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여자바둑리그)] [include(틀:한국여자바둑리그 역대 시즌)] ||<-5><#d8493b> {{{#fff '''한국여자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 ||<:> [[한국여자바둑리그/2022시즌|2022 시즌]] ||<:> {{{+1 ←}}} ||<:> '''2023 시즌''' ||<:> {{{+1 →}}} ||<:> [[한국여자바둑리그/2024시즌|2024 시즌]]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2023 여자리그_로고.png|width=250]] || ||<#f9edd5> {{{#d8493b '''{{{+1 2023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 || || {{{#fff '''주최, 주관'''}}} ||<-2>[[한국기원]]|| || {{{#fff '''주관방송사'''}}} ||<-2>[[바둑TV]]|| || {{{#fff '''타이틀스폰서'''}}} ||<-2>[[NH농협은행]]|| || {{{#fff '''대회기간'''}}} ||<-2>정규리그 : [[2023년]] [[7월 6일]] ~ [[10월 19일]] 포스트시즌 : [[2023년]] [[10월 25일]] ~ [[11월 10일]] || || {{{#fff '''전기 우승팀'''}}} ||<-2>서귀포 칠십리 ([[한국여자바둑리그/2022시즌|2022시즌]]) || || {{{#fff '''참가팀'''}}} ||<-2>[[서귀포시|서귀포 칠십리]], [[순천시|순천만 국가정원]], [[삼척시|H2 DREAM 삼척]], [[부안군|부안 붉은노을]],[br][[보령시|보령 머드]], [[포스코퓨처엠]], [[부광약품]], [[여수시|여수세계섬박람회]] || ||<|3> {{{#fff '''대국규정'''}}} || 장고(1국) ||각자 4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 || 속기(2~3국) ||각자 2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 || 계가 ||한국룰 [[덤(바둑)|덤]] 6.5집 || ||<-3> {{{#!folding [ 대회 결과 ] ||<-2> {{{+1 {{{#fff '''우승'''}}}}}} || ||<-2> {{{+3 - }}} || || {{{#fff '''정규리그 우승'''}}} ||<#0961a8> {{{#FFF 삼척 '''H2 DREAM 삼척'''}}} || || {{{#fff '''MVP'''}}} || || || {{{#fff '''다승왕'''}}} || [[김은지(2007)|김은지]] (여수) - 11승 2패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여자바둑리그]]의 9번째 시즌이다. 그동안 봄철에 시즌을 시작했으나 이번 시즌은 여자바둑리그 사상 처음으로 7월에 시즌을 시작하게 된다. == 중계 == * 캐스터 : 한해원 三단, [[배윤진]] 三단, [[김여원]] * 해설 : [[최명훈]] 九단, [[백홍석]] 九단, [[박정상]] 九단 해설진에 변화가 생겼다. 먼저 류승희 캐스터를 대신해 한해원 三단이 중계에 합류했으며 홍성지 九단의 후임으로 박정상 九단이 2018시즌 이후 5시즌 만에 여자바둑리그 해설로 컴백했다. * 통상적인 정규시즌 중계진 로테이선은 목요일 한해원-박정상, 금요일 배윤진-최명훈, 토요일은 김여원-백홍석으로 진행하며 일요일은 이 중계진 로테이션 중 한 팀이 돌아가며 맡는다.(일부 해설진 스케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스케줄 변동시 김여원-박정상의 부부해설이 나올 수도 있다.]) * 이번 시즌에도 김규리, 송규상 七단[* 참고로 송규상 七단은 이번 시즌 {{{#635a59 보령 머드}}} 코치로도 활동한다.]의 진행으로 '주간 여바리' 유튜브 방송이 진행된다. == 참가팀 == ||<-4> '''{{{#FFF 2023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참가 구단}}}''' || ||<-2> '''팀명''' || '''연고지''' || '''감독''' || || [[파일:서귀포2023.png|width=50]] ||<#ef7e1a> {{{#fff 서귀포 '''서귀포 칠십리'''[br]{{{-1 (전기 정규리그 + PS 통합 우승)}}}}}} || 제주 서귀포시 || [[김혜림(1992)|김혜림]] || || [[파일:순천2023.png|width=50]] ||<#0c5430> {{{#fff 순천 '''순천만 국가정원'''[br]{{{-1 (전기 정규 + PS 통합 준우승)}}}}}} || 전남 순천시 || 이상헌 || || [[파일:삼척2023.png|width=50]] ||<#0961a8> {{{#fff 삼척 '''H2 DREAM 삼척'''[br]{{{-1 (전기 정규 + PS 통합 3위)}}}}}} || 강원 삼척시 || [[이다혜(바둑기사)|이다혜]] || || [[파일:부안-붉은노을.png|width=50]] ||<#744b7c> {{{#fff 부안 '''붉은노을'''[br]{{{-1 (전기 정규 + PS 통합 4위)}}}}}} || 전북 부안군 || [[김효정(바둑 기사)|김효정]] || || [[파일:보령2023.png|width=50]] ||<#635a59> {{{#fff 보령 '''보령 머드'''[br]{{{-1 (전기 정규리그 5위)}}}}}} || 충남 보령시 || [[김미리]] || || [[파일:포스코2023.png|width=50]] ||<#005890> {{{#fff 포항 '''포스코퓨처엠'''[br]{{{-1 (전기 정규리그 6위)}}}}}} || 경북 포항시 || 이정원 || || [[파일:부광약품2023.png|width=50]] ||<#71bf4f> {{{#fff 서울 '''부광약품'''[br]{{{-1 (전기 정규리그 7위)}}}}}} || 서울특별시 || [[권효진(1982)|권효진]] || || [[파일:여수2023.png|width=50]] ||<#01b4bb> {{{#fff 여수 '''여수세계섬박람회'''[br]{{{-1 (전기 정규리그 8위)}}}}}} || 전남 여수시 || [[이현욱]] || * 참가팀은 전기와 동일하나 '삼척해상케이블카'는 'H2 DREAM 삼척'으로, '포스코케미칼'은 '포스코퓨처엠'[*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한국바둑리그 시즌 도중]]에 모기업 사명이 바뀌었다.], '섬섬여수'는 '여수세계섬박람회'로 팀명을 변경했다. * '보령 머드'는 [[문도원]] 三단의 후임으로 [[김미리]] 五단이 새로 감독을 맡게됐다. * '부안 새만금 잼버리'는 8라운드부터 '부안 붉은노을'로 팀명을 교체한다. == 시작하기 전에 == * [[코로나19]] 영향으로 한시적으로 폐지된 '''외국인 선수 제도가 4년 만에 부활한다.''' 이번 시즌에는 일본의 [[나카무라 스미레]] 三단과 [[후지사와 리나]] 六단, 중국의 우이밍 四단이 외국인 선수로 여자바둑리그에 참여한다. 동시에 이번 시즌 외국인 선수들은 직접 한국에 방문하여 대면대국을 진행한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023/0003769337|#]] * 이번 시즌은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에 이어 '''피셔방식'''을 도입했다. 장고대국은 '''각자 기본시간 4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한 판을 진행하며, 속기는 '''각자 기본시간 2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두 판을 진행, KB리그와 동일한 시간 방식으로 장고판과 속기판의 대국 규정을 운영하게 된다. * 경기 시작시간은 종전 1~2국 저녁 7시, 3국 저녁 8시 30분에서 '''1~2국 저녁 7시 30분, 3국 밤 9시'''로 대국 시작 시간이 조정됐다. * 정규시즌은 종전과 동일하게 '''14라운드 더블 풀리그'''(최종 14라운드는 '''통합 라운드'''로 시행), 포스트시즌도 역시 동일하게 상위 4개팀 스텝레더 방식[* 준PO 최대 2번기(정규시즌 3위팀에게 1승의 어드벤티지를 준다) - PO(3번기) - 챔프전(3번기)]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대진 순반에 따른 흑백 자동 배정 시스템도 그대로 유지된다. 7월 4일에 서울 엘리아나호텔에서 개막식[* 이날 개막식에서 외국인 선수 중 유일하게 [[나카무라 스미레]]({{{#0c5430 순천}}})가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을 가진 후 7월 6일부터 2023시즌 일정에 돌입한다. == 선수 구성 및 대진 순번 == 2023 시즌 선수 선발식은 6월 13일 한국기원에서 진행됐다. 이번 시즌은 2019시즌 이후 4년 만에 '''외국인 용병 기사가 리그에 참가한다.''' * 드래프트 순서[* 지역 연고선수와 보호선수 지명을 하지 않는 팀이 포스코퓨처엠 밖에 없어 포스코에서 먼저 순번을 정했는데 포스코는 맨 마지막인 8번을 선택했고, 나머지 보호선수 지명 팀들이 순서 추첨 당시 남은 순서(1~7번)로 추첨된 결과로 자동 지정됐다.] : {{{#635a59 보령 머드}}} → {{{#0961a8 H2 DREAM 삼척}}} → {{{#01b4bb 여수세계섬박람회}}} → {{{#ef7e1a 서귀포 칠십리}}} → {{{#744b7c 새만금 잼버리}}} → {{{#71bf4f 부광약품}}} → {{{#0c5430 순천만 국가정원}}} → {{{#005890 포스코퓨처엠}}} (1지명과 후보선수는 드래프트 순서, 2지명과 3지명은 드래프트 역순으로 지명.) ||<-8> '''{{{#FFF 2023 NH농협은행 한국여자바둑리그 선수 지명}}}'''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1 {{{#000,#ddd 팀 배치는 지난 시즌 순위에 따른 배치}}}}}} }}} || ||<#ef7e1a><-2> {{{#fff 서귀포 칠십리}}} ||<-2><#0c5430> {{{#fff 순천만 국가정원}}} ||<#0961a8><-2> {{{#fff H2 DREAM 삼척}}} ||<#744b7c><-2> {{{#fff 새만금 잼버리}}}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 ||<-2><#97ecab,#006118> {{{-2 '''1지명'''}}}[br] [[조승아]] ||<-2><#97ecab,#006118> {{{-2 '''1지명'''}}}[br]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2><#97ecab,#006118> {{{-2 '''1지명'''}}}[br] [[김채영]] ||<-2><#97ecab,#006118> {{{-2 '''1지명'''}}}[br] 김주아 || ||<-2><#97ecab,#006118> {{{-2 '''2지명'''}}}[br] [[이민진]] ||<-2><#97ecab,#006118> {{{-2 '''2지명'''}}}[br] [[이영주(1990)|이영주]] ||<-2><#97ecab,#006118> {{{-2 '''2지명'''}}}[br] [[조혜연]] ||<-2><#97ecab,#006118> {{{-2 '''2지명'''}}}[br] 김민서 || ||<-2><#97ecab,#006118> {{{-2 '''3지명'''}}}[br] [[김윤영]][* 8라운드 부터 이서영 선수로 교체] ||<-2><#97ecab,#006118> {{{-2 '''3지명'''}}}[br] 이도현 ||<-2><#97ecab,#006118> {{{-2 '''3지명'''}}}[br] [[김은선(바둑기사)|김은선]] ||<-2><#97ecab,#006118> {{{-2 '''3지명'''}}}[br]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2><#97ecab,#006118> {{{-2 '''후보/외국인'''}}}[br] 유주현 ||<-2> {{{-2 '''후보/외국인'''}}}[br]{{{#!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카무라 스미레]]}}} ||<-2><#97ecab,#006118> {{{-2 '''후보/외국인'''}}}[br] [[김수진(1987)|김수진]] ||<-2> {{{-2 '''후보/외국인'''}}}[br]{{{#!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사와 리나]]}}} || ||<#635a59><-2> {{{#fff 보령 머드}}} ||<#005890><-2> {{{#fff 포스코퓨처엠}}} ||<#71bf4f><-2> {{{#fff 부광약품}}} ||||<#01b4bb><-2> {{{#fff 여수세계섬박람회}}}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dcdcdc,#383b40> '''보호여부''' || △ || ||<-2><#ff9,#b29a00> {{{-2 '''1지명'''}}}[br] [[최정(바둑기사)|최정]] ||<-2> {{{-2 '''1지명'''}}}[br] [[김혜민]] ||<-2><#97ecab,#006118> {{{-2 '''1지명'''}}}[br] [[허서현]] ||<-2><#97ecab,#006118> {{{-2 '''1지명'''}}}[br] [[김은지(2007)|김은지]] || ||<-2> {{{-2 '''2지명'''}}}[br] 박소율 ||<-2> {{{-2 '''2지명'''}}}[br] [[김경은]] ||<-2><#97ecab,#006118> {{{-2 '''2지명'''}}}[br] [[정유진(2006)|정유진]] ||<-2><#97ecab,#006118> {{{-2 '''2지명'''}}}[br] 이슬주 || ||<-2> {{{-2 '''3지명'''}}}[br] [[고미소]] ||<-2> {{{-2 '''3지명'''}}}[br] [[박태희(1994)|박태희]] ||<-2> {{{-2 '''3지명'''}}}[br] 김상인 ||<-2> {{{-2 '''3지명'''}}}[br] [[강다정]] || ||<-2> {{{-2 '''후보/외국인'''}}}[br] 김희수 ||<-2> {{{-2 '''후보/외국인'''}}}[br] 김선빈 ||<-2> {{{-2 '''후보/외국인'''}}}[br]{{{#!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우이밍}}} ||<-2><#ff9,#b29a00> {{{-2 '''후보/외국인'''}}}[br] 이나경 || ||<-8><:>{{{-1 {{{#ff9,#b29a00 노란색}}} {{{#fff : 지역 연고 선수,}}} {{{#97ecab,#006118 녹색}}} {{{#fff : 보호선수,}}} {{{#fff ○ : 전체 보호, △ : 일부 보호, × : 전체 재건}}} }}}|| * 3년 보호 연한 해제 선수(괄호 안의 팀은 지난 시즌 소속팀) : 강다정, 김경은, 박소율 (이상 {{{#635a59 보령}}}) * 이번 시즌 선수 선발식 결과 무려 6팀이 보호 지명을 행사했고[* 지역 연고지명까지 포함하면 포스코를 제외한 7팀이 모두 행사했다.], {{{#635a59 보령 머드}}}는 지역 연고 선수인 최정을 제외한 기존 멤버 전원이 보호 연한이 만료되어 박소율, 고미소, 김희수로 2~4지명을 다시 뽑았다. {{{#005890 포스코퓨처엠}}}은 4명의 선수를 전부 새로 뽑았다.[* 포스코의 경우 지난 시즌 주장 오정아가 국가대표팀 코치가 됐고, 2지명 김미리는 보령머드 감독이 됐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선수 전원을 풀어야 했다.] {{{#005890 포스코}}}는 김혜민, 김경은, 박태희, 김선빈으로 선수단을 구성했다. * 이번 시즌 지역 연고 지명선수로 지정된 선수는 최정({{{#635a59 보령}}})과 이나경({{{#01b4bb 여수}}})다. 최정과 이나경 모두 해당 연고지가 고향인 선수들이라 5년 보유 규정이 적용된다. '{{{#635a59 보령 머드}}}' 지역 연고 선수인 충남 보령시 출신의 최정은 이번이 지역 연고 지명 4년차를 맞이하는 시즌이며 '{{{#01b4bb 여수세계섬박람회}}}' 지역 연고 선수인 전남 여수시 출신 이나경은 이번 시즌 부터 2027시즌까지 보유가 가능하다. * 4년 만에 부활한 외국인 선수 제도에 따라 이번 시즌 외국인 선수를 영입한 팀은 {{{#0c5430 순천만 국가정원}}}, {{{#744b7c 새만금 잼버리}}}, {{{#71bf4f 부광약품}}} 세 팀으로 모두 사전 섭외를 통해서 선수를 영입했다. '{{{#0c5430 순천만 국가정원}}}'은 일본 최연소 타이틀 홀더 기록을 보유한 [[나카무라 스미레]]를 영입했으며, '{{{#744b7c 새만금 잼버리}}}'는 2019년 '부안 곰소소금' 시절 우승 멤버였던 [[후지사와 리나]]를 4년 만에 다시 불러들였다. 그리고 '{{{#71bf4f 부광약품}}}'은 중국 여자바둑계 차세대 신예로 주목받는 우이밍을 영입했다. * '{{{#ef7e1a 서귀포 칠십리}}}'의 조승아와 이민진, '{{{#71bf4f 부광약품}}}'의 허서현과 정유진 그리고 '{{{#0961a8 H2 DREAM 삼척}}}'팀 멤버 전원(김채영, 조혜연, 김은선, 김수진), '{{{#0c5430 순천만 국가정원}}}'의 오유진은 이번 시즌으로 3년 보호연한 마지막 시즌을 맞이한다. * 김희수({{{#635a59 보령}}})와 이나경({{{#01b4bb 여수}}})은 이번 시즌을 통해 여자바둑리그 데뷔 시즌을 맞이하게 되며 3-4지명급 단골 멤버였던 김노경, 이유진, 권주리 등의 기사는 이번 시즌 부터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 김윤영({{{#ef7e1a 서귀포}}})은 둘째 출산을 앞두고 이번 시즌 출전을 강행했는데 지난 4월에 열린 [[2023 대방건설배 시니어 vs 여자 바둑리그 챔피언스컵|대방건설배]] 우승 직후 인터뷰에서 출산 직후에 시즌 개막임을 감안해 출전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출산 후 산후 조리까지 마친 뒤에 출전 할 것으로 보인다.[* 김윤영은 결국 건강상 문제로 전반기 일정까지 소화하고 중도 하차했으며 대체 선수로 이서영 初단이 합류하게 됐다.] ---- ||<-4> '''{{{#FFF 대진 순번}}}''' || || '''1''' || '''2''' || '''3''' || '''4''' || ||<#ef7e1a> {{{#fff 서귀포 칠십리}}} ||<#71bf4f> {{{#fff 부광약품}}} ||<#0961a8> {{{#fff H2 DREAM 삼척}}} ||<#635a59> {{{#fff 보령 머드}}} || || '''5''' || '''6''' || '''7''' || '''8''' || ||<#0c5430> {{{#fff 순천만 국가정원}}} ||<#744b7c> {{{#fff 새만금 잼버리}}} ||<#005890> {{{#fff 포스코퓨처엠}}} ||<#01b4bb> {{{#fff 여수세계섬박람회}}} || == 대회 진행 == === 정규리그 순위 === [include(틀: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정규리그 순위표)] === 포스트시즌 === [include(틀: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포스트시즌)] === 전체 경기 일람 === [include(틀: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 == 대회 결과 == == 여담 == * 이번 시즌은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에 도입된 것 중에서 몇가지가 여자바둑리그에 적용이 됐는데 '''피셔방식'''과 '''세레머니''' 그리고 '''계시원 없는 대국'''이 적용됐다. 여자바둑리그에서도 선수들이 직접 승리 후 세레머니를 하게된다. 또한 계시원 없이 대국이 진행되어 경기에 출전하는 모든 선수들은 착수 후 직접 계시기 버튼을 누른다.[* 계시기는 한국기원에서 사용하는 전자계시기를 쓴다. 그래서 남은 시간은 별도로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PiP]]로 보여준다.] 그러다보니 외국인 선수가 대국 시에는 해당 국가의 언어로 초읽기를 부르는 것을 설정하여 대국을 한다. * 이번 시즌 대국장에 '''선수들의 [[브로마이드]]가 배치되었다.''' 선수들이 프로필 촬영을 하면서 같이 찍었는데 매 경기 선수들이 싸인과 함께 각오를 담은 글귀를 적는다. 선수들의 사인이 담긴 브로마이드는 깜짝 퀴즈 이벤트를 열어 여기서 당첨된 바둑팬들에게 선물로 준다. [[분류:한국여자바둑리그]][[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