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산림청 산하기관)] ||<-2> {{{#ffffff '''{{{+2 한국임업진흥원}}}'''[br]'''KoFPI'''}}} || ||<-2> [[파일:한국임업진흥원 로고.svg|width=220]] || || {{{#ffffff '''정식 명칭'''}}} ||한국임업진흥원 || || {{{#ffffff '''한자 명칭'''}}} ||韓國林業振興院 || || {{{#ffffff '''영문 명칭'''}}}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2011년]] [[1월 26일]] || || {{{#ffffff '''설립목적'''}}} ||임업인의 산림경영정보 및 임산물 생산 유통ㆍ정보 지원 등을 통한 산림소득 증대 및 산업화 촉진[br][[http://www.law.go.kr/법령/임업및산촌진흥촉진에관한법률|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제29조의 2]] || || {{{#ffffff '''업종명'''}}} ||기타 기술 시험, 검사 및 분석업 || || {{{#ffffff '''미션'''}}} ||'''산림 소득증대 및 임업의 고부가가치 창출''' || || {{{#ffffff '''비전'''}}} ||'''임업과 산촌의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임업 플랫폼''' || || {{{#ffffff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대로 475 ([[등촌동]], 원창빌딩)[br]'''산림비전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9 ([[여의도동]])[br]'''산림일자리발전소''' - [[대전광역시]] [[서구(대전광역시)|서구]] 한밭대로 755 ([[둔산동(대전)|둔산동]], 삼성생명빌딩)[br]'''임업기술실용화센터''' -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로 26 ([[계산동(유성구)|계산동]])[br]'''산양삼특화산업진흥센터'''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대맛길 87-25 (대덕리)[br]'''산양삼산약초홍보교육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백로 3840-1 (소천리)|| ||<-2> {{{#ffffff '''관련 웹사이트'''}}} || ||<-2> [[http://www.kofpi.or.kr| '''{{{#416e33 한국임업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 ||<-2> {{{#ffffff '''공식 SNS'''}}} || ||<-2> [[https://blog.naver.com/kofpi|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5]] '''{{{#416e33 한국임업진흥원 공식 블로그}}}''']][br][[https://blog.naver.com/forest_job_platform|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5]] '''{{{#416e33 한국임업진흥원 산림일자리발전소 블로그}}}''']][br][[https://youtube.com/@kofp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416e33 한국임업진흥원 공식 유튜브}}}''']][br][[https://www.facebook.com/kofpipage|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416e33 한국임업진흥원 공식 페이스북}}}''']] || ||<-2> {{{#ffffff '''관련 전화번호'''}}} || ||<-2> 대표전화: {{{#416e33 '''1600-3248'''}}} || [목차] [clearfix] == 개요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제29조의2(한국임업진흥원의 설립)''' ① [[산림청장]]은 임업인의 산림경영정보 및 임산물 생산 유통·정보 지원 등을 통한 산림소득 증대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하여 한국임업진흥원을 설립한다. ② 한국임업진흥원은 법인으로 한다. '''제29조의4(한국임업진흥원 운영 등)''' ③ 한국임업진흥원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재단|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임업인의 산림경영정보 및 임산물 생산 유통ㆍ정보 지원 등을 통한 산림소득 증대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하여 설립된 [[산림청]] 산하 [[공공기관]](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 연혁 == [[국립산림과학원]]의 일부 조직을 법인화함으로써 기존 기능 중 산림경영정보 및 임산물 유통·정보에 관한 지원기능과 목제품 품질인증ㆍ산양삼 품질관리 업무를 분리해 담당하는 공공기관으로 [[2012년]] [[1월 26일]] '한국임업진흥원'이 설립되었다. 2021년 10월 [[기상청]] 등과 함께 대전광역시 이전공공기관 지정되었으며, 2023년 6월 임업기술실용화센터 신축과 함께 1차 대전 이전 작업을 마무리했다. * [[2011년]] [[7월 25일]]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설립근거 신설 * '''[[2012년]] [[1월 26일]] : 한국임업진흥원 설립''' * [[2012년]] [[5월 7일]] :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지정 * [[2013년]] [[8월 12일]] : 국제공인시험기관 지정(KOLAS 인정제도) * [[2014년]] [[2월 17일]] : 임업지식·신기술지원단 설치 * [[2015년]] [[11월 24일]] : 산양삼산약초홍보교육관 설립 * [[2016년]] [[3월 2일]] : 소나무재선충병모니터링센터 설치 * [[2016년]] [[7월 30일]] : 산림탄소센터 및 해외사업본부 설치 * [[2018년]] [[4월 19일]] : 창업지원실 및 산촌활성화지원실 설치 * [[2018년]] [[4월 26일]] : 산림일자리발전소 출범 * [[2020년]] [[2월 10일]] : 산림빅데이터실 설치 * [[2021년]] [[2월 10일]] : 산양삼종자관리소 설립 * [[2021년]] [[6월 1일]] : 산림병해충모니터링센터 확대·개편 및 석재산업실 설치 * [[2021년]] [[10월 27일]] : 대전광역시 이전공공기관 지정 * [[2023년]] [[2월 6일]] : 산림R&D지원본부 및 글로벌산림탄소센터 확대·개편 * [[2023년]] [[6월 22일]] : 임업기술실용화센터 개관 == 조직 == * '''이사장''' * '''산림산업이사''' * 기획혁신본부 * 기획예산실 * 전략평가실 * 인재경영실 * 안전운영실 - 재무회계팀, 지방이전대응팀 * 임업소득본부 * 임산물마케팅실 - 상품화지원팀(임산물특화산업진흥센터) * 산촌진흥임업교육실 - 현장교육팀(산양삼산약초홍보교육관) * 임산물품질관리실 - 산업진흥팀(산양삼종자관리소) * 산업지원본부 * 목재산업실 * 목재품질관리실 * 석재산업실 * 산림정보본부 * 글로벌산림정보센터 - 산림탄소인증실, 해외산림협력실 * 자원정보실 * 경제통계실 * 빅데이터실 * '''산림자원이사'''(소나무재선충병모니터링센터장, 임업기술실용화센터장) * 소나무재선충병모니터링본부(산림병해충모니터링본부) * 재선충병관리실 * 병해충관리실 * 방제지원실 * 예찰분석실 * 산림R&D지원본부 * R&D기획실 * R&D실용화실 * 산림일자리발전소 * 감사실 * 이사회 == 수행 사업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제29조의3 제1항(한국임업진흥원의 사업)''' ① 한국임업진흥원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 ②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 각 호의 사업을 한국임업진흥원에 위탁하거나 대행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제3호의 사업은 한국임업진흥원에 위탁한다.|| * 임업인의 산림경영정보 및 임산물의 생산·유통 정보에 관한 지원 * ~~목재·목제품 등 임산물의 품질인증~~^^(2012. 5. 23 삭제)^^[* 2013년 목재산업 관련 조항을 통합·이관한 [[http://www.law.go.kr/법령/목재의지속가능한이용에관한법률|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삭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https://www.kofpi.or.kr/service/introduceInfo_01.do|목재제품 규격·품질 검사기관]]으로 기능하고 있다.] * '''특별관리임산물의 품질관리, 품질인증'''[* 특별관리임산물이란 토양, 종자, 종묘부터 재배, 유통까지 전 생산과정에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산양삼(오갈피나무과 [[인삼|인삼속]] 식물) 등의 임산물을 뜻한다. 2011년 7월 25일부터 품질관리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생산적합성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임업에 관한 시험·분석·조사·감정 및 기술지원 * 임업연구 성과의 기술 사업화 촉진 및 기술이전 지원 * 산림자원 및 입지 조사 설계·평가 * 해외산림자원개발 및 국제산림협력사업 *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운영·관리 및 산림분야 [[탄소배출권]] 확보사업 * 임업·산촌 분야 고용 창출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 * 그 밖에 임업·산촌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특수법인]][[분류:산림청]][[분류:강서구(서울)]][[분류:2012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