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올림피아드]][[분류:자연과학]][[분류:2004년 설립]] [include(틀:국내과학올림피아드)] ||<-2> '''{{{+1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br]韓國中等科學올림피아드[br]Korea Junior Science Olympiad (KJSO)''' || ||<-2>{{{#!wiki style="max-width: 343px; margin: 5px auto" [[파일:KJSO.png|width=100%]]}}}|| || '''운영''' ||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위원회|| || '''분야'''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 '''대상''' ||만 15세 미만 중학생|| || '''세계대회''' ||국제 중등 과학 올림피아드[br](International Junior Science Olympiad, IJSO)|| || '''링크''' ||[[https://kjso.or.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MoEMerh3p8, width=100%)]}}} || || '''▲ [[카타르|{{{#fff 카타르}}}]] [[도하|{{{#fff 도하}}}]]에서 열린 2019년 제16회 IJSO''' || The Korea Junior Science Olympiad, KJSO이다. 1단계교육→2단계교육→3단계교육→예비한국대표단→한국대표단→IJSO출전으로 총 5단계의 교육과정이 있으며 각 교육과정이 끝날때마다 수료증을 준다. 각 단계마다 온라인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이 있으며 온라인 교육의 경우 일주일간 각 과학분야의 과제를 수행한 뒤 온라인 교육방에 게시하는 형식이다. 과제 난이도는 고등학교~대학교 과학 정도이다. 3단계교육에서는 3번의 실험평가가 진행되며 물리, 화학, 생물분야의 학부서적도 제공되는데 물리는 서웨이, 화학은 줌달, 생물은 캠밸이 제공된다고 한다. 과학한국과 IJSO에 참여할 우수한 국가대표 인재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 주관 == [[(사)국제과학영재학회]] == 목적 == 1. 과학연구의 성과추구에 대한 보상과 격려를 위해 1. 과학 영재들이 각자의 재능을 개발하는데 있어 도전시키고 자극하기 위해 1. 매년 개최되는 본 행사에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 자연과학 분야 연구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 세계 젊은 과학도들의 우정을 도모하기 위해 == 과정 == > * '''1단계''' : 물리, 화학, 생물분야의 온라인 교육 (15주)와 2단계 선발고사 > * '''2단계''' : 물리, 화학, 생물 분야의 온라인 교육 (12주)와 주말학교 (월 1회, 총 3회), 그리고 3단계 선발고사 > * '''3단계''' : 물리, 화학, 생물 분야의 온라인 교육 (10주)와 월 1회, 총 2회에 거친 주말학교, 예비한국대표단 교육대상 선발고사(이론 평가, 실험 평가) > * '''예비한국대표단''' : 물리, 화학, 생물분야의 온라인 교육 (5주)와 월 1~2회, 총 3회에 거친 주말학교 > * '''한국대표단''' : 물리, 화학, 생물 분야의 온라인 교육 (12주), 주말학교, 여름학교, 파이널 교육 등 오프라인 집중 교육 ==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 [include(틀:국제과학올림피아드)] {{{+1 International Junior Science Olympiad (IJSO) /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2> '''{{{+1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br]國際中等科學올림피아드[br]International Junior Science Olympiad (IJSO)''' || ||<-2> [[파일:IJSO.png|width=200]] || || '''개최년도''' ||2004년|| || '''개최장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분야''' ||과학|| || '''홈페이지''' ||[[http://www.ijsoweb.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IJSO)는 세계 과학영재의 조기 발굴과 과학자, 과학영재교육자 및 과학영재들의 국제적 친선을 목적으로 국가별 만 15세 이하, 6명 이하의 학생들이 출전하여 과학 전 분야(물리, 화학, 생물 중심)에 걸친 3차례의 시험(이론(객관식, 주관식), 실험(3명이 한조))으로 평가하는 개인 및 국가 대항 자연과학분야 경시대회로서, 현재 세계 유일의 과학 전 분야를 아우르는 과학올림피아드다.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주니어부나 [[국제역사올림피아드]] 등 중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히 드물다. 기간은 매년 12월 초에 9박 10일간 진행한다. 2022년 제19회 대회가 [[우크라이나]]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한국 중등 과학 올림피아드, version=2, paragraph=5)] === 역대 국제대회 === || '''회차''' || '''개최년도''' || '''개최국''' || '''대한민국 순위''' || || '''1''' || 2004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종합 4위 (금1, 은3, 동2) || || '''2''' || 2005 ||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 종합 4위 (금2, 은4) || || '''3''' || 2006 || 브라질 ([[상파울루]]) || 종합 1위 (금6) || || '''4''' || 2007 || 대만 ([[타이베이시|타이페이]]) || 종합 4위 (금2, 은4) || || '''5''' || 2008 || 대한민국 ([[창원시|창원]]) || 종합 1위 (금6) || || '''6''' || 2009 || 아제르바이잔 ([[바쿠]]) || 종합 6위 (금2, 은3, 동1) || || '''7''' || 2010 || 나이지리아 ([[아부자]]) || 종합 2위 (금3, 은3) || || '''8''' || 2011 ||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 || 종합 2위 (금3, 은3) || || '''9''' || 2012 || 이란 ([[테헤란]]) || 불참 || || '''10''' || 2013 || 인도 (푸네) || 종합 6위 (금1, 은5) || || '''11''' || 2014 || 아르헨티나 ([[멘도사]]) || 종합 10위 (은4, 동2) || || '''12''' || 2015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대구]]) || 종합 3위 (금4, 은2) || || '''13''' || 2016 || 인도네시아 ([[발리 섬|발리]]) || 종합 7위 (금1, 은5) || || '''14''' || 2017 || 네덜란드 (아른헴) || 종합 10위 (금1, 은4, 동1) || || '''15''' || 2018 || 보츠나와 (가로보네) || 종합 5위 (금2, 은4) || || '''16''' || 2019 || 카타르 ([[도하]]) || 종합 10위(금1, 은5) || || '''17''' || 2020 || 독일 ([[프랑크푸르트]]) || 취소됨[* [[COVID-19]]로 인해 취소됨. [[https://www.ijso2020.de/en/|출처]]] || || '''18''' || 2021 ||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 || 개최 예정 || ==== 참가 기록 ==== ※ 2021년 5월 27일 기준 || '''참가''' || 15회 || || '''1위''' || 2회 || || '''2위''' || 2회 || || '''3위''' || 1회 || == 내용 == 국제 대회에 출전했던 학생들에 따르면 국제 대회의 문제보다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의 문제가 더 어렵다고 한다. 3단계에선 합격자들에게 대학 전문서적을 제공하고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직접 교육하기도 한다. 모든 선발 과정마다 1주에 생물, 물리, 화학 중 두 과목을 과제로 내주는데 그 난이도는 2 과목에서 대학과정을 넘나든다.-- 가끔은 대학 전문서적에도 없고 구글링을 해도 찾을 수 없는 내용이 과제 질문으로 나오기도 한다는 얘기가 있다.-- 여담으로 2018년 KJSO에서는 3단계 선발고사 대상자를 뽑던 중 오류가 나 전원합격된 사례가 있다. 그것 때문인지 2019년 KJSO3단계에서는 전공서적이 제공되지 않았고 2020년 KJSO에서는 이전 3단계 수료로 3단계에 편입(?)한 학생을 제외하고 서웨이만 한권씩을 제공하겠다 하였으나 2020년 전형부터 오리엔테이션을 3단계부터로 옮기면서 3단계 시작할 때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였고 그때 나누어 주었기 때문인지 참가자가 예상보다 적었고 이전 3단계 수료자들에게도 배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