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로고.svg|width=25]] {{{#003893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OCUC 소속대학)] [include(틀:사이버대학)]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원격대학)]}}} || ||<-2> {{{#fff '''{{{+1 한국열린사이버대학}}}[br]韓國열린사이버大學校[br]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 ||<-2> [[파일: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로고.svg|width=100%]] || || {{{#fff '''교육이념'''}}} ||[[인본주의]] || || {{{#fff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fff '''분류'''}}} ||[[파일:열린대학교육협의회 심볼.svg|width=25]] [[사립대학|사립]][[원격대학]] || || {{{#fff '''개교'''}}} ||[[2001년]] [[3월 1일]][* 가상대학 시범운영 시작은 [[1998년]] [[9월 1일]]] || || {{{#fff '''총장'''}}} ||{{{#005aab 7대 장일홍}}} || || {{{#fff '''법인'''}}} ||[[학교법인]] [[열린대학교육협의회|열린학원]] || || {{{#fff '''주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353([[상봉동]]) || || {{{#fff '''웹사이트'''}}} ||[[http://www.ocu.ac.kr/|{{{#005aab 한국열린사이버대학}}}]][br][[http://cons.ocu.ac.kr/|{{{#005aab OCU컨소시엄사이버캠퍼스}}}]] || || {{{#fff '''소셜 미디어'''}}} ||[[https://www.instagram.com/ocu_cyber_uni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youtube.com/@OpenCyberUniversit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blog.naver.com/ocublo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facebook.com/ocu201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당신의 꿈이 열리는 대학교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우리대학은 1998년 교육부 가상대학 프로그램 시범운영대학으로 선정되어 2년 6개월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2001년]] 3월 개교한 최초의 [[사이버대학]] 중 하나다. [[2011년]]부터 고등교육법 상의 [[대학]]으로 전환하였다. 흔히 줄임말로 [[OCU]]로 통칭한다.[* [[대학]]에서 OCU라고 하면 대부분 이를 가리키며, 간혹 대학 내 온라인강의(사이버강의)와 혼동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그것은 각 대학마다 부르는 축약어가 따로 있다.] OCU컨소시엄은 사이버공간을 통한 대학교육 및 학술교류의 대표적인 모범사례로서, 1997년부터 [성균관대학교]를 비롯한 당시 12개 국내 유수대학 및 2개 기관의 컨소시엄 구성으로 시작하여, 2023년 86개 대학으로 [[21세기]] 열린교육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 간 사이버교육 학술교류 협의체이다. == 상세 == OCU는 [[1997년]]부터 [[성균관대학교]]를 비롯한 [[강릉원주대]], [[공주대]], [[동덕여대]], [[부경대]], [[순천향대]], [[충북대]], [[제주대]] 등 당시 12개 국내 유수대학 및 [[중앙일보]], 영산정보통신 등 2개 기관의 컨소시엄 구성을 시작으로 2년 6개월간의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가상대학 프로그램 시범운영을 거쳐 [[2001년]] 국내 최초의 사립 [[원격대학]]으로 설립되었다.[* 세계 두번째이며 국내최초 원격대학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다] 개교 당시 인터넷어학부, 인터넷경영학부, 인터넷콘텐츠학부, 컴퓨터디자인학부 등 4개 학부가 개설되었으며, 이후 여러 [[학부]] 및 [[학과]]를 신설하고 일부 학부의 이름을 변경했다. 또한 [[2007년]] 부속기관으로 사이버[[평생교육원]]을 개원했다. 개원 당시 IT과정, 외국어과정, 취업경력개발과정, 자격증과정을 설치했다. [[2008년]]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주관한 ‘한국 산업의 브랜드 파워(K-BPI)’에서 사이버대학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그 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실시한 [[원격대학]] 종합평가에서 우수대학교로 선정되었다. [[2009년]] 고등교육법의 적용을 받는 [[고등교육기관]]으로 전환인가를 받았으나 취소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8&aid=0002285668|#]] [[2010년]] [[학교법인]] 이름을 '열린사이버대학교'에서 '열린학원'으로 변경하였고, [[사이버대학]] 전환인가도 다시 받아 [[2011년]]부터 정식 [[대학]]이 되었다. [[2013년]] 부설기관으로 산학협력단을 신설했다. [[2016년]] 7월 교명을 '열린사이버대학교'에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로 변경했다. 부설기관으로 교수학습지원센터, 컨소시엄센터[* [[OCU 컨소시엄]]: [[:틀:OCUC 소속대학|OCU를 지원하는 대학]] 학생들이 수강신청으로 OCU과목을 신청했다면 해당 사이트에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아이디는 자신의 대학 [[이니셜]]+[[학번]]으로 통일되며 비밀번호는 개인이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 [[평생교육원]]이 있고 부설연구기관으로 숲생태복지연구소, 은퇴연구소와 창업연구소, 뷰티건강산업연구소가 있다. 평생교육원은 온라인 수업으로 [[학점]]을 이수, 이를 누적하여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학점은행제]]와 자격증 강의를 전문으로 한다. 은퇴연구소에서는 [[은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은퇴설계 전문가를 양성한다. 창업연구소에서는 [[창업]]과 관련해 체계적으로 시장조사를 실시하며 성공적인 창업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열린사이버대학은 실무 위주의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품질을 인증 받은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또 바쁜 직장생활, 온라인 수업환경이 낯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열린멘토링제도, 학생밀착관리서비스인 학습매니저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일반 대학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고 다양한 [[장학금]]을 지원한다. 졸업생들은 향후 2년 동안 무료로 강의를 다시 들을 수 있다. 현재 국내 84개(국공립: 25개, 사립: 59개) [[종합대학]]이 구성한 [[OCU 컨소시엄]]을 통해 학술교류 및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OCU 컨소시엄이 가능한 학교들은 [[수강신청]]에서 OCU교수의 [[인터넷 강의]]를 신청 및 집에서 편안하게 수강할 수 있으며 [[학점]]도 인정된다!][* 물론 OCU컨소시엄을 지원하지 않는 학교들이 더 많으니 진학 시 잘 참고할 것. 보통 학교 홈페이지 학사제도나 학칙 부분에 설명이 적혀있으니 참고하자. 각 대학마다 기준이 모두 다른데 통상적으로 학기당 최대 1과목 내지 2과목(3학점 내지 6학점), 총 4과목에서 8과목(12학점 내지 24학점)까지 수강할 수 있도록 학칙으로 정해놨다. 또한 대학마다 수강신청할 수 있는 과목들이 모두 다른데 '''A 대학에서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 B 대학에서는 없을 수도 있다.'''][* 개설과목들을 잘 찾아보면 자신의 대학 소속 교수가 개설한 과목들도 여럿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스포츠/운동 관련 교양의 경우 [[용인대학교]]에서 많이 개설하는 편이며 외국어/역사 영역의 경우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많이 개설하고 있다. 또한 종교 관련 교양의 경우 [[부산가톨릭대학교]]나 [[인천가톨릭대학교]]에서 많이 개설하는 편이다.] 국내 457개 기업 및 [[공공기관]]과 협정을 맺어 협력하고 있다. [[전문대학]]은 별도로 OCU를 지원하지 않았으나 현재 [[동양미래대학교]][* [[교양과목]]으로 지원 중이며 무려 '''3학점'''이 인정된다.]가 지원 중이다. 연간 최대 12만명이 수강할 수 있으며, [[2017년]] 기준 200만 명의 누적수강생을 기록하고 있다. == 학과 == * 사회복지학과 * 상담심리학과 * 통합치유학과 * 국방상담리더십학과 * 아동보육학과 * 자연숲치유산업학과[* [[2023년]] 신설] * 실용영어학과 * 부동산금융자산학과 * 디지털비즈니스학과 * 뷰티건강디자인학과 * 소방방재안전학과 * 인공지능융합학과 == 동문 == * [[이민혁(비투비)]] * [[최양락]] [[분류:대한민국의 원격대학]][[분류:서울특별시의 대학교]][[분류:2001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