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어의 외래어)] [include(틀:한국어의 외래어)] [목차] == 과학 == === 화학 === * [[프로판]] Propan * [[뷰테인|부탄]] Butan[* [[그리스어]] βούτυρο([[버터]])에서 왔다.] * [[메테인|메탄]] Methane * [[할로젠 원소|할로겐]] Halogen * [[나프탈렌]] Naphthalin ==== 원소 ==== * [[코발트]] Cobalt(kobold(악령)의 변형)[* 다른 금속의 제련을 하다 유독한 증기가 나와서 광부들이 이렇게 불렀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940&categoryId=60231&cid=60231|출처]] ] * [[니켈]] Nickel(악마)[* 코발트와 비슷하게 역시 다른 금속의 제련을 하다 유독한 증기가 나와서 광부들이 이렇게 불렀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981&categoryId=60231&cid=60231|출처]] ] 유래와 별개로 독일어와 영어에서 다르게 부르는 원소는 다음과 같다. 좌측이 독일어, 우측이 영어(몇개는 대한화학회 표준)이다. * [[저마늄|게르마늄]](Germanium)/[[저마늄]] * [[나트륨]](Natrium)/[[소듐]] * [[칼륨]](Kalium)/[[포타슘]] * [[니켈]](Nickel)/니켈 * [[망가니즈|망간]](Mangan)/[[망가니즈]] * [[아이오딘|요오드]][*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요트'. ](Jod)/[[아이오딘]] * [[플루오린|플루오르]](Fluor)/[[플루오린]] * [[브로민|브롬]](Brom)/[[브로민]] * [[티탄]](Titan)/[[티타늄]] * [[크로뮴|크롬]](Chrom)/[[크로뮴]] * [[몰리브데넘|몰리브덴]](Molybdän)/[[몰리브데넘]] * [[제논|크세논]](Xenon)/[[제논]] === 의학/생물학 === * [[게놈]] Genom * [[깁스]] Gibs: [[독일어]] 석고붕대(Gipsverband)에서 재료인 석고(Gips)에서 유래된 단어. 이는 독일어권 일상생활에서 쓰는 단어를 그대로 가져온 듯하다. 국내에서 기브스, 기부스란 단어도 쓰이는 것으로 보아 일본-한국 순서로 건너왔다. 일본어 위키에는 네덜란드군에게서 가져왔다는데 정확히는 구 [[독일어권]]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적 있는 북유럽, 동유럽, 세르보크로아트어, 중앙아시아에서도 쓰고 있다. 깁스라는 단어는 고대, 중세 독일어권에서 발생했고 여러나라로 퍼졌었다. 이후 독일어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가 일본에 전파하여 한국에까지 들어왔다. Gips → 기프스ギプス → 깁스 * [[노이로제]] Neurose(신경증) * [[모르핀]] Morphine * [[아스피린]] Aspirin * [[알레르기]][* [[미국식 영어]]로는 '알러지'. 흔히 알러지를 [[재플리시|일본식 영어]]로 표현한 것이 알레르기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Allergie * [[알츠하이머]] Alzheimer[* 발견한 의사 알로이스 알츠하이머에서 유래.] * [[히스테리]] hysterie * [[티푸스]] Typhus: 우리가 잘 아는 장(腸)티푸스가 여기에서 왔다. * [[비타민]][* [[미국식 영어]]로는 '바이터민'이라고 발음한다. 반면 [[영국식 영어]]로는 독일어와 비슷하게 '비터민'이라고 발음한다.] Vitamin * [[요오드 팅크]] Jodtinktur * [[파스]] pasta → 일본식 변형 * [[샬레]] Schale * [[마조히즘]] Masochismus[*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의 이름에서 유래] → 영어식 변형 * --[[왁찐]][* [[영어]]로는 '[[백신]]'. [[북한]]에서는 현재도 이렇게 부르며, 일본어도 원음에서 따와 ワクチン(와쿠친)으로 읽는다.][* 정작 독일에서는 Impfstoff라는 단어를 자주 쓴다.] Vakzin-- === 지리학 === * [[푄]] Föhn: 알프스 산맥을 넘어 부는 건조한 열풍을 뜻하던 말. * [[카르스트 지형|카르스트]] Karst[* 슬로베니아 남서부의 크라스 지방의 독일어 명칭에서 유래.] === 물리학/공학 === * [[전기 저항|옴]] Ohm[* 독일의 [[과학자]] [[게오르크 시몬 옴]]에서 따 옴.]: [[전기 저항]]의 단위. * [[헤르츠]] Hertz[* 독일의 [[과학자]]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에서 따 옴.]: 진동 수의 단위. * [[디젤]] Diesel[* 독일의 공학자 [[루돌프 디젤]]에서 따 옴.] * [[뢴트겐]] Röntgen[* 독일의 [[과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에서 따 옴.] * [[마하]] Mach[* 독일의 [[과학자]] [[에른스트 마흐]]에서 따 옴.] * [[봄베]] Bombe[* 동명의 디저트는 프랑스어이나, 과학에서 쓰이는 강철로 만든 용기(容器)로서는 독일어 유래이다.] * [[에네르기]][* 영어로는 '''[[에너지]](Energy)'''. [[드래곤볼|모 애니메이션]]의 인기로 인해 한 번 쯤은 들어봤을 [[에네르기파]]의 에네르기가 바로 이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에네르기보다 에너지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에네르기라는 표현은 에네르기파를 제외하면 사실상 사용되지 않는다. 반대로 [[북한]]에서는 에너지보다 에네르기를 더 많이 사용하며 일본은 본래는 에네르기를 많이 썼지만 점차 에너지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Energie == 철학/사상 == * [[이데올로기]] Ideologie(이념) * [[시대정신|차이트가이스트]] Zeitgeist(Zeit(시대)+Geist(정신)) * [[테제]] These(논제, 명제) * [[안티테제]] Antithese(정반대, 대조) * [[헤게모니]] Hegemonie(지배권, 패권) == 식품/요리 == * [[호프]] Hof(뜰, 농가, 궁전) * [[라거]] Lager(저장고) * [[환타]] Fanta(Fantasie(환상)의 축약어)[* '눈에 보이게 하다'라는 의미의 [[고대 그리스어]] φαντάζω에서 왔다.] * [[슈바인스학세]] Schweinshaxe(Schweins(돼지)+haxe(무릎)) * [[자우어크라우트]] Sauerkraut(Sauer(시큼한)+kraut(채소)) * [[옥토버페스트]] Oktoberfest(Oktober(10월)+fest(축제)) * [[콜라비]] Kohlrabi(kohl(양배추)+rabi(순무)) * [[슈니첼]] Schnitzel * [[마지팬]] Marzipan * [[프레첼]] Brezel → 영어에서는 Pretzel로 변화 * [[자허토르테]] Sacher[* 요리사 이름]+torte * [[햄버거]] Hamburger(지명 Hamburg(함부르크)에서 유래) * [[무스]] mus(무스, 잼의 일종) == 동물/식물 == * [[견종]] * [[닥스훈트]] Dachshund(Dachs(오소리)+Hund(개)) * [[미니어처 슈나우저|슈나우저]] Schnauzer(Schnauze(주둥이)+r(접미사)) * [[슈핏츠]] Spitz(Spitze(첨두, 선두)의 변형) * [[도베르만]] Dobermann[* 품종개량사 카를 도베르만의 이름에서 따 옴.] * [[로트와일러]][* 사실은 '로트바일러'가 정확한 발음.] Rottweiler[* 로트바일 시(市)에서 유래.] * [[햄스터]] Hamstern(사재기하다) →영어 hamster * [[에델바이스]] [[에델|Edel]](고귀한)+weiss(흰색) * [[로제]] Rose(장미) == [[등산]] == * [[비박(동음이의어)|비박]][* 흔히 비박으로 표기하고 그렇게 굳어졌지만, [[국립국어원]]의 로마자 표기법을 준수하자면 비바크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Biwak(야영) * [[자일]] Seil(밧줄) * [[아이젠]] Eisen(철, 철로 된 연장) * [[륙색]] Rucksack(Rücken(등)+sack(가방)) -> 일본식 변형 * [[코펠]] Kocher(삶는 도구) * [[링반데룽]] Ringwanderung(Ring(원) + Wanderung(방랑하기, 돌기), 환상방황) * [[카라비너]] '''Karabiner([[기병총]])'''+haken(걸쇠) * 칸테 Kante : [[암벽 등반/용어]]. 바위벽의 튀어나온 모서리. 레이백으로 오른다. * [[피켈]] Pickel(등산용 곡괭이) == 역사 == * [[카이저라이히]] Kaiserreich : '제국'. Kaiser(황제)+Reich(국가). 독일어권에서는 주로 [[독일 제국]]을 의미한다. * [[카이저]] Kaiser : '[[황제]]'. 유럽어권의 황제에 해당하는 표현이 흔히 그렇듯이, 어원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이다. * [[정치현실주의|현실 정책]] Realpolitik : Real(현실)+Politik(정치, 정책).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빌헬름 1세]] 시기 [[독일 제국]]의 외교 노선으로, 열강들과의 연대를 통해 잠재적 경쟁국들을 견제하고 균형자로서의 이익을 추구하겠다는 전략. 고유명사화되었지만, 이후에도 강대국 사이에서 전략적 균형을 추구하는 국가들의 외교 노선을 빗대는 표현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세계 정책]] Weltpolitik : Welt(세계)+Politik(정치, 정책). [[빌헬름 2세]]가 추구했던 [[독일 제국]]의 외교 노선. [[대영제국]]과의 건함경쟁이나 적극적인 팽창주의, 범게르만주의, 식민지 확보 등 독자적인 세계 패권을 추구하겠다는 전략. 고유명사화되었지만, 이후에도 [[미국]]·[[소련]] 등 비슷한 노선을 추구하는 국가들의 외교 노선을 빗대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나치]] Nazi :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및 그 추종자들을 일컫는 약칭이자 멸칭. 이 정당의 이념인 [[나치즘]] 혹은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존속했던 독일 [[제3제국]]의 비칭이기도 하다. * [[게슈타포]] Gestapo : Geheime(비밀)+Staatspolizei(국가 경찰). 나치의 비밀 경찰 * [[레벤스라움]] Lebensraum : Leben(삶)+Raum(방, 공간). [[독일인]]의 생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며 [[동유럽]] 팽창 정책을 정당화한 주장. * [[안슐루스]] Anschluss : '연결'이라는 의미지만, 역사적으로는 [[1938년]]의 [[오스트리아]] 병합을 일컫는다. * [[유겐트]] Jugend : '젊은', '젊다'는 의미지만, [[히틀러 유겐트]]는 나치의 청소년 조직을 의미한다. * [[지츠크리크]] Sitzkrieg : '착석전'. sitzen(앉다)+Krieg(전쟁). [[프랑스 침공]] 이전 [[가짜 전쟁]]을 지칭하는 말이다. * [[블리츠크리크]] Blitzkrieg : '[[전격전]]'. Blitz(전격)+Krieg(전쟁). * [[슈타지]] Stasi : Staatssicherheitsdienst(국가 안전부)의 줄임말로, 동독의 비밀경찰 조직을 일컫는다. * [[유스티츠모르트]] Justizmord : [[사법살인]] == 건축/예술 == * [[라멘(건축)|라멘]][* [[라멘|음식 라멘]]이 아니다. 그건 일본어다.] Rahmen(액자. 테두리) * [[글로켄슈필]] Glockenspiel(종들+모음) * [[파이페]] Pfeife(피리) * [[키치]] Kitsch(저속한) * [[파우스트]] Faust * [[메르헨]] Märchen(동화) * [[요들]] Jodel * [[필하모니]] Philharmonie[* 필하모'닉'은 영어식] * [[콘체르트]] konzert (초빙된 음악단 주도로 이루어지는 공연을 지칭한다.) * [[쿤스트]] kunst (예술) * 게네랄 파우제 generalpause == 경제/교통 == * [[아르바이트]][* 독일에서는 우리나라처럼 부업의 의미가 아니라 [[노동]] 자체를 가리킨다. --그게 [[일본|이곳]]을 스치면서…--] Arbeit(노동) * [[아우토반]] Autobahn(Auto(자동차)+bahn(길), 고속도로) * [[카르텔]] Kartell(협정, 기업연합): --[[경제학]] 쪽에서는 '[[담합]](짬짜미)'에 쓰인다-- * [[콘체른]] Konzern(기업연합) --이건 일본에서나 부르는 말 아닌가?-- * [[엥겔 지수]] Engel[* 독일의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指數 * [[타-알]] Tal(계곡) a를 길게 == 교육 == * [[마이스터]][* 21세기 대한민국에서는 기술전문고등학교의 호칭으로도 쓰인다.] Meister(지배자, 장인(匠人)) * [[김나지움]] Gymnasium([[체육관]], 중등교육기관) * [[킨더가르텐]] Kindergarten(Kinder(아이들)+garten(정원), [[유치원]]) * [[가베]] Gabe(Gaben(받은)+Begabung(선물), 신의 선물) == 기타 == * [[젝스키스]] Sechs Kies(Sechs(숫자 [[6]])+Kies([[수정]])) * [[국카스텐]] Guckkasten([[만화경]]) * [[테마]][* 참고로 영어로는 Theme(thㅣㅁ)으로, 발음이 매우 다르다.] Thema(주제) * [[폴터가이스트]] Poltergeist(Poltern(덜컥이다)+geist(영혼)) * [[분데스리가]] Bundesliga(Bundes(연방)+Liga(리그)) * [[도플갱어]] Doppelgänger(Doppel(이중)+gänger(보행자)) * [[에델바이스]] Edelweiß(edel(순결한)+weiß(하얀색)) * [[보난자]] Bohnanza('''Bohne([[콩]])'''+Bonanza(번영([[스페인어]]))) * [[룸펜]] Lumpen(부랑자) * [[이히리베디히]] Ich liebe dich(사랑해) : 실제 발음은 ‘이히리브디히’에 가깝다. * [[달러]] Tal(계곡) == 상표명 == * [[하우젠]] Haus(집)+Zentrum(중심)의 축약: [[삼성전자]]의 브랜드명. * [[트롬]] Trommel(원통, 드럼)의 축약: [[LG전자]]의 브랜드명. * [[지펠]] Zipel(zipfel(정상)의 변형): [[삼성전자]]의 브랜드명. [* 실무진은 Zipfel 쪽으로 의견을 모은 뒤 사내 공론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뜻밖의 얘기를 듣게 된다. Zipfel이 일반적인 뜻 말고 속어로 ‘남성의 은밀한 부분’을 뜻하기도 한다는 것이었다. 이 말뜻을 귀띔해준 이는 독일인 바우만 과장이었다. 자칫 성적인 연상과 구설을 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ZIPEL을 'Zero defect Intelligent Prestige Elegant Life style'의 이니셜(첫 글자)로 삼는 새로운 뜻을 만들어내는 전략을 썼다.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21142000/2006/06/021142000200606290616036.html|출처]] ] * [[BMW]][* 독일어 알파벳으로는 '베엠붸' 정도로 발음.]: Bayerische Motoren Werke(바이에른 자동차 공업사)의 준말. * [[폭스바겐]][* VW로 줄여쓰기도 한다. 독일인들은 99% VW라고 쓰며 '파우붸'정도로 발음한다.] Volkswagen(Volk(인민)+s(접미사)+Wagen(차)) * --das auto(자동차): 폭스바겐의 슬로건.--[* 현재는 이 슬로건이 폐기되어서 이것도 옛말.] * [[쯔바이]] zwei(숫자 [[2]]): [[니혼 팔콤]]社의 게임. * [[푸마]] Puma([[퓨마]])[* 영어식으로 읽으면 [[퓨마]]이고 독일어식으로 읽으면 [[푸마]]이다.] * [[초코하임]] choco+Heim(집)[* 그러나 의미상 약간 틀렸다. 항목 참조.] * [[험멜]][* 실제 독일어로는 [[훔멜]]이 맞다.] hummel(뒤웅벌): [[덴마크]]의 스포츠 용품 회사. * [[킨더]] Kinder([[어린이]]): [[페레로]]의 산하 브랜드. * [[오스람]] Osram(Osmium([[오스뮴]])+Wolfram[* 독일어로 텅스텐을 의미.]([[텅스텐]])의 합성어) * [[아디다스]] Adidas[* Adi(창립자 아돌프 다슬러 별명)+Das(성씨의 앞 글자) ] * [[지멘스]] Siemens[* 창립자 베르너 폰 지멘스에서 유래.] * [[발터]] Walther[* 물론 창립자 카를 발터에서 따옴.] * [[메르세데스-벤츠]] Mercedes-Benz[* 다임러 사와 벤츠 사의 합병으로 출범한 브랜드로, 다임러 사의 딜러였던 에밀 옐리네크의 딸인 메르세데스 옐리네크와 기업인 카를 벤츠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 [[태그호이어]] TAG Heuer: 스위스 시계 브랜드. * [[니베아]] Nivea * [[아그파 게바트|아그파]] Agfa: 필름 회사 * [[알리안츠]] Allianz: 보험 회사 * [[하노마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Sd.Kfz. 251 반궤도장갑차의 제작사로 유명한 그 회사 맞다.] Hanomag * [[티센크루프]] Thyssenkrupp * [[자이스]] Zeiss[* 독일어 발음대로라면 차이스다.] * [[하리보]] Haribo[* 창립자 Hans Riegel의 이름과 성 그리고 하리보의 창립지 Bonn에서 각각 두 글자씩 따온 것이다.] *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의 약자이다. 항목 참조.]: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상용차 브랜드.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7&docId=61301738&qb=7IOd7Zmc7IaN64+F7J287Ja0&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1&pid=SizQ2woRR00ssZVAiCRsssssstC-106464&sid=58Tooa8h7vqkE%2BpdFTUMtA%3D%3D|참고자료]] * 누크 NUK[* Natuerlich Und Kiefergerecht의 역두문자어. '자연스럽고 턱 발달에 가장 좋은'이라는 뜻이다.] : 젖꼭지를 비롯한 유아용품 브랜드. 구 [[보령제약]] 계열사였던 메디앙스에서 수입/현지화한 브랜드다. * [[이게파르벤]] : 제3제국의 악명높은 전범기업이다. 다른 전범기업들이 군수품 생산을 담당한 경우가 많은데 반해 이 기관은 적극적으로 히틀러의 타 인종 절멸 정책에 찬동하여 화학 약품을 납품했다. * 지이크 파렌하이트 Sieg([[승리]]) + Fahrenheit([[화씨온도]]): 남성 정장 브랜드. == 관련 문서 == * [[독일어]] * [[독일/기업]] * [[외래어 표기법/독일어]]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독일어, version=575)] [[분류:독일어 단어]][[분류:독일어]][[분류:외래어]][[분류:한독관계]][[분류:한국-오스트리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