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여자프로농구)]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여자프로농구]]의 올스타전에 대해 서술한 문서. [[2002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한 쿼터에 한정해 리그의 외국인 선수들 전원이 출전하는 등 프로농구보다는 재밌는 이벤트가 많다. 2014-15 시즌 올스타전에서는 [[부천 하나원큐|KEB하나은행]]의 [[신지현]]과 [[청주 KB 스타즈|KB 스타즈]]의 [[홍아란]]이 거위의 꿈을 같이 불러 화제가 되었다. 2015-16 시즌 올스타전은 '''당진실내체육관'''에서 개최했는데 각 구단의 연고 도시도 아닌데다가 교통도 불편해 불만스러워하는 팬이 많았다. == 역대 개최 장소 및 MVP == || '''연도''' || '''개최 장소''' || '''최우수 선수(MVP)''' || '''최우수 선수 소속 구단''' || || 2002 ||<|4> [[서울특별시|서울]] [[장충체육관]] || [[이미선(농구)|이미선]]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 || 2003 || [[타미카 캐칭]]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우리은행]] || || 2004 || [[김영옥(농구선수)|김영옥]]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현대]] || || 2005 || [[박정은(농구)|박정은]]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 || 2007 || [[용인실내체육관]] || 로렌 잭슨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 || 2007-08 ||<|2> [[부천실내체육관]] || [[정은순]] || [[부천 하나원큐|신세계]] || || 2008-09 || [[변연하]] || [[청주 KB 스타즈|KB]] || || 2009-10 || 안산와동체육관 || [[김영옥(농구선수)|김영옥]] || [[청주 KB 스타즈|KB]] || || 2010-11 || [[용인실내체육관]] || [[이종애]]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 || 2011-12 || [[부천실내체육관]] ||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 [[박정은(농구)|박정은]] || [[부천 하나원큐|신세계]],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 || 2012-13 || 경산체육관 ||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 || [[부천 하나원큐|하나외환]] || || 2013-14 || [[춘천호반체육관]] || 모니크 커리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 || || 2014-15 || [[청주실내체육관]] || [[강아정]] || [[청주 KB 스타즈|KB]] || || 2015-16 || 당진실내체육관 || 모니크 커리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 || || 2016-17 || [[용인실내체육관]] || [[강아정]] || [[청주 KB 스타즈|KB]] || || 2017-18 || [[인천도원체육관]] || [[구슬(농구선수)|구슬]], 모니크 커리 || [[부산 BNK 썸|KDB생명]], [[청주 KB 스타즈|KB]] || || 2018-19 || [[서울특별시|서울]] [[장충체육관]] || [[강이슬]] || [[부천 하나원큐|KEB하나은행]] || || 2019-20 || [[부산광역시|부산]] [[부산금정체육관|BNK센터]] || [[박지수(농구선수)|박지수]] || [[청주 KB 스타즈|KB]] || || 2020-21 ||<|2><-3> [[코로나19]]로 인하여 개최되지 않음 || || 2021-22 || || 2022-23 || [[인천도원체육관]] || [[진안(농구선수)|진안]] || [[부산 BNK 썸|BNK]] || || 2023-24 || [[아산이순신체육관]] || || || [[구리시|구리]]를 제외한[* [[구리체육관]]은 좌석이 1,000석 정도밖에 되지 않아 올스타전을 치루기 어렵다. 올스타전이 열리지 않았던 타 구단의 홈구장이던 [[인천도원체육관|도원체육관]]은 2018년에 열렸다.] 각 구단의 연고지에서 1번씩은 올스타전을 열었다. ([[용인시|용인]], [[부천시|부천]], [[안산시|안산]](신한), [[춘천시|춘천]], [[청주시|청주]]) 다만 가끔 구단들의 연고가 없는 곳에서 올스타전이 열리기도 해 ([[당진시|당진]], [[경산시|경산]][* [[최경환(1955)|최경환]] 당시 총재의 고향 겸 국회의원 지역구이다.]) 팬들이 황당해하는 경우도 있다. 몇몇 구단의 연고이전 및 재창단 이후 2022년 현재, 우리은행의 새 연고지인 아산에서만 올스타전이 열린 적이 없었고 다른 5구단의 홈에선 모두 최소 한 번 개최되었다.[* 다만 BNK는 금정체육관에서 올스타전 후 사직체육관으로 옮겨서 현재의 홈구장에선 개최한 적이 없다.] 2008년 올스타전은 한국여자프로농구 창설 10주년 기념 올스타전으로 진행되었다. 2019년 올스타전은 2005년 이후 14년 만에 장충체육관에서 열게 되었다. 2020년 올스타전은 여자농구 올스타전 처음으로 부산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2020-21 시즌과 2021-22 시즌은 [[코로나19]]의 확산이 진정되지 않아 개최하지 않았다. 2022-23 시즌에는 정상적으로 진행해 성료했다. [[파일:신한은행 SOL 2022-2023 여자프로농구 올스타 페스티벌 소개 사진.png]] 2023-24시즌엔 여자농구 출범 후 최초로 우리은행의 새 연고지인 아산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됐다. == 관련 문서 == * [[올스타전]] [[분류:한국여자농구연맹]][[분류:한국여자프로농구]][[분류:올스타전]][[분류:2002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