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1992년 설립]][[분류:산업통상자원부]][[분류:금천구]][[분류:문화재단]][[분류:에너지]] [include(틀: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 ||<-2> '''{{{+2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br]'''KEIA''' || ||<-2> [[파일: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로고.svg|width=100%]] || || {{{#ffffff '''정식 명칭'''}}}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 {{{#ffffff '''한자 명칭'''}}} ||韓國에너지情報文化財團 || || {{{#ffffff '''영문 명칭'''}}} ||'''K'''orea '''E'''nergy '''I'''nformation Culture '''A'''gency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1992년]] [[3월 25일]] || || {{{#ffffff '''설립목적'''}}} ||원자력, 신재생, 석탄, LNG 등 전력사업 및 에너지와 관련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정보의 보급 확산을 통해 국민의 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증진을 도모하고 에너지문화를 진흥시킴으로써 사회 공익에 이바지함 || || {{{#ffffff '''대표자'''}}} ||최성광 || || {{{#ffffff '''주무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 {{{#ffffff '''주요 주주'''}}} ||해당사항 없음 || || {{{#ffffff '''기업 분류'''}}} ||[[기타공공기관]] || || {{{#ffffff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 {{{#ffffff '''직원 수'''}}} ||34명^^(2023년 2분기 기준)^^ || || {{{#ffffff '''미션'''}}} ||'''열린 플랫폼 구축과 에너지 정보 대국민 서비스 제공''' || || {{{#ffffff '''비전'''}}} ||'''지속가능한 에너지 문화를 만드는 국민 소통기관''' || || {{{#ffffff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금천구]] [[남부순환로]] 1418 ([[독산동]]) || ||<-2> {{{#ffffff '''관련 웹사이트'''}}} || ||<-2> [[http://www.keia.or.kr/main/main.php| '''{{{#ffffff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공식 홈페이지}}}''']] || ||<-2> {{{#ffffff '''관련 전화번호'''}}} || ||<-2> 대표전화: {{{#ffffff '''02-859-0011'''}}} || [목차][clearfix] == 개요 == 국민의 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15개 전력 유관기관이 공동으로 출연하여 [[1992년]]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기타공공기관]]. [[1992년]] 당시 한국원자력문화재단으로 설립되었으나, [[원자력]]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전환과 전반에 대한 정보제공 및 문화교육 사업을 펼쳐나가기 위해, [[2017년]]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여담 == * [[1993년]] 설립 1년만에 [[https://blog.naver.com/jhjnetz13/222257871888|바닷가]], [[https://blog.naver.com/jhjnetz13/222257883192|방사성 폐기물]] TV광고가 나갔다. 그 당시에 KBS, MBC, SBS에서[* EBS만 제외가 되었다.] 저녁~심야 시간에 TV광고 방영이 되었다. * 2002년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현.서울교통공사)의 현직 도시철도 기관사가 광고에 출연하였다. 광고자막에 원자력 발전이 우리가 쓰는 전기의 40%를 만듭니다.가 기재되어 있고 나레이션에는 그는 매일 아침 가장 먼저 원자력을 만난다고 했다. [[https://www.adic.co.kr/gate/video/show.hjsp?id=W1350873&type=T|#]][[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124708?sid=101|#]] 광고에 등장한 전기철도는 원자력도 들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비전철 구간은 디젤열차가 주력인데 향후 배터리 충전식이나 수소열차로 교체될 경우 배터리 충전식은 원자력이 들어가 있는데 수소열차의 연료인 수소 생산시 전기분해를 쓸 경우 원자력이 들어가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