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 [include(틀:한국외국어대학교의 단과대학)] [[파일:external/www.hufs.ac.kr/img_campus_yongin04.jpg|width=50%]] '''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learfix] [목차] == 개요 ==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자연과학대학]]. == 역사 == ||1980||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문리과대학|| ||1983||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문리과대학|| ||1988||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자연과학대학||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본분교 통합)|| [[1980년]] 서울캠퍼스 문리과대학의 철학과, 물리학과(현 전자물리학과), 수학과, 화학과로 시작한 자연과학대학은 88년까지 지금의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인문대학|인문대학]] 학과들과 같은 단과대학에 속해 있었다. [[1982년]] [[10월 5일]] 전자계산학과(현재의 컴퓨터공학부)가 서울캠퍼스에 신설되었다. [[1983년]] [[9월 8일]] 용인캠퍼스로 단과대학을 이전하였다. [[1987년]] 언어학과(현 언어인지과학과)가 신설되었다. [[1988년]] 문리과대학이 인문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나누어져 자연과학대학이 탄생하였다. 같은 해 환경학과와 미생물학과(현 생명공학과)가 신설되었고 90년 10월 16일 통계학과가 추가로 신설되어 지금의 6개 학과(전자물리학과, 화학과, 수학과, 통계학과, 생명공학과, 환경학과)가 완성되었다. == 소속 학과 == === 수학과[[http://math.hufs.ac.kr/|#]] === '''Department of Mathematics''' ||1980||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문리과대학 수학과|| ||1983||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문리과대학 수학과|| ||1988||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199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수학전공|| ||1996||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수학통계학부|| ||1999||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수학정보통계학부||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본분교 통합)|| 94학번 신주현 교수 동문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수학과 졸업 이후 대학원 석박사 진학 후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기초과학 교수'''를 배출하였다. === 통계학과[[https://stat.hufs.ac.kr/stat/index.do|#]] === '''Department of Statistics''' ||1990||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통계학과|| ||199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통계학전공|| ||1996||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수학통계학부|| ||1999||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수학정보통계학부||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통계학과||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통계학과 (본분교 통합)|| 2021년에는 통계학과 '''학부(학사 과정) 재학생'''이 경제학과 및 경영학과 학생들과 연구하여, 한국연구재단 경영학 분야 전문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 전자물리학과[[https://physics.hufs.ac.kr/physics/index.do|#]] === '''Department of Electronic Physics''' '''과 구호:Physics, Physics 어디 어디 어디에서 나타났나. 외대 물리 짝짝 짝짝짝 짝짝짝짝 물리 짝짝 짝짝짝 짝짝짝짝 물리 덤빌테면 덤벼라 나쁜 무리들 끝까지 싸우리라 Physics 물리 물리 빅토리''' ||1980||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문리과대학 물리학과|| ||1983||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문리과대학 물리학과|| ||1988||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199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물리학전공|| ||1996||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물리화학부|| ||1999||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화학전자물리학부 전자물리학전공|| ||2004||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전자물리학부||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전자물리학과||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전자물리학과 (본분교 통합)|| 구성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전자물리학과''' (bachelor's degree) (1)전공과목 *광학 *고체물리 *기기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재료물리 *물리특수연구 *반도체물리 *수리물리 *양자물리 *역학 *열물리 *통계물리 *현대물리 *C언어를 이용한 수치해석 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학과'''' (master's degree) (1)전공과목(필수3) *고전역학 [G5201] *전자기학 [G5202] *양자역학 [G5203]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학과''' (doctor's degree) (1)전공과목(필수3) *고전역학 [D5201] *전자기학 [D5202] *양자역학 [D5203] (2)전공과목(선택1) *음향학 [D5204] *고체물리학 [D5205] *광학 [D5206] *프라즈마물리학 [D5207] *유체역학 [D5208] 학부 교육과정 1. 1학년 1학기 (1) 일반물리학1 [전공필수, 3학점, 3시간] * 모든 학생이 같은 강의를 듣는다. (2) 일반물리학 실험1 [전공필수, 1학점, 2시간] * 두 개의 반으로 나누어 강의를 듣는다. (화요일반, 목요일반) 보통 78교시에 자연과학관 3층 일반물리실험실에서 강의가 진행된다. 강의는 교수님이 아닌 조교가 진행한다. (3) 미적분학1 [전공선택& 수학과 전공교류, 3학점, 3시간] * 수학과 학생들과 함께 들을 수 있음. 문의:수학과 과사무실 (4) 일반화학 및 실험1 [전공선택& 화학과 전공교류, 3학점, 3시간] * 보통 전자물리학과 학생들끼리만 들음. 문의: 화학과 과사무실 2. 1학년 2학기 (1) 일반물리학2 [전공필수, 3학점, 3시간] * 모든 학생이 같은 강의를 듣는다. (2) 일반물리학 실험2 [전공필수, 1학점, 2시간] *두 개의 반으로 나누어 듣는다. (화요일반, 목요일반) 보통 78교시에 자연과학관 3층 일반물리실험실에서 강의가 진행된다. 강의는 교수님이 아닌 조교가 진행한다. (3) 미적분학2 [전공선택&전공교류, 3학점, 3시간] * 수학과 학생들과 함께 들을 수 있음. === 환경학과[[http://www.envi.hufs.ac.kr/|#]]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1988||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199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환경학전공|| ||1996||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미생물학부 환경학전공|| ||1999||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공학부 환경학전공|| ||2004||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공학부 생명화학전공|| ||200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공학화학부 생명화학전공||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본분교 통합)|| 사실상 타 대학교에 건설환경공학부 환경공학 전공, 환경공학과와 같은 전공이다. 다만 공과대학으로 분류되지 않고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류되어있다. 사실 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가 있었다면 학부로 합쳐서 공과대학으로 이전시켜도 문제는 없다. === 생명공학과[[https://bio.hufs.ac.kr/bio/index.do|#]] ===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988||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199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미생물학전공|| ||1996||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미생물학부 미생물학전공|| ||1999||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공학부 생명공학전공|| ||200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공학화학부 생명공학전공||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본분교 통합)|| 1988년 10월 29알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로 설립되어 2010년 생명공학과로 명칭이 바뀌었다. 타대학과와 다르게 한국외대는 자연대학의 입결이 높은 편인데, 바이오메디컬, 통계학 다음으로 생명공학과가 높아서 외대 이공계 탑3로 불린다. 입학 후 진로는 다양한데, 다른 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의대, 약대 편입을 준비하는 학생들도 꽤 있다. 또한 졸업 후 각 병원 연구소, 제약회사 연구소, 식품회사 연구소, 화장품 외사 연구소, 질병관리 연구소, 식약청, 국립보건원, 국립환경원 등의 기업 및 국가연구소 등에 진출한 동문들이 있다, 한때 꽃보다 남자 F4로 잘 나갔던 [[김준(배우)]]이 이 학과 출신이다. === 화학과[[http://chemistry.hufs.ac.kr/|#]] === '''Department of Chemistry''' ||1980||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문리과대학 화학과|| ||1983||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문리과대학 화학과|| ||1988||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199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화학전공|| ||1996||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물리화학부|| ||1999||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화학전자물리학부 화학전공|| ||2004||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공학부 생명화학전공|| ||2005||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공학화학부 생명화학전공||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본분교 통합)|| 유명 동문으로는 하현준(화학91) 대한화학회 회장이 있다. [[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분류:자연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