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기공학]][[분류: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분류:1976년 설립]][[분류:성산구]][[분류:연구개발목적기관]][[분류:과학기술정보통신부]] [include(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 [include(틀: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2> '''{{{+1 한국전기연구원}}}[br]韓國電氣開發院[br]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ERI)''' || ||<-2> [[파일:한국전기연구원 로고.svg|width=100%]] || || '''설립일''' ||[[1976년]] [[12월 29일]] || || '''원장''' ||김남균 ||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전기연구원, 너비=100%)]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불모산로10번길 12 (성주동) || || '''주무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형태''' ||기타공공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 ||<-2> [[https://www.keri.re.kr/|[[파일:한국전기연구원 로고.sv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6년]] 12월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국내 유일한 전기 전문 연구기관. 경남 창원의 본원 이외에 [[경기도]] [[의왕시]], [[안산시]], [[광주광역시]]에 분원을 두고 있다. == 소개 == 한국전기연구원은 지난 [[1976년]]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설립된 이래 지금까지 전력사업, 전기공업 및 전기이용 분야의 연구개발과 시험을 통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지금까지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통기술과 IT, NT, ET 등을 결합한 첨단 융합기술에 도전함으로써, 새로운 시대를 선도할 독창적인 신기술 개발과 지식기반형 신산업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해 나가고자 합니다. --- 본 연구소의 주요기능으로는 전력 IT 및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기술개발, 전기기기 기술 개발, 전기부품·소재 기술 개발, 전자의료기기 및 전기융합 기술 개발, 전기기기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 기술정책 수립 지원, 인력양성, 기술지원, 기술사업화 등 정부, 민간, 법인, 단체 등이 위탁하는 사업 및 연구원의 임무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의 수행 등이 있다. == 연혁 == 1976. 12. 29 한국전기기기 시험연구소 설립 1981. 01. 20 한국전기통신연구소 설립 (한국전기통신연구소로 통합) 1985. 06. 17 한국전기연구소 분리 발족 2001. 01. 01 한국전기연구원으로 개칭 == 여담 == 2021년 방영된 MBC 수목드라마 [[미치지 않고서야(드라마)|미치지 않고서야]]에서 작중 주요 무대인 전자회사로 등장한다. 오프닝 타이틀 씬에 나오는 창인사업부 단지부터가 전기연 건물이다. 다만 연구실은 실제 연구동이 아닌 실험동에 스튜디오를 짓고 촬영한 듯한데, 아마도 실제 연구실에서 촬영했다간 카메라와 스태프가 들어갈 만한 공간확보가 안 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다만 본관 건물이나 복도, 회의실 등은 그대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