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투자금융지주)] [include(틀:대한민국의 증권사)] [include(틀:대한민국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 ||<-2> '''{{{+2 한국투자증권}}}[br]Korea Investment Securities''' || ||<-2> [[파일:한국투자증권 로고.svg|width=100%]] || || {{{#ffffff '''정식 명칭'''}}}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 || {{{#ffffff '''영문 명칭'''}}} ||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 || {{{#ffffff '''설립일'''}}} ||[[1974년]] [[7월 16일]] || || {{{#ffffff '''업종명'''}}} ||금융 투자업 || || {{{#ffffff '''모회사'''}}} ||한국투자금융지주 || || {{{#ffffff '''상장 유무'''}}} ||[[비상장 기업]][* 한국투자금융지주가 상장되어 있음] || || {{{#ffffff '''결산월'''}}}[* 해당 칸이 없으면 다 12월 결산] ||[[12월]] 결산 법인 || || {{{#ffffff '''기업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ffffff '''신용 등급'''}}} ||AA(2019. 08. 16. 한국신용평가 기준[* 한국투자증권에서 판매하는 발행 어음 신용도도 AA다.]) || || {{{#ffffff '''대표이사'''}}} ||정일문 || || {{{#ffffff '''직원 수'''}}} ||2,682명 (2019년 말 기준) || || {{{#ffffff '''자산 규모'''}}} ||53조 4478억 (K-IFRS 2019년 12월 연결 기준) || || {{{#ffffff '''자기 자본'''}}} ||5조 4,335억원 (K-IFRS 2019년 12월 연결 기준) || || {{{#ffffff '''순이익'''}}} ||6,844억 (2019년 말 기준) || || {{{#ffffff '''점포망'''}}} ||(영업점, 영업소, 금융센터, 영업부 포함) 88개 || || {{{#ffffff '''본점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여의도동]], 한국투자증권) || || {{{#ffffff '''대표 전화'''}}} ||고객 센터 '''1544-5000''' / '''02-3276-5000''' 퇴직 연금 1588-8844 해외 선물/FX 마진 1577-1282 || ||<-2> [[http://www.truefriend.com/|홈페이지]] [[http://www.bankis.co.kr/|뱅키스]] [[http://truefriend.nodong.org/2006/|노동조합]]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4L5JP4RSQTTVYR7OUNNMDOSUQ.jpg|width=100%]]}}} || || {{{#ffffff '''여의도 본사 사옥'''}}} || [[대한민국]]의 대형 [[증권사]]. 2021년 당기 순이익 기준 국내 증권사 1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최초의 초대형 IB(투자은행)다. == 역사 == [[파일:한국투자신탁 로고(1982~2000).png|width=35%]]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사용된 로고. 1974년 한국투자신탁이라는 [[자산운용사]]로 설립했고 1982년 로고를 붉은색 계란형으로 변경했다.[* 의미는 증식과 번영, 그리고 결실을 상징하는 [[석류]]를 뜻한다.] 1986년 영국 런던에 처음으로 사무소를 열고 1988년 한국증권투자자문을 세웠다가 [[외환은행]]에 팔았으며 1992년 런던사무소를 현지법인으로 승격시켰다. [[파일:한국투자신탁증권 로고(2000~2005).png|width=35%]]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로고. 1994년에 [[여의도]] 신사옥으로 옮기고 1996년 폰뱅킹 업무를 개시했다. 1997년 IMF 사태 이후 공적자금을 투입받아 2000년 증권업으로 전환하면서 사명을 한국투자신탁증권으로 바꾸고 투자운용 부문을 한국투자신탁운용으로 분리시켰다. 2005년 [[동원증권]]을 역합병하면서 존속법인을 한국투자증권으로 하였다. 2010년 [[베트남]] EPS 증권을 인수하여 KIS 베트남을 출범하였다. 2016년 [[현대증권]] 인수전에 실패한 이후 [[우리은행]]의 과점주주로 참여하여 지분 4%를 인수하였다. 2017년 자기자본 4조 이상 초대형 [[투자은행|IB]](종합금융투자사업자)로 지정됨과 동시에 국내 최초로 발행어음 업무에 대한 인가를 받았다. 2018년 [[인도네시아]] Danpac 증권을 인수하여 KIS 인도네시아를 출범하였다. 2019년 4월에는 북경사무소를 개소하는 한편 PT KISI Asset Management 설립 및 손자회사 편입하였다. 2022년 12월 22일 한국투자증권은 한국금융지주와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보유하고 있던 카카오뱅크 주식 27.18% 전액을 인수하여 카카오뱅크의 2대주주가 되었다. 이후 한국금융지주의 3000억원 유상증자와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의 배당을 받아 자기자본이 9조원대로 상승할 전망이다. == 지배구조 == 2020년 1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한국투자금융지주]] || 100%|| == 역대 임원 == * 회장 * [[김남구]] (2020~) * 부회장 * [[김남구]] (2005~2020) * 유상호 (2019~ ) * 정일문 (2024~ ) * 대표이사 사장 * 배종승 (1974~1976) * 유길상 (1976~1980) * 김홍석 (1980~1984) * 황창익 (1984~1986) * 윤광순 (1986~1989) * 홍승환 (1989~1991) * 손홍균 (1991~1994) * 이근영 (1994~1996) * 변형 (1996~2000) * 이종남 (2000) * 홍성일 (2000~2007) * 유상호 (2007~2019) * 정일문 (2019~2023) * 김성환 (2024~ ) == 노동조합 == *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한국투자증권지부: [[민주노총]] 소속. == 여담 == * 계좌를 하나 만들면 [[KOSPI200]] 지수에 속하는 임의의 회사 주식을 1주 받는 이벤트를 했다. 물론 가격이 비싼 주식이 나올 확률은 작다. * 2021년 6월 16일 한국투자증권의 정일문 사장은 라임펀드 등과 같이 자사가 불완전 판매를 한 사모펀드 상품에 대해서 100% 전액 보상하였다.대상 펀드는 라임, 옵티머스, 디스커버리(US핀테크), 삼성젠투(Gen2), 팝펀딩(헤이스팅스), 팝펀딩(자비스), 피델리스무역금융, 헤이스팅스 문화콘텐츠, 헤이스팅스 코델리아, 미르신탁 등 806개 계좌로 총 판매액은 1584억원 규모다. 또한 한국투자증권은 펀드 100% 환매에 대한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자 100% 보상 기준을 마련하였다. 보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단순 불완전판매 △설명서 상 운용전략과 자산의 불일치 △운용자산 실재성 부재와 위험도 상이 △보증 실재성 및 신용도 불일치 △설명서 상 누락 위험 발생 △거래 상대방의 위법 및 신의원칙 위반행위 등을 포함시켰다. 다만 고지된 대로 펀드 투자가 이뤄졌으면 손실이 발생해도 이를 시장 상황에 따른 것으로 판단해 보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한국투자증권이 발표한 후 라임 사모펀드 피해자들이 [[금융감독원]]에 제재 철회를 하는 등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게 되었다. * [[2022년 8월 수도권 홍수|2022년 8월 8일]] 기계실 전력문제로 서버가 내려가는 일이 발생했다. 국내 증시 종료 직후부터 다음날 개장 전까지 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회사 관계자에 의하면, 비피해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고 함. * [[유가증권시장]]에는 [[한국투자금융지주]](한국금융지주로 검색해야 나온다)로 상장되어 있다. * 은행개설계좌 브랜드로 뱅키스가 있으며 [[이시영(배우)|이시영]]을 모델로 쓰고 있다. * [[MBC 뉴스데스크]]와 [[SBS 8 뉴스]] 경제지표 자료제공 담당도 맡은 적도 있고 [[채널A]] 뉴스에 시황 브리핑을 제공하고 있다.(이나예) * 회사 노래는 [[윤도현]]이 부른 이다. * 한국투자증권의 영업은 위탁매매(BK), 자산관리(AM), 투자은행(IB), 자산운용(Trading) 및 기타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 프랍트레이더를 두지 않는만큼 증권회사지만 보수적인 운용을 하는 회사로 알려져 있다. * 투신사에서 시작된 회사이니만큼 원래는 상호의 의미가 '한국'투자신탁증권에서 바뀐 '한국'[[투자증권]]이었지만 이후 증권사로 변경하며 '한국투자'증권으로 바뀌었다. 즉, 상호 부분이 한국에서 한국투자로 바뀌었다. 계열사의 이름을 고려하였을때 역시 마찬가지이다. === 미니스탁 === 보통 해외 주식 1주를 사려면 대개 몇십만 원이 필요하나, 주식 1주를 소수점 단위로 쪼개 '''1000원 단위로 미국 주식을 구매'''할 수 있게 하는 미니스탁이라는 앱을 개발했다. 미국 주식뿐만 아니라 미국 [[상장지수펀드|ETF]]까지도 거래 가능하다. UI는 복잡하지 않고 간편하고 직관적인 편인데 기간별 수익률 및 시가배당률 순위에 따라 주식을 나열해 어느 종목이 많이 올랐는지, 어느 종목이 배당을 많이 주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업종별 테마투자 기능이 있어 업종별 수익률도 파악할 수 있다. 심지어 개별 기업을 분석한 리서치[*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것도 있고 [[인공지능]]이 작성한 것도 있다.]까지 바로 연결되어 쉽게 볼 수 있다. 2021년 4월 업데이트 이후부터는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의 배당락일과 배당 예정일, 배당락일이 임박한 종목들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되었으며, 몇몇 종목들[* 현재 [[테슬라]], [[Apple|애플]], [[넷플릭스]], [[아마존닷컴]], [[알파벳(기업)|알파벳]] A주, [[스타벅스]], [[월트 디즈니 컴퍼니|월트 디즈니]], [[나이키]], [[코카콜라]], [[NVIDIA|엔비디아]],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등 11개 기업으로 한정되어 있다.]에 한해서는 미니톡까지 생겨 댓글을 달 수 있게 되었다. 수수료는 0.25%[* 해외주식 수수료가 이 정도면 비싼 편은 아니고 평균 수준이다.]인데, 2022년 말까지는 1만원 이하의 매수/매도 거래를 할 경우 1달에 10번까지 수수료가 없다. 신규 계좌를 개설하면 6000원어치 해외 주식[* [[코카콜라]], [[스타벅스]], [[Apple|애플]], [[화이자]] 중 선택으로 1종목(2021년 3월 기준).]을 주고, 미니스탁을 처음 가입하면 2000원짜리 해외 주식[* [[테슬라]], [[나이키]], [[AT&T]], [[켈로그]] 중 랜덤으로 1종목(2021년 3월 기준).]을 받을 수 있다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다만, 실시간 거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게 어쩔 수 없는게 많은 사람들의 주문을 모아서 회사에서 일시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보니 미국 시장이 열리기 전에 매수/매도 주문을 다 받고 나서 개장 이후에 주문을 처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장된 모든 종목이 거래 가능한게 아니라 회사에서 지정한 종목만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 아는 메이저한 종목만 거래가 가능하고 마이너한 종목은 거래가 불가능하다. 환전수수료의 경우 매수시 60% 환율, 매도시 80% 환율 우대가 적용된다. 미국 주식을 주가 아닌 부로 하는 경우에는 유용하나 미국 주식을 주요 투자 시장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닥 유용하지 않다는 평이다. == 관련 문헌 == * [[https://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publisher&kwd=%ED%95%9C%EA%B5%AD%ED%88%AC%EC%9E%90%EC%8B%A0%ED%83%81#viewKey=136207&viewType=AH1&category=%EB%8F%84%EC%84%9C&pageIdx=3&jourId=|한국투자신탁 십년사 (1984)]] [[분류:한국투자금융지주]][[분류:대한민국의 증권사]][[분류:1974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