩 총 '''532경기'''를 치르게 되는 2011년 한국프로야구 시즌이다. 이 시즌은 '''프로야구 출범 30주년 시즌'''이기도하다. 한편 경기 일정이 사상 최초로 시즌이 열리기 한참 전인 2010년 11월에 확정이 되었다. 이 덕분에 각 구단들은 홈 경기 마케팅이나 일정 홍보 준비에 수월하게 되었다. ~~그리고 몇몇 팬들은 벌써 야구장 갈 일정 짜기 바쁘다.~~[* 2012년 일정도 2011년 11월에 확정되었다.] 개막전은 2009년 [* 2010년부터 2시즌 전 순위 기준으로 시행된다.] 상위 4개구단의 홈구장인 광주(삼성-KIA) / 문학(넥센-SK) / 잠실(LG-두산) / 사직(한화-롯데)에서 2연전으로 치뤄진다. 어린이날 경기는 격년제 편성에 따라, 이번엔 사직, 대전, 목동 그리고 잠실(두산 홈)에서 열린다. 올스타전은 7월 23일 토요일로 5년만에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다. == 당 시즌에서 달라진 부분 == * 승률 계산방식의 변화(승수/경기수 → 승수/(승수+패수[* 한마디로 전체 경기수-무승부 수])) * 포스트시즌 엔트리 제출일 변경(준PO 및 PO 3일 전, KS 5일 전 → 모두 1일 전) * 포스트시즌 연장전 변경(12회 → 15회) * 5회말 종료 후 클리닝 타임 재시행(4분 이내) * 대졸 후 프로입단한 선수는 9년 → 8년 후 FA자격 취득 가능 * FA 보상규정 변경 * 2010년 - 보호선수 18명 제외한 보상선수 1명 + 전년도 연봉의 300% 또는 전년도 연봉의 450% * 2011년 - 보호선수 20명 제외한 보상선수 1명 + 전년도 연봉의 200% 또는 전년도 연봉의 300% * 베이스코치 헬멧 착용 의무화 * 7월 24일(웨이버 등록 마감시한) 이후 8월 15일까지 외국인선수 임의탈퇴 등 신분변경 금지 * 신인 드래프트 일자가 2주 정도 늦춰짐 * 지명대상선수와 사전접촉 시 제재 구체화(구단 - 1라운드 지명권 박탈, 선수 - 3년간 프로 등록 불가) * 퓨처스리그 경기시작시간 1시간 당겨짐(14시 → 13시), 야간/월요일경기 확대시행 == 스토브리그 == * 시즌 시작 전의 변경사항만을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시즌 중의 변경사항은 아래 '2011 시즌' 부분에 적어주세요. === 코칭 스태프 변경 === * [[SK 와이번스]] 배터리코치 : 한문연 투수코치 : [[조웅천]] 타격코치 : 타시로 토미오 수비코치 : 후쿠하라 미네오 --스파이-- 인스트럭터 : [[양상문]][* 전지훈련 기간에 병역연령 문제로 출국을 하지 못하게 된 [[고효준]]의 전담코치 역할을 수행했으나…자세한 내용은 본인 항목 참조. 이후 MBC 스포츠 해설위원이 되었다.] * [[삼성 라이온즈]] 감독 : [[류중일]] 타격코치 : [[김성래]] 수비코치 : [[김용국(야구)|김용국]] 잔류군코치 : [[성준(야구선수)|성준]] * [[롯데 자이언츠]] 감독 : [[양승호]] 수석코치 : [[윤학길]] 투수코치 : [[주형광]] 배터리코치 : [[최기문]] * [[KIA 타이거즈]] 투수코치 : [[이강철]] 타격코치 : 히라노 켄 수비코치 : 다카하시 마사히로 === 트레이드 === [[롯데 자이언츠|롯데]] [[이정훈(1977)|이정훈]] + [[박정준]] ~~+@~~ ↔ [[넥센 히어로즈|넥센]] [[고원준]] === 신규영입 === * '''외국인 선수는 해당 항목 참조'''. * [[SK 와이번스|SK]] : [[박진만]](삼성 방출), 김대유(재일교포), 오성민(히어로즈 방출) * [[삼성 라이온즈|삼성]] : [[문수호|문현정]](KIA 방출) * [[두산 베어스|두산]] : [[이혜천]](야쿠르트 방출 후 전 소속 팀 복귀) * [[롯데 자이언츠|롯데]] : [[고원준]](넥센 트레이드), [[최향남]](자유계약) * [[KIA 타이거즈|KIA]] : [[이범호]](소프트뱅크 방출 후 자유계약), 박종섭(두산 방출) * [[LG 트윈스|LG]] : [[심광호]](삼성 방출), [[이대환]](넥센 방출) * [[넥센 히어로즈|넥센]] : [[이정훈(1977)|이정훈]], [[박정준]](이상 롯데 트레이드) * [[한화 이글스|한화]] : [[이동학]](넥센 방출) === 외국인 선수 === * [[SK 와이번스|SK]] [* 무릎 부상을 이유로 [[카도쿠라 켄]]과의 재계약을 포기했다. 이후 카도쿠라는 삼성에서 입단 테스트를 신청한 후 정식 입단했다.] : [[게리 글로버]](재계약)[[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2300835562225&ext=na|#]], [[짐 매그레인]](신규 영입)[* 삼성에서 포기한 [[가네무라 사토루]]를 테스트하다가 영입한 선수, 2010년 대만 시리즈 MVP 수상.] * [[삼성 라이온즈|삼성]] [* 기존 외국인 선수였던 [[프란시스코 크루세타]]와 [[팀 레딩]]과의 재계약 포기.] : [[라이언 가코]](신규 영입), [[카도쿠라 켄]](신규 영입)[* 입단테스트 끝에 30만달러에 계약 체결.] * [[두산 베어스|두산]] [* 기존 외국인 선수 [[켈빈 히메네스]]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즈|라쿠텐]]으로 이적 확정. [[레스 왈론드]]와는 재계약 포기.] : [[더스틴 니퍼트]](신규 영입), [[라몬 라미레즈(1982)|라몬 라미레즈]](신규 영입)[* 오달리스 페레즈를 입단 테스트를 지켜본 이후 영입하기로 하였으나 본인이 참가하지 않았다. 사실상 포기. --하긴 안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 안 새냐--] * [[롯데 자이언츠|롯데]] : [[라이언 사도스키]](재계약), [[브라이언 코리]](신규 영입) * [[KIA 타이거즈|KIA]] : [[아킬리노 로페즈]](재계약), [[트레비스 블랙클리]](신규 영입)[* 로만 콜론과의 재계약과 블랙클리의 신규 영입 사이에서 계속 저울질하다 콜론이 LA 다저스와 마이너 계약을 체결하면서 블랙클리로 결정. 선수명은 트레비스로 등록되어 있다.] * [[LG 트윈스|LG]] [* 기존 외국인 선수들인 [[오카모토 신야]]와 [[필 더마트레]]와의 재계약 포기.] : [[벤자민 주키치]](신규 영입), [[레다메스 리즈]](신규 영입) * [[넥센 히어로즈|넥센]] : [[브랜든 나이트(야구)|브랜든 나이트]] [* 2010 시즌엔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다 무릎 부상으로 임의탈퇴되었다.] , [[코리 알드리지]](신규 영입) * [[한화 이글스|한화]] : [[훌리오 데폴라]], [[오넬리 페레즈]](신규 영입) === 방출 및 임의탈퇴 === * 외국인 선수 제외 * [[SK 와이번스|SK]] : 오민철, 안준형(이상 임의탈퇴), [[하지호]], 정병희, [[김용우]], 추경식 * [[삼성 라이온즈|삼성]] : 안성필, 김준희(이상 [[임의탈퇴]]), [[박진만]](SK 이적), [[심광호]](LG 이적), [[김진웅]], [[임동규(야구)|임동규]], [[임익현]], 정홍준, 채형직, 최천수, [[송주호]] * [[두산 베어스|두산]] : 박종섭(KIA 이적), [[김명제]], [[지승민]], [[김현수(1984)|김현수]], 이창석, 오정환, 윤명운, 남궁훈, 노경우, 전준홍 * [[롯데 자이언츠|롯데]] : 김휘곤, 민경수, [[서성민]] * [[KIA 타이거즈|KIA]] : [[문수호|문현정]](삼성 이적), [[김민철(야구)|김민철]], 김형철, [[손정훈]], 유휘봉 * [[LG 트윈스|LG]] : [[이형종]](임의탈퇴), [[김민기(가수)|김민기]], [[정성훈]](투수), 곽용섭, [[오태근]] * [[넥센 히어로즈|넥센]] : [[이정호(1982)|이정호]], 손승현(이상 임의탈퇴), [[이대환]](LG 이적), [[이동학]](한화 이적), [[신철인]], 임성학, [[조용준]] * [[한화 이글스|한화]] : 서정(임의탈퇴), [[손지환]], 윤경영, [[전근표]], [[정승원|정희상]] === 은퇴 === * [[SK 와이번스|SK]] : [[김재현(1975)|김재현]]([[LA 다저스]] 코치연수), [[가득염]]([[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재활코치), [[안경현]](SBS ESPN 해설위원) * [[삼성 라이온즈|삼성]] : [[양준혁]](SBS ESPN 해설위원) * [[롯데 자이언츠|롯데]] : [[최기문]](배터리코치) * [[KIA 타이거즈|KIA]]: [[홍세완]][* 2011시즌은 플레잉코치이기 때문에 등록은 선수로 되어 있다. 하지만 사실상 은퇴.], [[김종국(야구선수)|김종국]](2군 수비코치) * [[LG 트윈스|LG]] : [[박종호(1973)|박종호]](2군 인스트럭터), [[최원호]](2군 재활코치), [[김정민(포수)|김정민]](2군 배터리코치), ~~류택현~~ [* 정확히 말하면 은퇴는 아니다. 부상이 심해 2011 시즌 출전을 포기한 대신 재활 후 테스트를 통해 복귀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상태.] * [[한화 이글스|한화]] : [[구대성]](호주리그 시드니 블루삭스 선수 겸 코치), [[이영우]] === 이적 === * [[이범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KIA 타이거즈]])[* 이범호는 FA 자격 획득한 시즌에 국내팀으로 이적한게 아니라 해외팀에 다녀온것이므로 FA목록에 없다] * [[안영명]] ([[KIA 타이거즈]] → [[한화 이글스]]) [* 이범호의 FA 보상 선수. FA 보상규정에 따라 KIA는 [[이범호]]의 전 국내 소속구단인 [[한화 이글스]]에 FA 보상을 하게 되는데 한화는 보상선수로 작년 시즌 중 한화에서 KIA로 트레이드됐던 안영명을 선택했다. 그리하여 안영명은 KIA로 이적한지 1년도 안 되어 다시 한화로 돌아가게 되었다.] === FA === 자격 취득 선수 18명중 4명이 신청을 하였다. ==== 잔류 ==== LG 박용택 : 3년+1년 34억 원 (옵션 연간 3억 원 포함) 삼성 배영수 : 2년 17억 원 (옵션 연간 1억 5천만 원 포함)[* 일본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와 계약 직전까지 갔으나 메디컬 테스트에서 탈락, 삼성과 재계약했다.] ==== 미계약 ==== 한화 : 최영필, 이도형[* FA제도 규정상 FA 계약에 실패한 선수는 그 다음 시즌을 뛸 수 없어 둘 모두 사실상 은퇴 상태가 되었다. 이도형은 KBO를 상대로 FA제도 규정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했고 2011년 8월10일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최성준 부장판사)은 '자유계약선수 제도와 관련한 야구규약 161조 및 164조가 직업 선택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한다'며 KBO를 상대로 낸 야구규약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의 일부를 수용했다. 이후 규약 변경으로 FA 신청선수가 다음해 1월 15일까지 계약을 못할경우 16일부터 자유계약선수가 되는데, 새 팀과는 보통선수처럼 다년계약은 금지되며 1년차 트레이드 금지조항도 당연히 적용되지 않는다.] === 상무 및 경찰청 및 군입대 === * [[SK 와이번스|SK]] : [[나주환]][* 경찰청 입단이 확정되었지만 재검결과 고관절 수술 문제로 [[공익]] 판정, 2011년 2월 입대.], [[이한진]](이상 공익), 윤석주, [[이재원(1988)|이재원]], [[모창민]](이상 [[상무 피닉스 야구단]]), 여건욱(경찰청), 이명기 * [[삼성 라이온즈|삼성]] : [[김현우(1988)|김현우]], [[백상원]], [[허승민]](이상 상무), [[양지훈]](경찰청), [[길태곤]], [[홍효의]](이상 공익) * [[두산 베어스|두산]] : [[민병헌]], 오현근, 박건우 (이상 경찰청), 오현택, [[유희관]], 원용묵(이상 상무), [[성영훈]](공익) * [[롯데 자이언츠|롯데]] : [[박기혁]], [[조정훈(야구선수)|조정훈]](이상 [[공익]]), [[나승현]](경찰청) * [[KIA 타이거즈|KIA]] : 백용환(경찰청), 이종환(상무), 최용규('''현역''')[* 상무와 경찰청 입단테스트에서 연이어 퇴짜를 맞아 결국 '''현역'''으로 입대한다고 한다.], 전태현(공익)[* 현재 [[군산시]] 월명구장에서 공익근무를 한다고.] * [[LG 트윈스|LG]] : [[박용근]], [[배민관]](이상 경찰청), [[문선재]], 배우열, 이태원(이상 상무), [[정찬헌]], [[최동환]](이상 공익), [[노진용]] * [[넥센 히어로즈|넥센]] : 박동원, 이창섭(이상 상무), 김지수(경찰청), 김대유 * [[한화 이글스|한화]] : [[김태완(1984)|김태완]], 김주, 황재규(이상 공익), 김강석, 박상규(이상 상무), 정현석(경찰청), [[김동영(1985)|김동영]], 한윤섭, 이성호, 김사연 === 군제대 === * [[SK 와이번스|SK]] : [[이영욱(투수)|이영욱]], [[조영민(야구)|조영민]], [[이상훈(1985)|이상훈]](투수), [[김성현(1987)|김성현]] * [[삼성 라이온즈|삼성]] : [[김경모(야구선수)|김경모]], [[김동영(1990)|김동영]], [[김기태(1987)|김기태]], [[모상기]], [[이동걸]] * [[두산 베어스|두산]] : [[김강률]],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 * [[롯데 자이언츠|롯데]] : [[김문호]], [[이왕기]], 이승재 * [[KIA 타이거즈|KIA]] : [[박근홍(야구선수)]], [[김주형]] * [[LG 트윈스|LG]] : [[정의윤]], [[장진용]] * [[넥센 히어로즈|넥센]] : 박민주, 장태종, 지석훈, 이승주 * [[한화 이글스|한화]] : [[고동진(야구선수)|고동진]], 백승룡, 안영진, 오재필[* 오승택에서 개명], 정범모, 정민혁, 최진호, [[한상훈]] == 중계방송 == || 방송국 || 아나운서 || 해설위원 || || |||||||||||||| '''FM 라디오''' || ||부산MBC 표준FM ||박기홍,[[김동현]] ||최효석 ||[* 사직구장 전경기 중계] || ||대구MBC 표준FM ||[[이동훈]],지동춘 ||[[홍승규]] ||[* 대구구장 일부 경기 중계] || ||대전MBC 표준FM ||[[김경섭]],[[김학선]],[[임세혁]] ||여정권 ||[* 대전구장 일부 경기 중계] || ||SBS 러브FM ||박찬민,[[염용석]] ||[[양준혁]],이광권 || || ||KNN 라디오 ||현승훈 ||[[이성득]] ||[* 롯데 자이언츠 경기, 포스트시즌 전경기 중계] || ||wbs 원음방송 ||김세원 ||곽연수 ||[* 주말 잠실구장 경기 중계] || |||||||||||||| '''지상파 TV''' || ||KBS 2TV ||[[김현태(아나운서)|김현태]],[[표영준]] ||[[이용철(야구)|이용철]] || || ||MBC TV ||한광섭 ||[[허구연]] || || ||부산MBC TV ||박기홍,[[김동현]] ||[[한만정]] || || ||대구MBC TV ||[[이동훈]],지동춘 ||[[홍승규]] || || ||SBS TV ||[[배기완]] ||[[양준혁]] || || ||KNN TV ||황범 ||[[마해영]],[[박영태]] || || ||OBS TV ||김준우,[[홍원기]] ||[[구경백]] || || |||||||||||||| '''케이블TV PP''' || ||KBS N SPORTS ||<|2>[[권성욱]],[[이기호(아나운서)|이기호]],신승준[* 이상 KBS N 소속][br][[김현태(아나운서)|김현태]],유지철,[[표영준]][* 이상 KBS 본사 소속] ||<|2>[[민훈기]],[[이병훈(야구)|이병훈]],[[이용철(야구)|이용철]],[[하일성]] ||<|2> || ||KBS Prime || ||MBC SPORTS+ ||<|2>[[이홍섭]],[[정병문]],[[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한명재]],[br][[김완태(아나운서)|김완태]],[[강재형]] ||<|2>[[서정환]],[[양상문]],[[이순철]],[[이효봉]],[br][[한만정]],[[허구연]] ||<|2> || ||MBC LIFE || ||SBS ESPN ||<|2>[[박찬민]],[[배기완]],[[윤성호(아나운서)|윤성호]],[[이승륜]],[br][[임용수]] ||<|2>[[김용희]],[[안경현]],[[양준혁]],이광권 ||<|2> || ||SBS GOLF || ||CMB 광주방송 || || || || ||CMB 대전방송 || || || || |||||||||||||| '''IPTV PP''' || ||IPSN/iGolf ||[[김태우(1979)|김태우]],[[정찬우]],[[최춘식(아나운서)|최춘식]][* 옛날 SBS SPORTS의 그 분 맞다]||[[마해영]],[[김용달]],[[최익성]],[[이경필]] || || ||SPOTV/스포츠원 || || ||[* 케이블 채널을 그대로 받아서 중계] || ===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 === * 4월 * 4월 2일 (토, 개막전) | 광주 - 삼성 VS KIA ([[SBS]]) / 잠실 - LG VS 두산 ([[MBC]]) * 4월 21일 (목) | 문학 - LG VS SK ([[KBS 2TV|KBS2]]) * 5월 * [[어린이날|5월 5일]] (목) | 사직 - 삼성 VS 롯데 ([[KBS 2TV|KBS2]]) / 잠실 - LG VS 두산 ([[SBS]]) * [[부처님오신날|5월 10일]] (화) | 대구 - SK VS 삼성 ([[KBS 2TV|KBS2]]) / 광주 - 두산 VS KIA ([[MBC]]) * 6월 * 6월 4일 (토) | 사직 - LG VS 롯데 ([[SBS]]) == 2011 시즌 == 일정 및 경기결과는 링크 참조[[http://www.koreabaseball.com/Schedule/KboSchedule.aspx|KBO 경기일정 및 결과]] === 코칭스태프 변경 === 내부 이동이 아닌 외부 신규영입만 기재. *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 : [[강기웅]] * [[한화 이글스]] 2군 육성팀장 : 권두조 === 선수 이동 === === 신규 영입 === * [[두산 베어스|두산]] : [[페르난도 니에베]](라몬 라미레스의 대체 외국인 선수) * [[한화 이글스|한화]] : [[김준호(야구)|김준호]](LG 방출), [[카림 가르시아]]([[훌리오 데폴라]]의 대체 외국인 선수), [[데니 바티스타]]([[오넬리 페레즈]]의 대체 외국인 선수) * [[SK 와이번스|SK]] : 조재호(넥센 방출), [[브라이언 고든]]([[짐 매그레인]]의 대체 외국인 선수) * [[롯데 자이언츠|롯데]] : [[크리스 부첵]]([[브라이언 코리]]의 대체 외국인 선수) * [[삼성 라이온즈|삼성]] : [[덕 매티스]]([[라이언 가코]]의 대체 외국인 선수), [[저스틴 저마노]]([[카도쿠라 켄]]의 대체 외국인 선수) * [[LG 트윈스|LG]] : [[이대진]](KIA 방출) ==== 방출 및 임의탈퇴 ==== * [[두산 베어스|두산]] : 라몬 라미레스 * [[LG 트윈스|LG]] : [[김준호(야구)|김준호]](한화 이적), [[강철민]], [[오상민]] * [[넥센 히어로즈|넥센]] : 조재호(SK 이적), [[권도영]](은퇴), 강병우, 박민주 * [[한화 이글스|한화]] : [[훌리오 데폴라]], [[오넬리 페레즈]], [[김재현(1979)|김재현]](투수), [[이동현(1979)|이동현]], 신해수 * [[SK 와이번스|SK]] : [[짐 매그레인]] * [[롯데 자이언츠|롯데]] : [[브라이언 코리]], [[최향남]] * [[삼성 라이온즈|삼성]] : [[정민우(야구)|정민우]](임의탈퇴), [[라이언 가코]], [[카도쿠라 켄]] * [[KIA 타이거즈|KIA]] : [[이대진]](LG 이적) ==== 트레이드 ==== * [[한화 이글스|한화]] [[유원상]]+[[양승진(야구선수)|양승진]]↔[[LG 트윈스|LG]] [[김광수(1981)|김광수]] (2011.07.11) * [[넥센 히어로즈|넥센]] [[송신영]]+~~[[김성현(1989)|김성현]]~~↔[[LG 트윈스|LG]] [[심수창]]+[[박병호]] (2011.07.31) === 신인드래프트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 === 2차 드래프트 ===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012년]] === 주요 사건 및 기록 === ==== 4월 ==== * 4월 2일 : 개막전, 전 구장(잠실, 문학, 사직, 광주) 좌석이 '''매진'''되었다. 이는 3년 연속이다. * 삼성 대 기아 전에서 삼성 [[채태인]]이 '''개막전 [[그랜드슬램|만루홈런]]'''(역대 6번째)을 기록했다. * 넥센 대 SK 전에서 SK [[정근우]]가 '''개인통산 200도루'''(역대 16번째)를 달성했다. * 4월 3일 : 한화 대 롯데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개인통산 200홈런'''(역대 16번째)을 달성했다. * 4월 5일 * 롯데 대 삼성 전에서 롯데 [[김주찬]]이 '''개인통산 250도루'''(역대 11번째)를 달성했다. * 두산 대 넥센 전에서 넥센 [[이숭용]]이 '''개인통산 6000타수'''(역대 6번째)를 달성했다. * 4월 6일 : 기아 대 한화 전, 속칭 '''[[한화 이글스/2011년/4월/6일|406 대첩]]'''에서 '''시즌 첫 연장전''' 및 '''시즌 첫 [[끝내기(야구)|끝내기]] [[홈런]]'''([[이대수]])이 나왔다. * 4월 7일 : [[두산 베어스]]가 외국인 투수 라몬 라미레스를 방출했다. 그리고 이날 전 구장이 우천취소되어서 '''2011시즌 첫 우천취소'''가 되었다. * 4월 8일 : LG 대 한화 전에서 LG [[조인성(야구)|조인성]]이 '''개인통산 1000안타'''(역대 61번째)를 달성했다. * 4월 9일 : LG 대 한화 전에서 LG [[이병규(1974)|이병규]](9)가 '''개인통산 500사사구'''(역대 43번째)를 달성했다. * 4월 10일 * LG 대 한화 전에서 [[LG 트윈스]]가 승리하면서 1997년 7월 16일 이후 '''5016일(13년 8개월 25일) 만에 정규리그 1위'''에 올랐다.[* 단독선두가 아닌, SK와 공동 1위였다. 그리고 3일 만인 4월 13일에 다시 2위로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DTD]]-- 내려왔다.] * 삼성 대 SK 전에서 프로야구 '''사상 최초 동명이인 투구-홈런 기록'''이 나왔다.([[이영욱]]) * KIA 대 두산 전에서 기아 [[트레비스 블랙클리]]가 '''시즌 첫 [[완봉승]]'''을 기록했다. * 롯데 대 넥센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개인통산 700타점'''(역대 26번째)을 달성했다. * 4월 12일 : 두산 대 롯데 전이 '''시즌 첫 [[무승부]]'''로 기록되었다. * 4월 15일 * SK 대 넥센 전에서 SK [[이호준]]이 '''개인통산 2000루타'''(역대 29번째)를 달성했다. * 롯데 대 LG 전에서 LG [[조인성(야구)|조인성]]이 '''개인통산 600타점'''(역대 38번째)을 달성했다. * 4월 16일 * SK 대 넥센 전에서 [[넥센 히어로즈]] 야수진이 '''시즌 첫 [[삼중살]]'''(역대 52번째)을 기록했다. * 두산 대 삼성 전이 대구 시민운동장 야구장의 정전으로 인해 '''시즌 첫 [[서스펜디드 게임]]'''(역대 6번째, 조명사고로 인한 것은 2번째)이 선언되었다. * 4월 20일 : 넥센 대 두산 전에서 넥센 [[김민우(1979)|김민우]]가 '''시즌 첫 1회 선두타자 홈런'''을 기록했다. * 4월 21일 * LG 대 SK 전에서 LG [[이대형]]이 '''7년 연속 두자릿 수 [[도루]]'''를 달성했다. * 넥센 대 두산 전에서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가 '''개인통산 1000타점'''(역대 6번째)를 달성했다. * 4월 23일 : 두산 대 한화 전에서 두산 [[김경문]] 감독이 '''감독 통산 500승'''(역대 8번째)을 달성했다. 역대 4번째 최소경기 달성 기록. * 4월 24일 * 두산 대 한화 전에서 한화 [[장성호]]가 '''개인통산 1800안타'''(역대 3번째)를 달성했다. 해당 시즌 시점에서 '''현역선수 중 유일한 기록'''이다. * 기아 대 LG 전에서 기아 [[김상훈(1977)|김상훈]]이 '''개인통산 1200경기 출장'''(타자 역대 59번째)을 기록했다. * 4월 25일 : 제9구단 '''[[NC소프트]]'''가 아마야구 중견 스태프 8명으로 '''스카우트 팀 구성을 완료'''했다. NC 구단의 스카우터들은 5월부터 본격적인 스카우트 활동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 4월 26일 : [[LG 트윈스]]가 투수 [[오상민]]을 방출했다. * 4월 27일 * 한화 대 넥센 전에서 넥센 [[이숭용]]이 '''개인통산 1700안타'''(역대 7번째)를 달성했다. * LG 대 롯데 전에서 LG [[이병규(1974)|이병규]](9)가 '''개인통산 1300경기 출장'''(타자 역대 45번째)을 기록했다. * LG 대 롯데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개인통산 1100안타'''(역대 53번째)를 달성했다. * 4월 28일 : [[두산 베어스]]가 외국인 투수 페르난도 니에베를 영입했다. * 4월 29일 : 롯데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범호]]가 '''개인통산 200 2루타'''(역대 45번째)를 달성했다. * 4월 30일 : 롯데 대 기아 전에서 '''시즌 첫 강우 [[콜드게임]]'''(역대 63번째)이 나왔다.[* 이날, 두산 대 SK 전, 넥센 대 LG 전은 우천취소.] ==== 5월 ==== * 5월 1일 * 한화 대 삼성 전에서 한화 [[류현진]]이 '''개인통산 1000이닝'''(역대 63번째)을 달성했다. 또한 이는 롯데 [[주형광]]에 이은 역대 두번째 최연소 1000이닝 기록이기도 하다. * 한화 대 삼성 전에서 한화 [[장성호]]가 '''개인통산 200홈런'''(역대 17번째)을 달성했다. * 5월 3일 * 삼성 대 롯데 전에서 삼성 [[채태인]]이 '''시즌 첫 '루의 공과''''(역대 27번째)를 기록하며 아웃되었다. * 기아 대 넥센 전에서 넥센 [[송신영]]이 '''개인통산 500경기 출장'''(투수 역대 19번째)을 기록했다. * 5월 4일 : SK 대 한화 전에서 SK [[김성근]] 감독이 '''감독 통산 1200승'''(역대 2번째)을 달성했다. * 5월 5일 : '''[[어린이날]] 3년 연속 전구장[* 2011년 어린이날 경기는 잠실, 목동, 대전, 사직에서 펼쳐졌다.] 매진''' 달성, 기아 대 넥센 전에서 넥센 [[송지만]]이 '''개인통산 1800경기 출장'''(타자 역대 8번째)을 기록했다. * 5월 6일 * 롯데 대 두산 전에서 롯데 [[홍성흔]]이 '''개인통산 600득점'''(역대 41번째)을 달성했다. 그리고 이날 [[롯데 자이언츠]]는 '''팀 통산 3만 1000안타'''(역대 5번째)[* 앞서 달성한 팀들은 순서대로 삼성-두산-LG-기아, 즉 프로야구 '''원년팀 중에서 꼴찌'''(…) 기록이다. (공식적으로 원년에 [[삼미 슈퍼스타즈|삼미]]였던 팀은 현재 해체된 상태이므로 제외)] 와 '''팀 통산 3200도루'''(기아-LG에 이은 역대 3번째)를 달성했다. * LG 대 삼성 전에서 '''시즌 첫 [[벤치 클리어링]]''' 상황이 발생했다.[* [[박석민]] 항목을 참조. --사실 상황이 개그--] * 5월 8일 * 기아 대 SK 전에서 SK [[박재홍(야구)|박재홍]]이 '''개인통산 1700경기 출장'''(타자 역대 11번째)을 기록했다. 그리고 이 경기 11회말 [[기아 타이거즈]] 야수진이 프로야구 '''사상 첫 연장 끝내기 [[삼중살]]'''을 기록했다. 역대 53번째 삼중살이자 끝내기 삼중살로는 역대 4번째. * LG 대 삼성 전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팀 통산 3500홈런'''을 달성했다. 이는 프로야구 출범 이후 '''최초 달성기록'''이다. * 5월 12일 : SK 대 삼성 전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팀 통산 3100도루'''(역대 5번째)를 달성했다. * 5월 13일 * LG 대 넥센 전에서 LG [[조인성(야구)|조인성]]이 '''개인통산 1400경기 출장'''(역대 31번째)을 기록했다. 그리고 이날 [[LG 트윈스]]가 '''팀 통산 3500도루'''(기아에 이어 역대 2번째)를 달성했다. * 5월 14일 : 삼성 대 한화 전에서 '''시즌 첫 1회초-1회말 동시 선두타자 홈런'''(역대 9번째)이 나왔다. 1회초에 삼성 [[배영섭]]이, 1회말에 한화 [[강동우]]가 각각 선두타자 홈런을 기록했다. * 5월 15일 * 기아 대 롯데 전에서 기아 [[이범호]]-[[김상현(1980)|김상현]]-[[김주형]]이 '''시즌 첫 3타자 연속 홈런'''(역대 20번째)을 기록했다. * SK 대 두산 전에서 두산 [[이성열(1984)|이성열]]이 '''역대 한경기 최다 내야안타 타이'''(3개, 역대 24번째)를 기록했다. * 삼성 대 한화 전에서 한화 [[장성호]]가 '''개인통산 1700경기 출장'''(타자 역대 12번째)을 기록했다. * 5월 16일 : 제9구단 [[NC소프트]]가 이날 '''팀 이름을 [[NC 다이노스]]로 확정'''했다. NC 측은 연고지인 [[창원]]이 속한 [[경상남도]]에 화석이 많은 공룡이 상징성을 가지기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 5월 17일 : 롯데 대 SK 전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팀 통산 4만 5000루타'''(역대 5번째)를 달성했다. * 5월 18일 * 롯데 대 SK 전에서 SK [[정우람]]이 '''개인통산 100홀드'''(역대 2번째)를 달성했다. 이는 KBO에서 [[홀드(야구)|홀드]]를 정식 기록으로 집계한 2000년 이래 '''최연소 기록'''(25세 11개월 17일, 종전기록 류택현의 37세 8개월 13일)과 '''최소경기 기록'''(430경기, 종전기록 류택현의 777경기)을 동시에 경신한 것이기도 하다. * 넥센 대 삼성 전에서 삼성 [[카도쿠라 켄|카도쿠라]]가 '''개인통산 100승'''(한일 합산, 일본에서 76승-한국에서 24승)을 [[완봉승]]으로 달성했다. * 한화 대 두산 전에서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가 [[홈런]]으로 '''개인통산 2600루타'''(역대 11번째)를 달성했다. 이 홈런으로 [[두산 베어스]]의 '''팀 통산 2400 홈런'''(통산 5번째)이 달성되었으며, 한화 [[장성호]]는 '''개인통산 6000타수'''(역대 7번째)를 달성했다. * 5월 19일 * 한화 대 두산 전에서 한화 [[장성호]]가 '''개인통산 2800루타'''(역대 5번째)를 달성했다. * LG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종범]]이 '''개인통산 2700루타'''(역대 8번째)를 달성했다. * 5월 20일 * 두산 대 삼성 전에서 [[두산 베어스]]가 '''팀 통산 3200도루'''(기아-LG-롯데에 이은 역대 4번째)를 달성했다. * [[LG 트윈스]]가 투수 [[강철민]]을 방출했다. * 5월 22일 * 롯데 대 LG 전에서 LG [[이병규(1974)|이병규]](9)가 '''개인통산 1600안타'''(역대 10번째)를 달성했다. * 한화 대 기아 전, [[기아 타이거즈]]의 5회말 공격에서 [[이용규]], [[김선빈]], [[최희섭]], [[안치홍]], [[신종길]]이 '''역대 한 이닝 최다 2루타 타이'''(5개, 역대 4번째)를 기록했다. * 5월 24일 : 기아 대 넥센 전에서 [[기아 타이거즈]]가 '''팀 통산 1만 5000타점'''(역대 2번째)을 달성했다. * 5월 25일 : 삼성 대 롯데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8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역대 15번째)을 달성했다. 이대호는 이 경기에서 개인통산 첫 3연타석 홈런을 기록했다. * 5월 26일 * 롯데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범호]]가 '''9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역대 11번째)을 달성했다. * 두산 대 LG 전에서 LG [[이병규(1974)|이병규]](9)가 '''개인통산 300 2루타'''(역대 9번째)를 달성했다. ==== 6월 ==== * 6월 3일 : [[한화 이글스]]가 외국인 투수 [[훌리오 데폴라]]를 임의탈퇴 형식으로 방출했다. * 6월 4일 : LG 대 롯데 전에서 LG [[박현준]]이 승리투수가 되면서 '''시즌 첫 전구단 상대 승리투수'''가 되었다. * 6월 7일 : [[넥센 히어로즈]]가 투수 박민주, 외야수 조재호, 강병우를 방출했다. * 6월 10일 : [[한화 이글스]]의 새 외국인 선수인 [[카림 가르시아]]가 공식 입단식을 치렀다. 가르시아는 이날 사직구장에서 전 소속팀인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 선발출장, 4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 6월 12일 : 삼성 대 넥센 전에서 삼성 [[진갑용]]이 '''개인통산 500사사구'''(통산 47번째)를 달성했다. * 6월 13일 : [[두산 베어스]]의 [[김경문]] 감독이 성적부진의 책임을 지고 자진 사임했다. 두산 측은 [[김광수(1959)|김광수]] 수석코치를 감독대행으로 승격시켜 남은 시즌을 진행하도록 했다. * 6월 14일 : [[SK 와이번스]]가 넥센에서 방출된 [[조재호]]를 자유계약으로 영입했다. * 6월 15일 * 롯데 대 SK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1373일(3년 9개월) 만에''' SK [[정대현(1978)|정대현]]을 상대로 '''안타를 기록'''했다. 통산 32타수 2안타 타율 0.0625(…). * LG 대 삼성 전에서 LG [[조인성(야구)|조인성]]이 '''6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역대 28번째)를 달성했다. * 6월 16일 * 롯데 대 SK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개인통산 2000루타'''(역대 30번째)를 달성했다. * 기아 대 한화 전에서 한화 [[장성호]]가 '''개인통산 1000 사사구'''(역대 4번째)를 달성했다. 그리고 한화 [[카림 가르시아|가르시아]]가 '''두경기 연속 만루홈런'''(역대 4번째)을 기록함으로써 한화는 프로야구 통산 최초로 '''팀 3경기 연속 만루홈런'''을 기록했다.([[이대수]]-가르시아-가르시아) * 넥센 대 두산 전에서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가 '''개인통산 800득점'''(역대 16번째)을 달성했다. '''팀 내에서는 최초'''로 달성한 기록이다. * LG 대 삼성 전에서 삼성 [[박한이]]가 '''개인통산 1300경기 출장'''(타자 역대 46번째)을 기록했다. * 6월 17일 * 롯데 대 넥센 전에서 롯데 [[정훈]]이 '''시즌 첫 [[인사이드 파크 홈런]]'''(역대 70번째)을 기록했다. * SK 대 LG 전에서 LG [[임찬규]]와 [[이대환]]이 연속 5개의 볼넷을 허용하며 '''프로야구 연속 밀어내기 실점 신기록'''(4연속)을 수립했다. * [[기아 타이거즈]]의 투수 [[김진우(1983)|김진우]]가 팀을 이탈한 2007년 7월 6일 이후 '''1446일 만에 1군으로 복귀'''했다. * 6월 18일 : SK 대 LG 전에서 LG [[정성훈]]이 '''개인통산 250 2루타'''(역대 21번째)를 달성했다. * 6월 19일 * 두산 대 한화 전에서 한화 [[류현진]]이 '''개인통산 1000탈삼진'''(역대 22번째)을 달성했다. 이는 역대 '''최연소'''(만 24세 2개월 25일. 종전기록 롯데 주형광, 만 24세 3개월 14일)·'''최소경기'''(153경기. 종전기록 한화 [[정민철]], 180경기)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덧붙여 '''6년 연속 세자릿수 탈삼진'''(역대 7번째)도 달성했다.(데뷔와 동시에 6년 연속은 역대 5번째) * 삼성 대 기아 전에서 삼성 [[오승환]]이 '''역대 최소경기 20세이브 타이'''를 달성했다.(26경기, 역대 3번째이며 종전 기록 달성자는 94년 [[정명원]]과 06년 오승환) * 6월 21일 * SK 대 기아 전에서 SK [[정우람]]이 '''통산 104홀드'''를 기록하며 '''역대 개인통산 홀드 신기록'''(종전기록 LG [[류택현]], 103개)을 수립했다. 이는 역대 '''최연소기록'''과 '''최소경기'''(만 26세 20일, 447경기. 종전기록 류택현 만 37세 10개월 19일, 791경기)도 동시에 경신한 것이다. * 두산 대 롯데 전에서 [[두산 베어스]]가 '''팀통산 800세이브'''(역대 3번째)를 달성했다. * 6월 23일 * 두산 대 롯데 전에서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가 '''개인통산 900사사구'''(역대 9번째)를 달성했다. * SK 대 기아 전에서 [[KIA 타이거즈]]가 '''팀통산 2만 1000탈삼진'''(역대 최초)을 달성했다. * 한화 대 삼성 전에서 삼성 [[진갑용]]이 '''개인통산 1500경기 출장'''(타자 역대 22번째)을 기록했다. * 6월 27일 : [[한화 이글스]]가 외국인 투수 [[오넬리 페레즈]]를 [[웨이버 공시]] 형식으로 방출했다. * 6월 28일 * 기아 대 롯데 전에서 [[기아 타이거즈]]가 '''팀통산 4만 7000루타'''를 달성했다. 이는 [[삼성 라이온즈|삼성]]에 이은 역대 두번째 기록이다. * 삼성 대 LG 전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승리함으로써 2009년 4월 11일 이후 '''808일 만에 정규리그 1위'''에 올랐다. 반면 전날까지 1위였던 [[SK 와이번스]]는 이날 [[한화 이글스|한화]]에 패하면서 436일 만에 1위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 6월 30일 : 한화 대 SK 전에서 SK [[최정]]이 '''6년 연속 두자릿 수 홈런'''(역대 29번째)을 기록했다. ==== 7월 ==== * 7월 1일 * SK 대 넥센 전에서 SK [[김성근]] 감독이 '''감독통산 23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 이는 [[김응용]] 전 감독을 잇는 역대 2번째 기록이다. * 롯데 대 삼성 전에서 삼성 [[박석민]]이 시즌 첫 '''끝내기 밀어내기 [[볼넷]]'''(역대 41번째)을 기록했다. * 7월 3일 : 한화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범호]]가 '''개인통산 500[[볼넷]]'''(역대 33번째)을 달성했다. * 7월 5일 * LG 대 한화 전에서 LG [[이진영]]이 '''개인통산 2000루타'''(역대 31번째)를 달성했다. * 넥센 대 기아 전에서 [[기아 타이거즈]]가 '''팀통산 3600도루'''(역대 최초)를 달성했다. * 7월 6일 * 삼성 대 SK 전에서 [[SK 와이번스]]가 '''7연패'''를 기록하며 2007년 [[김성근]] 감독 부임 이후 최다 연패 타이를 기록했다. * [[한화 이글스]]가 대체 외국인 선수 [[데니 바티스타]]와의 입단 계약을 확정했다. * 7월 7일 : LG 대 한화 전에서 한화 [[강동우]]가 '''개인통산 1100안타'''(통산 55번째)를 달성했다. * 7월 8일 * 기아 대 LG 전에서 기아 [[조범현]] 감독이 '''감독통산 500승'''(역대 9번째)을 달성했다. 이 승리로 [[기아 타이거즈]]는 2009년 9월 25일 이후 '''651일 만에 정규리그 1위'''에 올랐다. 이 경기에서 승리투수가 된 기아 [[윤석민(투수)|윤석민]]은 올 시즌 '''첫 10승 투수'''가 된 반면, 패전투수인 LG [[심수창]]은 2009년 9월 26일 이후로 무승을 이어가면서, '''15연패'''를 기록했다. 한편 이 경기는 '''강우콜드'''로 종료되었다. * 7월 9일 * [[SK 와이번스]]가 외국인 투수 [[짐 매그레인]]을 [[웨이버 공시]]로 방출하고 대체 선수 [[브라이언 고든]]을 영입했다. * [[롯데 자이언츠]]가 외국인 투수 [[브라이언 코리]]를 [[웨이버 공시]]로 방출하고 대체 선수 [[크리스 부첵]]을 영입했다. * 기아 대 LG 전에서 LG [[정성훈]]이 '''개인통산 2000루타'''(통산 32번째)를 달성했다. * 7월 10일 * 롯데 대 SK 전이 비로 인해 '''시즌 첫 노게임'''으로 선언되었다. ~~그리고 [[왕뚜껑]]을 먹은 [[이대호]]…[[설렁탕을 사왔는데 왜 먹지를 못해|홈런을 쳤는데 왜 경기를 안하니]]~~ * 기아 대 LG 전에서 기아 [[김상현(1980)|김상현]]이 '''개인통산 100홈런'''(역대 55번째)을 달성했다. [[LG 트윈스]]도 [[조인성(야구)|조인성]]의 홈런으로 '''팀통산 2400홈런'''(역대 6번째)을 달성했다. * 7월 11일 : [[한화 이글스]]와 [[LG 트윈스]]가 [[유원상]]+[[양승진(야구선수)|양승진]]↔[[김광수(1981)|김광수]]의 2:1 트레이드에 합의했다. * 7월 12일 * 한화 대 롯데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8년 연속 세자릿 수 안타'''(역대 10번째)를 달성했다. * [[KIA 타이거즈]]는 이날 시즌 마지막 우천취소로 '''선샤인 타이거즈'''의 시작을 알렸다. * 7월 13일 : 두산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범호]]가 '''개인통산 1000안타'''(역대 62번째)를 달성했다. * 7월 14일 * [[삼성 라이온즈]]가 외국인 타자 [[라이언 가코]]를 [[웨이버 공시]]로 방출하고 대체 선수 [[덕 매티스]]을 영입했다. * 두산 대 기아 전에서 기아 [[한기주]]가 2006년 8월 9일 이후 '''1799일 만에 선발등판'''하며 팀에 복귀했다. 한기주는 이날 한계투구수 60개를 던지면서 3이닝 동안 2피안타 3볼넷 2실점을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 7월 19일 * 롯데 대 두산 전에서 롯데 [[홍성흔]]이 '''개인통산 1500안타'''(역대 16번째)를 달성했다. * LG 대 넥센 전에서 LG [[심수창]]이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전투수가 되면서 '''16연패'''를 기록, '''역대 투수 최다연패 타이기록'''을 이루었다. * 7월 21일 * [[삼성 라이온즈]]가 외국인 투수 [[카도쿠라 켄]]을 [[웨이버 공시]]로 방출했다. * LG 대 넥센 전에서 넥센 [[송지만]]이 '''개인통산 1800안타'''(역대 4번째)를 달성했다. 그리고 LG [[심수창]]이 시즌 6패째를 당하며 '''17연패'''로 '''역대 투수 최다연패 신기록'''(종전기록 롯데 [[김종석(1964)|김종석]] 16연패, 87년 4월 19일~91년 8월 17일)을 작성했다. * 롯데 대 두산 전에서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가 '''5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역대 42번째)을 달성했다. * 7월 23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KBO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서군이 5:4로 승리했으며, LG [[이병규(1974)|이병규]](9)가 MVP를 수상했다. 홈런 레이스에선 SK [[박정권]]이 우승했다. * [[기아 타이거즈]]가 투수 [[이대진]]을, [[롯데 자이언츠]]가 투수 [[최향남]]을 [[웨이버 공시]]했다. * 7월 27일 * SK 대 롯데 전에서 SK [[박진만]]이 '''개인통산 700타점'''(역대 27번째)을, 롯데 [[이대호]]가 '''개인통산 1100경기 출장'''(타자 역대 76번째)을 달성했다. * 삼성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범호]]가 '''개인통산 600타점'''(역대 39번째)을, [[조범현]] 감독은 '''감독통산 1000경기 출장'''(역대 8번째)을 달성했다. * 7월 29일 * 삼성 대 LG 전에서 삼성 [[박한이]]가 '''개인통산 800득점'''(역대 17번째)을 달성했다. * 7월 30일 * [[LG 트윈스]]가 KBO에 [[기아 타이거즈]]에서 웨이버 공시된 [[이대진]]에 대한 영입 의향서를 단독 제출했다. 이에 LG 측이 기아 구단에 선수 양도금 300만원을 지불하고 이대진의 잔여 시즌 연봉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입단이 공식 확정되었다. * 삼성 대 LG 전에서 LG [[이병규(1974)|이병규]](9)가 '''개인통산 800타점'''(역대 17번째)을 달성했다. * 넥센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윤석민이 '''시즌 첫 무사사구 완봉승'''(역대 115번째)을 달성했다. 윤석민 자신도 데뷔 이후 처음으로 달성한 기록이다. * SK 대 한화 전에서 SK [[박진만]]이 '''개인통산 1400안타'''(역대 23번째)를, [[이호준]]은 '''개인통산 1300경기 출장'''(역대 47번째)을 달성했다. * 7월 31일 : 트레이드 마감일 * 넥센 대 기아 전에서 넥센 [[송지만]]이 '''개인통산 1000타점'''(역대 7번째)을 달성했다. * [[넥센 히어로즈]]와 [[LG 트윈스]]가 [[송신영]]+[[김성현(1989)|김성현]]↔[[심수창]]+[[박병호]]의 2:2 트레이드에 합의했다. ==== 8월 ==== * 8월 2일 * 넥센 대 삼성 전에서 넥센 [[송지만]]이 '''개인통산 3100루타'''(역대 3번째)를 달성했다. 이전 달성자는 [[장종훈]]과 [[양준혁]]. 이 경기에서 삼성 [[오승환]]은 '''37경기 만에 30세이브'''를 거두며 1994년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정명원]]이 세운 '''최소경기 30세이브 달성'''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 8월 3일 * 넥센 대 삼성 전에서 넥센 [[심수창]]이 이적 후 첫 등판에서 패전투수가 되며 '''투수 최다연패 기록'''을 '''18'''로 늘렸다. * 기아 대 SK 전에서 기아 [[이종범]]이 '''국내 타자 최고령 홈런기록을 경신'''(40세 11개월 21일)했다. 이전기록 보유자는 [[양준혁]]의 40세 10개월 28일, 용병까지 합치면 [[펠릭스 호세]]의 42세 8일. * 8월 5일 * [[삼성 라이온즈]]가 방출된 외국인선수 [[카도쿠라 켄]]의 대체선수인 [[저스틴 저마노]]를 영입했다. * 한화 대 LG 전에서 LG [[이진영]]이 '''개인통산 600타점'''(역대 40번째)을 달성했다. * 8월 9일 * 넥센 대 롯데 전에서 넥센 [[심수창]]이 '''786일(2년 1개월 25일)만에 선발승'''을 거두면서 투수연패 기록을 끝냈다. 이 승리로 롯데전 4연패와 원정경기 12연패 기록도 동시에 끝냈다. 롯데 [[이대호]]는 '''7년 연속 200루타'''(역대 6번째)를 달성했다. * SK 대 두산 전에서 SK [[박진만]]이 '''개인통산 1700경기 출장'''(타자 역대 13번째)을 달성했다. * 8월 10일 * 넥센 대 롯데 전에서 롯데 [[홍성흔]]이 '''개인통산 5000타수'''(역대 21번째)를, [[김주찬]]이 '''6년 연속 두 자릿수 도루'''(역대 29번째)를 달성했다. * LG 대 기아 전에서 [[LG 트윈스]]가 7회초 공격에서 9안타 4볼넷을 묶어 '''12득점'''하며 '''올 시즌 한 이닝 최다득점 기록'''을 경신했다. ~~'''[[C]]'''IA 혹은 '''C'''아 타이거즈~~ * 8월 11일 * 한화 대 삼성 전에서 [[한화 이글스]]가 [[고동진(야구선수)|고동진]]의 홈런으로 '''팀 통산 3000홈런'''(역대 3번째)을 달성했다. * LG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종범]]이 '''개인통산 6000타수'''(역대 8번째)를 달성했다. * 8월 12일 * 기아 대 삼성 전에서 삼성 [[최형우]]가 '''3년 연속 20홈런'''(역대 22번째)을, 이 경기 8회초 2아웃 상황에서 등판한 [[오승환]]은 34세이브를 거두고 '''개인통산 200세이브'''(역대 3번째, 이전 달성자 LG [[김용수]], 한화 [[구대성]])[* 한일통산 200세이브를 달성한 [[임창용]]까지 포함하면 역대 4번째가 된다.]를 달성했다. 이 기록은 '''최소경기'''(334경기, '''세계신기록'''[* 메이저리그의 경우 [[보스턴 레드삭스|보스턴]]의 [[조나단 파펠본]]이 359경기, 일본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요코하마]]와 [[시애틀 매리너스|시애틀]]을 거친 [[사사키 카즈히로]]가 370경기만에 200세이브 고지를 달성했다.])와 '''국내 최연소'''(만 29세 28일. 종전기록 한화 [[구대성]], 37세 11개월 12일)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한편 이날 세계최초로 '''1경기 2세이브를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오승환 1세이브 대구 중부 소방서 1세이브~~ * 이날 타 구장 경기는 전부 우천취소 되었다. * 8월 14일 : 롯데 대 LG 전에서 LG [[정성훈]]이 '''개인통산 1400안타'''(역대 24번째)를 달성했다. * 8월 17일 : 롯데 대 기아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개인통산 1200안타'''(역대 41번째)를 달성했다. * 8월 18일 * [[SK 와이번스]]가 프런트와 재계약 문제로 갈등을 빚은 [[김성근]] 감독을 경질하고 [[이만수]] 2군 감독을 1군 감독대행으로 선임했다. 이날 삼성과의 홈경기가 종료된 후 김성근 감독 경질에 격분한 SK 팬들이 [[문학구장]] 그라운드로 난입하면서 [[문학구장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 * 롯데 대 기아 전에서 롯데 [[장원준]]이 승리투수가 되면서 '''4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역대 17번째)를, 동시에 '''6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역대 8번째)을 달성했다. * 8월 19일 * 우천취소된 75경기와 미편성된 32경기의 잔여경기 일정이 확정 발표되었다. 이로써 정규시즌은 10월 6일에 종료된다. ~~8개구단 모두가 가을야구~~ * 추가로 롯데-SK전과 삼성-LG전이 우천취소되었고, 이는 2011시즌 마지막 우천취소이다. * 8월 21일 * 한화 대 두산 전에서 한화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이 2004년 8월 4일 사직 롯데전 이후 '''2573일 만에 선발승'''을 기록했고,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는 '''개인통산 1500경기 출장'''(타자 역대 23번째)을 기록했다. * 8월 23일 * 두산 대 SK 전에서 두산 [[김선우(1977)|김선우]]가 '''3년 연속 두자릿수 승리'''(역대 41번째)를 달성했다. * 기아 대 롯데 전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팀 통산 4만 6000루타'''(역대 4번째)를 달성했다. * 8월 24일 * 삼성 대 한화 전에서 삼성 [[진갑용]]이 '''개인통산 500득점'''(역대 62번째)을 달성했다. * 기아 대 롯데 전에서 롯데 [[홍성흔]]이 '''개인통산 150홈런'''(역대 26번째)을 달성했다. * 8월 25일 : 신인 지명일 * 1라운드 1번으로 신일고 [[하주석]]이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었다. * 넥센 대 LG 전에서 넥센 [[고종욱]]이 '''한 경기 최다 3루타 타이 기록'''(2개, 역대 45번째)을 세웠다. * 8월 26일 * 삼성 대 두산 전에서 삼성 [[오승환]]이 '''15경기 연속''' 세이브를 거두어 '''연속경기 세이브 타이 기록'''을 세웠다. * LG 대 한화 전에서 [[LG 트윈스]]가 '''팀 통산 4만 6000루타'''(역대 5번째)를 달성했다. 이 경기 LG의 선발투수였던 [[레다메스 리즈]]는 4회말에 던진 공이 '''시속 161km'''로 측정되어 '''역대 프로야구 최고구속 신기록'''을 작성했다. * 8월 27일 * 삼성 대 두산 전에서 삼성 [[오승환]]이 '''16경기 연속''' 세이브를 거두어 '''연속경기 세이브 신기록'''을 세웠다. 한편 이 경기에서 삼성은 '''무[[타점]] 승리'''를 기록한다. * 8월 28일 * 삼성 대 두산 전에서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가 '''개인통산 1600안타'''(역대 11번째)와 '''2700루타'''(역대 9번째)를 달성했다. * LG 대 한화 전에서 LG의 두 이병규가 '''한 이닝 동명이인 홈런'''(역대 2번째. 최초 기록은 2010년 5월 1일, '''이때도''' 두 이병규)을 기록했다. 작은 [[이병규(1983)|이병규]]에 이어 홈런을 친 큰 [[이병규(1974)|이병규]]는 '''개인통산 2500루타'''(역대 17번째)를 달성했다. * 롯데 대 넥센 전에서 롯데 [[송승준]]이 '''4년 연속 두자릿 수 승리'''(역대 18번째)를 달성했다. ==== 9월 ==== * 9월 4일 * 롯데 대 LG 전에서 롯데 홍성흔이 '''174번째 병살타'''를 기록하면서 '''개인통산 병살타 1위'''에 올랐다.(종전 기록 [[안경현]], 172개) * 9월 6일 * 넥센 대 SK 전에서 넥센 [[송지만]]이 '''개인통산 1000득점'''(역대 6번째)을 달성했다. 이것으로 '''300홈런-1000타점-1000득점''' 기록(역대 3번째, 이전 달성자 [[장종훈]]-[[양준혁]])도 동시에 달성했다. * 9월 7일 * [[삼성 라이온즈]] [[장효조]] 2군 감독이 위암으로 별세했다. 향년 55세. [[▶◀]] * 두산 대 LG 전에서 두산 [[김동주(타자)|김동주]]가 '''5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역대 45번째)를 달성했다. * 9월 8일 * 롯데 대 SK 전에서 롯데 [[홍성흔]]이 '''7경기 연속 병살타'''를 기록하면서 '''연속경기 병살타 신기록'''을 경신(종전 기록 1997년 쌍방울 [[김기태(1969)|김기태]], 5경기)했다. ~~겹경사~~ * 9월 9일 : 롯데 대 SK 전이 '''[[롯데 자이언츠/2011년/9월/9일|909 대첩]]'''이 되었다. * 9월 14일 * [[롯데 자이언츠]]의 첫 우승을 이끈 [[최동원]] 전 한화 2군 감독이 직장암으로 별세했다. 향년 53세. [[▶◀]] * 롯데 대 삼성 전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최형우]]의 안타로 '''팀 통산 3만 3000안타'''('''역대 최초''')를 달성했다. 롯데 [[이대호]]는 '''3년 연속 100타점'''(역대 3번째)을 달성했다. * 기아 대 한화 전에서 '''한 경기 양팀 선발타자 전원안타'''(역대 3번째)란 진기록이 나왔다. [[한화 이글스]] 타선은 23안타를 몰아치며 '''올 시즌 한 경기 최다안타'''를 경신하면서 '''선발타자 전원타점'''(역대 9번째) 기록도 달성했고, 한화 [[장성호]]는 '''개인통산 350 2루타'''(역대 2번째)를 달성했다. * 9월 15일 * 롯데 대 한화 전에서 롯데 [[이대호]]가 '''개인통산 600득점'''(역대 43번째)을 달성했다. * 두산 대 넥센 전이 '''[[9.15 정전사태]]로 인해 66분간 경기가 중단'''되었다. * 9월 16일 * 두산 대 넥센 전에서 넥센 [[이숭용]]이 '''개인통산 2000경기 출장'''(역대 6번째)을 달성했다. * 9월 17일 * 퓨처스 리그 롯데 대 한화 전에서 롯데 [[이용훈(야구)|이용훈]]이 '''한국프로야구 사상 첫 [[퍼펙트 게임(야구)|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 한화 대 SK 전에서 한화 [[류현진]]이 '''6년 연속 두자릿 수 승리'''(역대 7번째)를 달성했다. '''데뷔 직후'''로만 계산할 경우 [[김시진]], [[이강철]], [[정민철]]에 이은 '''역대 4번째'''의 대기록. * 9월 18일 * 넥센 [[이숭용]]이 [[목동야구장]]에서 은퇴식을 치르고 현역생활을 마감했다. * 한화 대 SK 전에서 한화 [[카림 가르시아|가르시아]]가 '''리그 통산 100홈런'''[* 메이저리그에서 66홈런, 일본프로야구에서 34홈런를 기록했기 때문에 마이너 기록(264개)를 제외하면 이 홈런으로 개인통산 200홈런을 달성한 것이다.] 을 달성했다. * LG 대 기아 전에서 기아 [[이종범]]이 '''개인통산 1100득점 '''(역대 3번째)을 달성했다. 이 경기 11회말 기아 [[차일목]]은 '''시즌 첫 끝내기 만루홈런'''(역대 15번째)을 쳤다. '''연장전 끝내기 만루홈런'''으로는 역대 5번째. * 9월 20일 * 두산 대 삼성 전에서 두산 [[페르난도 니에베|페르난도]]가 '''시즌 첫 끝내기 [[폭투]]'''(역대 24번째)를 기록하며 삼성이 6-5로 승리했다. * 롯데 대 SK 전에서 [[롯데 자이언츠]]는 이날 승리로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 9월 21일 * 두산 대 삼성 전에서 삼성 [[박한이]]가 '''11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역대 2번째)를 달성했다. 이 부문 최초와 연속시즌 기록 보유자는 [[양준혁]]. * 9월 22일 * 기아 대 삼성 전에서 [[KIA 타이거즈]]가 '''팀 통산 3만 2000안타'''(역대 5번째)를 달성했다. * 9월 23일 * 두산 대 한화 전 9회말에 한화 김준호가 '''홈인 직전에 발이 풀려 넘어지며 아웃'''되어 1점차 상황에서 게임이 종료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 9월 24일 * SK 대 LG 전에서 승리한 [[SK 와이번스]]가 '''5시즌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역대 4번째)을 확정했다. 반면 패배한 [[LG 트윈스]]는 남은 경기에서 전승을 하고 SK가 전패를 당하더라도 '''[[666858766|9시즌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가 확정되었다. 이는 '''역대최장'''의 불명예기록. * 9월 27일 * [[삼성 라이온즈]]가 [[두산 베어스]]에 승리하며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지었다. 삼성 [[오승환]]은 23경기 연속 세이브를 기록하여 '''연속경기 세이브 아시아 신기록'''(종전기록 1998년 [[사사키 카즈히로]], 22경기)을 경신했다. * [[넥센 히어로즈]]는 [[SK 와이번스]]에 패하면서 창단 후 첫 '''정규시즌 최하위'''를 확정했다. * 9월 30일 * 삼성 대 SK 전에서 SK [[최정]]이 '''개인통산 100홈런'''(역대 57번째)을 달성했다. ==== 10월 ==== * 10월 4일 * 한화 대 롯데 전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20점'''을 올리며 '''이번 시즌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 경기는 20-2로 종료되어 18점 차로 '''이번 시즌 최다 점수 차 경기''' 기록을 경신했다. * 10월 5일 * 한화 대 롯데 전에서 한화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이 2연속 사구를 던져 '''시즌 첫 퇴장 선수'''가 되었다. 롯데 [[김주찬]]은 '''6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역대 31번째)를 달성했다. * SK 대 기아 전에서 SK [[정근우]]가 '''6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역대 32번째[* 김주찬이 5회에, 정근우가 7회에 100안타를 달성했다. 그야말로 간발의 차이.])를 달성했다. * 10월 6일 : '''정규시즌 최종일''' * LG [[박종훈(1959)|박종훈]] 감독이 성적부진의 책임을 지고 자진 사임했다. 이날 최종전을 패하면서 [[LG 트윈스]]는 [[한화 이글스]]와 승률 동률을 이루며 시즌 6위를 확정, '''[[666858766]]'''(…)을 완성했다. === 시즌 최종 순위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게임차}}}''' || '''{{{#white 승률}}}''' || || 1 || [[삼성 라이온즈]] || 133 || 79 || 4 || 50 || 0.0 || 0.612 || || 2[* 최종 순위는 한국시리즈 우승, 준우승팀을 1, 2위로 하고 나머지를 정규시즌 순위로 정한다. SK가 한국시리즈 준우승팀이므로 2위로 올라섰다.] || [[SK 와이번스]] || 133 || 71 || 3 || 59 || 8.5 || 0.546 || || 3 || [[롯데 자이언츠]] || 133 || 72 || 5 || 56 || 6.5 || 0.563 || || 4 || [[KIA 타이거즈]] || 133 || 70 || 0 || 63 || 11.0 || 0.526 || || 5 || [[두산 베어스]] || 133 || 61 || 2 || 70 || 19.0 || 0.466 || || 6 || [[LG 트윈스]] || 133 || 59 || 2 || 72 || 21.0 || 0.450 || || 6[* 4강권 이상의 팀에서 동률이 나오면 상대전적 등을 통해 순위를 가리나, 그렇지 않은 경우 그냥 공동순위로 처리한다. 이 규정에 따라서 LG와 한화는 공동 6위가 된다. 다만, 상대전적에 의해 2012년 드래프트에서는 한화가 LG보다 한 순번 앞서 지명을 하게 되며 2013년 개막전은 (원칙대로라면) LG가 정규시즌 2위와, 한화가 정규시즌 3위와 맞붙게 된다.(상대전적에서는 LG가 한화에게 12승 1무 6패로 앞섰다.)] || [[한화 이글스]] || 133 || 59 || 2 || 72 || 21.0 || 0.450 || || 8 || [[넥센 히어로즈]] || 133 || 51 || 2 || 80 || 29.0 || 0.389 || 시즌 중반까지 삼성-SK-KIA의 3파전이었으나 KIA가 부상 선수들의 속출로 후반기에 몰락하고 SK는 [[김성근]] 감독을 경질하면서 추락했으나 가을DNA 본능으로 정규시즌 3위로 마감,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며 최종순위 2위로 마감했다. 결국 삼성이 5년만에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했다. 롯데는 전반기만 해도 부진했으나 후반기에 엄청난 상승세를 기록하며 [[제리 로이스터]] 시절에도 못 해본 정규시즌 2위를 했다. 한편 LG는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공동 1위에서 7위까지 떨어지며]] [[6668587667|여전히 저주를 풀지 못했다]]. ~~[[타이거즈는 어떻게 다시 강팀이 되었나|트윈스는 어떻게 다시 강팀이 되었나]]~~. '''그리고 불과 3년후 롯데와 LG는 [[한국프로야구/2014년|운명이 뒤바뀌게 된다]].''' === [[한국프로야구/2011년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프로야구/2011년 포스트시즌)] == 정규시즌 기록 1위 == === 타자 === * [[타율|수위타자]] : [[이대호]](롯데), '''0.357''' * [[홈런]] : [[최형우]](삼성), '''30개''' * [[타점]] : [[최형우]](삼성), '''118타점''' * [[득점]] : [[전준우]](롯데), '''97득점''' * 최다[[안타]] : [[이대호]](롯데), '''176개''' * [[출루율]] : [[이대호]](롯데), '''0.433''' * [[장타율]] : [[최형우]](삼성), '''0.617''' * [[도루]] : [[오재원]](두산), '''46개''' * [[삼진(야구)|삼진]] : [[코리 알드리지]](넥센), '''139개''' * [[볼넷]] : [[장성호]](한화), '''81개''' * [[몸에 맞는 공]] : [[최정]](SK), '''20개''' * [[병살타]] : [[이대호]], [[홍성흔]](롯데), '''22개''' * [[실책(야구)|실책]] : [[김상수(타자)|김상수]](삼성), [[황재균]](롯데), '''22개''' === 투수 === * 다승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17승''' * [[평균자책점]]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2.45''' * [[탈삼진]]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178삼진''' * [[구원]] : [[오승환]](삼성), '''47세이브''' * [[홀드(야구)|홀드]] : [[정우람]](SK), '''25홀드''' * 승률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0.773''' * [[이닝]] : [[벤자민 주키치]](LG), '''187 ⅔이닝''' * 최다출장 : [[이상열(야구)|이상열]](LG), '''77경기''' * [[완봉]]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3회''' * 다패 : [[브랜든 나이트(야구)|브랜든 나이트]](넥센), '''15패''' * 피홈런 : [[안승민]](한화), [[차우찬]](삼성), '''22개''' * 피안타 : [[장원준]](롯데), '''195개''' * [[블론세이브]] : [[정재훈(1980)|정재훈]](두산), '''6개''' == 주요부문 시상자 == == [[KBO MVP]] ==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타이거즈) - 17승 5패 1세이브, 172⅓이닝, 평균자책점 2.45, 178탈삼진, 승률 0.773, 투수 4관왕 === 신인왕 === * [[배영섭]](삼성 라이온즈) - 340타수 100안타, 타율 0.294, 24타점 51득점 33도루 === [[KBO 골든글러브]] === * 투수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타이거즈) * 포수 - [[강민호]](롯데 자이언츠) * 1루수 - [[이대호]](롯데 자이언츠) * 2루수 - [[안치홍]](KIA 타이거즈) * 3루수 - [[최정]](SK 와이번스) * 유격수 - [[이대수]](한화 이글스) * 외야수 - [[최형우]](삼성 라이온즈), [[손아섭]](롯데 자이언츠), [[이용규]](KIA 타이거즈) * 지명타자 - [[홍성흔]](롯데 자이언츠) == 구단별 시즌 기록 == [include(틀:한국프로야구 구단별 2011 시즌)] [[분류:한국프로야구/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