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include(틀: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목차] [clearfix] == 생활 == 한국에너지공과대학은 학비, 기숙사비, 학식비 까지 전액 장학금으로 지원하며, 1기 학생들의 경우 학기중 1달에 50만원의 생활비까지 지원한다. 전교생이 기숙사생활을 하며, 학생들은 1달 생활비 50만원으로 주로 배달음식을 시키거나 개인 여가생활과 자기개발에 사용한다. == 총학생회 == 2022년 5월 17일, 한국에너지공대에서 1대 총학생회장단 선거가 시행되었다. 총 3개의 런닝메이트 팀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 장현규 학생과 그의 팀 <1:derland>가 한국에너지공대 1대 총학생회장으로 당선되었다. 1대 총학생회장단인 만큼, KENTECH의 기틀을 잘 닦아줄 것이라 기대해 보자. == RC == 모든 학생은 RC 기숙사에서 의무적으로 거주한다. 현재 RC기숙사는 지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원래 부영 cc에서 골프텔로 사용하던 건물을 기숙사로 사용하고 있다. 골프텔로 사용되던 건물이기 때문에, 기숙사 방 넓이나 시설은 5대 과학 특성화 대학을 넘어서 전국에서 최고 수준이라고 자부할 수 있다. === 에디슨 생활관 === 현재 KENTECH 학생들이 이용하는 기숙사 건물이다. 총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과 2층은 남학생, 3층은 여학생과 방문객이 이용하고 있다.[* 2층과 3층 사이에는 아무런 보안 장치도 없다][br]1층에는 부대시설로 택배실과 경비실, 그리고 2022년 6월 중으로 들어올 무인 편의점이 있다.[br]2층과 3층에는 세탁실과 학생들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커뮤니티룸이 하나씩 있다.[br]3층은 여학생 층이지만 커뮤니티룸에는 모든 성별이 출입 가능함을 조심하도록 하자. 에디슨관 주차장에는 족구장과 배드민턴 코트가 하나씩 있다.[br]--둘 다 야외에 있다...-- ==== 문제점 ==== ===== 소음 및 방음 문제 ===== 건물 자체의 방음 설비가 잘 안 되어있는지, 옆 호실이나 위, 아래 호실에서 나는 소리가 아주 잘 들린다.[br]--학생들이 밤마다 파티를 열기 때문에-- 잠귀가 밝다면 귀마개 등을 준비하도록 하자. ===== 시야 차단이 안 됨 ===== 호실마다 창문이 아주 [[크고 아름다운|크고]], 심지어 지면과도 매우 가까이 있어서 밖에서 안이 아주 잘 보인다. 특히 1층에 거주하면 주차장을 지나가는 다른 사람들과 방 안에서 눈이 마주치는 진풍경을 연출할 수 있다. 커튼을 잘 치고 살도록 하자. === 테슬라 커뮤니티 센터 === KENTECH 학생들이 밥을 먹거나 조별과제를 하는 장소다. 학생식당이 입점해 있으며, RC센터, RC센터장실도 여기에 있다. 또한, 예약제로 운영되는 세미나실이 지하 1층에 하나, 지상층에 3개 조성되어 있다. 지하 세미나실은 가장 규모가 크고, 빔 프로젝터, 계수대(?)가 설치되어있다. 세미나실 1에는 노트북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TV가 있으며, 세미나실 2, 3에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화이트보드가 구비되어 있다. 현재 부영 cc리조트 시절 사우나로 사용하던 공간을 헬스장(KENTECH GYM)과 대규모 세미나실로 개조하는 공사가 끝난 상태며 무료로 24시간 이용가능하다[* 2022년 7월 4일 준공]. KENTECH GYM에는 [[트레드밀]] 6대, 천국의 계단 1대를 비롯해 DRAX 최신 머신이 구비되어있으며 음향기기 또한 설치되어있다. 입학할 때 총장님께서 합격생들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학식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학식의 퀄리티가 굉장했다. == 주변 상권 == * 일반적인 대학교 상권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학교가 위치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내에 영화관([[CGV]] 나주)나 북카페, 각종 식당과 술집, 노래방, 카페 등의 시설이 있어 제한적인 문화 및 여가생활은 가능하지만 이외에는 인근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애초에 [[혁신도시|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을 비롯한 직장인들과 그 가족들을 위해 계획된 도시]]인 만큼 빛가람동 안에서는 상기한 식당, 술집, 노래방, 카페에 몇 개의 중소형 마트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상권이 거의 없어 다른 활동은 [[광주광역시]]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 이는 빛가람동이 아닌 나주 시내 타 지역에 산다고 해서 달라지는 문제는 아니며, 오히려 구시가지보다는 학교가 위치한 혁신도시가 그나마 놀 거리가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version=411, paragraph=7.1)] [[분류: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