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 [include(틀: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2>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br]韓國에너지技術開發院[b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KIER)''' || ||<-2> [[파일: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로고.svg|width=100%]] || || '''설립일''' ||[[1977년]] [[9월 1일]] ||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너비=100%)]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152 (장동) || || '''주무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형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 ||<-2> [[http://www.kier.re.kr/|[[파일: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너지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및 성과확산 등을 통해 국가 성장동력 창출과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정관 1조). == 연혁 == 출처: [[https://energium.kier.re.kr/kier40year|2016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0년사]] * '''열관리시험연구소''' * 1977년 3월 16일, 대통령령으로 특정연구기관으로 지정, 설립이 결정되었다. [[오일 쇼크]]가 설립 계기였다. * 1977년 8월 23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199번지 국립공업시험원 내 '재단법인 한국열관리시험연구소'로 설립되었다. * 1978년 5월 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육성법'에 따라 "태양에너지연구소"를 산하에 설립했다. * 1978년 5월 29일, 동력자원부장관이 '한국종합에너지연구소'로 확대 개편안을 승인했다. * 1978년 8월 22일,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연구소를 착공해, 1979년 7월 14일 이전했다. * '''한국종합에너지연구소''' * 1980년 3월 12일, '재단법인 한국종합에너지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했다. * 1980년 5월 30일, [[KIST]] 부설 태양에너지연구소를 흡수 통합했다. * 1980년 12월 8일, 동력자원부에서 과학기술처로 소관이 변경되었다. * 1981년 1월 16일, '재단법인 자원개발연구소'를 흡수 통합했다. * 1986년 9월 1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분리되었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원 (현재)''' * 1991년 11월 7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했다. * 2000년 12월 3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 지역조직 == * [[대전광역시]] - 본원 * [[제주시]] - 글로벌연구센터 * [[부안군]] - 연료전지실증연구센터 * [[광주광역시]] - 친환경에너지연구센터 * [[울산광역시]] - 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 여담 == 명칭이 비슷한 [[공공기관]]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있는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기타공공기관인 것과 달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에너지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양자의 차이는 기획재정부 공공기관평가에 의거하며, 매년 기재부에서 자동시스템으로 예산구조 및 설립 근거를 파악하여 1초도 안 되는 시간에 평가가 튀어나온다. 원래는 과기정출연들도 세출예산구조상으로는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과기정출법에 의한 특수목적 연구 전문기관이라는 이유로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된다. 준정부기관의 규정을 연구 전문기관에 적용하면 현실에 안 맞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기타공공기관으로 사실상 땜빵해놓고 있는 것에 가까우며, 이 때문에 정출연들은 '연구기관'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 신설을 십몇 년째 정부와 정계에 요구하고 있다.] [[분류:에너지]][[분류: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분류:1978년 설립]][[분류:연구개발목적기관]][[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과학기술정보통신부]][[분류:대덕연구개발특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