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항성들의 연합, rd1=성협(천문학))] [include(틀:성우극회)] ||<-2> '''{{{+3 사단법인 한국성우협회}}}[br]社團法人 韓國聲優協會[br]Korea Voice Performance Association''' || ||<-2> [[파일:성우협회.jpg|width=300]] || || '''설립일''' ||[[1963년]] [[11월 17일]] || || '''법인형태''' ||사단법인 || || '''이사장''' ||[[이연희(성우)|이연희]] ||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2길 (여의도동) || || '''링크''' ||[[http://kvpa.co.kr/|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단체. 약칭은 '성협' 및 'KVPA'. == 역사 == 한국 성우계의 역사는 1924년 조선일보가 먼저 라디오 시험방송을 한 게 기원이며, 당시 최초로 시험멘트를 한 배우 [[복혜숙]](조선극우회 소속)은 '한국 성우 1호'로 기록됐다. 1927년 조선방송협회 경성방송국이 라디오 시험방송을 개시하고 최초의 라디오 드라마 <인형의 집>이 방송되면서 성우 활동의 맹아가 형성됐고, 8.15 광복 후인 1946년에 서울중앙방송국(KBS)를 통해 최초의 연속 방송극 <똘똘이의 모험>이 방영됐다. 1947년 현 KBS 성우극회의 효시인 '서울중앙방송극회'가 발족된 후, 1954년에는 공채제를 시작한 뒤 1955년에 기독교방송, 1961년 한국문화방송, 1963년 동아방송 등이 각각 성우극회를 발족하여 공채제가 뿌리내려졌다. 또한 1955년에는 성우 출연료 등급제를 개시했다. 1963년 10월경에 4개 방송사의 프로 성우들이 뭉쳐 '한국성우협회'를 결성했고, 1994년에는 사단법인으로 출범했다. == 특징 == [[한국방송공사|KBS]], [[MBC]], [[EBS]], [[투니버스]], [[대원방송]], [[대교어린이TV]] 등 성우극회가 존재하는 방송사들과 협력을 맺고 이들 산하에 있는 극회의 성우들을 관리한다. 방송사에서 실시하는 성우 공채시험에 합격한 후 약 2~3년간의 전속 기간을 거치면[* 이 시기엔 방송국에서 할당해주는 일감을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외부 일감 수주는 반드시 허락을 받아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한국성우협회에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이 생기고, 성우협회 정회원이 되면 소속 방송사에 관계없이 프리랜서로 활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전속 시절과 달리 성우 개인의 판단에 따라 외부 일감을 자유롭게 맡을 수 있다. 일종의 '개인 사업자'가 되는 셈.] 현재 성협에 소속된 성우들은 약 '''700여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탈퇴(비회원) 및 제명 그리고 언더 성우들을 제외하면 사실상 대한민국의 거의 모든 성우들이 다 여기에 들어가 있다고 보면 된다. 성우들의 수입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뷔년도 기준 10년차 이상 경력의 성우부터는 받을 수 있는 출연료가 더 높아지도록 정해놓았다.[* 10년을 기준으로 B급, A급이라고 부른다.] 일단은 한국 성우들의 권익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성우들의 정보 교류 차원에서 세미나, 연수회 등을 정기적으로 연다거나 협회 내 성우들을 넷상이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지속적인 홍보를 하는 등 나름대로의 활동은 하지만, 성우 팬들 사이에선 대내외적으로 눈에 띄는 활동이 무려 아무 일도 않는 집단으로 보일 정도로 드물어서 공기 취급해가며 부정적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2012년 말에 터진 [[임하진]] 성추행 사건에서 쉬쉬하려는 태도를 보여 안 좋은 의미로 급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성우들의 권익 보호를 위하는 활동이 주목적이라면서 프로성우들의 일거리를 빼앗는 [[연예인 더빙]], [[애니플러스]]의 유명작 판권을 싹쓸이[* 항목을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원어 그대로 방송을 밀고 있어 창립 극초기외 2017년 중순의 [[케모노 프렌즈]] 더빙을 제외하면 사실상 국내 더빙판 제작을 안하고 있었다.], [[지상파]] [[KBS|채]][[MBC|널]][[SBS|들]]의 [[외화]]/[[애니메이션]] [[더빙]]이 [[시청률]] 등 여러가지 이유로 줄어들고 있는 와중에도 무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아무 일도 안하는 집단'''이라는 이미지가 박혔다. 그외에도 각종 자잘한 사고들을 여러가지로 많이 터트려 현재는 성우팬들에게 공적으로 취급받고 있는 신세. 다만 후술될 내용(약간의 반론)도 감안하면 힘 없는 단체 취급을 받았다. 그렇다고 성협 측도 가만히 있기만 했던 건 아니었다. 2011년에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대한노인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CJ E&M 등과 함께 '수입 영상물 자막방송과 우리말 제작(더빙)에 관한 토론회'를 [[https://m.mk.co.kr/star/broadcast/view/2011/09/594684/|열었지만]] 업계 측이랑 입장차가 엇갈려 이렇다할 타협점이 안 나왔고, 그럼에도 더빙 의무화 입법화에 집중하며 19대 국회 때인 2013년 5월에 [[최동익]] 민주당 의원 등 14명이 장애인 시청 서비스에 한국어 더빙을 추가토록 하는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X1I3Y0Q5B2D0W1C1B4Z6R1J0V1F2T7|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먼저 발의했고, 6월 [[김을동]] 새누리당 의원 등 15명도 더빙 의무화를 담은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V1N3D0L6S2Q4J1K5O1C8C1W0V1K8G0|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으나 별 진전 없이 회기 만료로 자동 폐기되었고, 20대 국회 때인 2016년 12월에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11명이 시청자의 더빙/자막 선택권 부여 등을 담은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Q1H6S1U2O1Q6R1U6H0X2N3E6M9Q5J6|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21대 국회 시기인 2022년 7월에 [[도종환]] 더민주 의원 등 11명이 비슷한 내용을 담은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L2M2U0L4J2J6V1V4W5P3X1C3Z4H2L7|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냈다. == 비판 및 사건사고 == === [[임하진/성희롱 논란|임모 성우 성희롱 사건 대응 논란]] === 자세한 건 [[임하진/성희롱 논란]] 항목에 아주 자세히 서술돼있으니 그쪽 참조. === [[개그 콘서트]] [[현대레알사전#s-2|성우 비하 사건]] 무대응 === 2013년 6월 2일, KBS2 [[개그 콘서트]]의 코너 [[현대레알사전]]에서 나온 성우 비하 발언으로 파문이 일자 [[성우]]와 [[성덕]]들이 한결같이 거세게 항의하며 들고 일어났는데, 그 와중에 정작 가장 먼저 앞장 서서 강경하게 나가야할 성협은 방송이 나가고 다음날에 항의 & 강력대처 정도의 언급만하고 이후론 아무런 대처도 하지 않고 사실상 묵언하여 성덕들에게 공분을 사게 되었다. 안 그래도 그 전 [[임하진]] 사건 때 솜방망이 징계와 쉴드성 대응 등 여러가지로 한심한 작태들을 보여줬기 때문에 이미지가 안 좋아졌고, 마침 당시 징계기간이 만료된 임하진이 다시 활동을 재개하여서 심기가 상당히 불편했던 팬들에겐 성협의 이런 반응은 또다시 '''무능하고 하는 일 없는 집단, 자기네 밥그릇도 제대로 못 챙기는 바보들'''로 낙인 찍히는 구실을 제공하였다. 이후 한국방송코미디언협회(현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 회장 [[엄영수]]가 성협 측에게 대신 사과를 하여 사태가 조금 완화되려는 와중에, 당시 이사장인 성우 [[이근욱]]이 '''"상황만 탓할 순 없고, 성우들도 목소리 연마를 통해 연기의 질(質)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는 다소 얼척없는 발언을 하였다. 팬들의 반응은 '''"이게 말이야 막걸리야?"''' 식이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6/11/2013061103764.html|#]] === [[명화극장]] 종영 무대응 === [[2014년]] [[12월 26일]]에 [[명화극장]]이 종영되었는데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성우팬들이 지속적으로 문의를 넣어도 회의 중, 준비 중이라는 말만 반복하다 시간이 흐른 현재까지도 별다른 대책을 보이지 않아(...) 계속해서 까이고 있다. 대신 [[KBS 성우극회]]는 당시 극회장이던 성우 [[강희선]]이 성명을 내고 본사의 명화극장 종영을 유감으로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 [[연예인 더빙]]에 대한 무대응 === [[연예인 더빙]][* 다만 [[성우]]도 [[연예인]]이기 때문에 [[비성우 더빙]]이라는 말이 더 적합하다.]에 대해서도 이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응이나 호소를 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예인 더빙에 대해서 아무런 제재나 금지를 하지 않고있는 현행 방송법이나 영화진흥법 개정론에 대해서도 아무런 호소를 못하고 있어서 사회적, 문화적으로도 소극적이고 약하다는 비난을 받고있다. 현행 방송법이나 영화진흥법에서는 [[연예인 더빙]]을 해도 성우 경력이 없거나 성우로서 활동한 적도 한 번도 없는 연예인이나 방송인들에 대해서 더빙에 섭외하거나 출연을 시켜도 법적으로 아무런 제재나 금지 등을 하지 않고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법 개정이 요구될만도 하겠지만 성협에서는 이에 대해서 아무런 개정론 요구 등을 하지 않고있다. == 약간의 반론 == 임하진 사건을 비롯한 여러 사태에 소극적이거나 무대응을 보여주는 것으로 악평을 받는 성협이지만, 이런쪽의 문제들을 제쳐두고 우선 더빙 업계에 손을 쓰지 못하는 이유는 '''협회 운영에 필요한 자금이 없다는게 크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익단체가 적극적으로 활동하는데는 큰 돈이 필요한데, 성협은 이렇다 할 스폰서 없이 운영되고 있는 자체적인 협회인터라 [[허수아비|방송계에 이래라 저래라 압력을 넣을 수 있을 만큼 힘이 강하지 않다는 점을 알아두어야 한다.]] 개콘 사태를 봐도, 이 일의 경우 성협의 주축을 이루는 성우들이 KBS 성우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이 사건에 적극적으로 항의했던 성우들 가운데 [[정재헌]], [[김현심]]은 타사인 MBC나 투니버스 극회 성우들이었고, [[구자형]]의 경우엔 성우들 가운데서도 협회 주류와 정반대의 노선을 걷고 있는 몇 안 되는 비주류 계열 인사다. [[내부고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안했을때, KBS 자사의 대표 코미디 프로그램인 [[개그콘서트]]를 [[KBS 성우극회|KBS 출신 성우들]]이 주축으로 있는 성협이 정면으로 공격했다가는 그 후폭풍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위 문단에서도 볼 수 있듯 방송사와 성협 간의 관계는 방송사가 절대적인 갑의 위치에 서 있다. 또한 [[김자연]] 성우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관련 논란]]에서도 무대응으로 일관한 점에 대해서는 섣불리 제재 조치를 내렸다간 안 그래도 힘이 없는 성협이 오히려 언론의 뭇매를 맞아 상황을 악화시킬 수도 있는 민감한 문제이다. 오히려 당시 성우계는 윤소라를 제외하고 인원 대부분이 침묵을 지켰고, 오히려 엉뚱하게 끼어든 [[웹툰]]계, 이후 [[일러스트레이터]]계가 큰 타격을 입었다는 점에 비하면 그나마 피해를 별로 입지 않은 축이며, 오히려 성우계는 대응을 잘 한다, 적어도 프로의식은 갖추고 있다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까지 나오기도 했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그냥 가만히 있어서 중간까지 갔다는 소리.]]-- 연예인 더빙 문제는 대응 자체를 할 수 없는 문제이다. 성우들도 옛날부터 드라마와 영화, 연극, 광고 등에 출연하거나 2010년대 이후 유튜버에도 뛰어드는 시대인데 연예인이 더빙을 하는 걸 막을 명분은 없다. 설령 막는다 쳐도 이러면 연예계에서 성우들이 연예인과 겹치는 활동들을 막을 명분이 생기니 오히려 손해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성우 페이도 어느정도 통제해서 성우 일이 최저임금 혹은 그 이하로 내려가는 일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본래 공채 성우가 아닌 지망생이나 이른바 '언더'들로 녹음했던 [[KARA The Animation]]이 SBS에 방영됐을때, 한 성우팬이 이를 성협에 제보하자 조치에 나서 SBS 방영판은 공채 성우들이 더빙하여 내보내게 한 적도 있는 등 아예 일을 안하는 곳은 아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더빙 법제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http://woowonshik.tistory.com/3645|출처]] [[넷플릭스]]가 성우 배역을 공개해서는 안된다는 갑질을 했다는 것을 [[최재호(성우)|최재호]] 성우가 SNS를 통해 밝히자 성협측에서 넷플릭스에 대해 대응을 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283254|#1]]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4890917|#2]] == 임원 구성 == === 제26대 임원 === * 이사장 : [[이연희(성우)|이연희]] * 수석부이사장: [[강희선]] * 부이사장 : [[홍시호]], [[황윤걸]] * 사무총장 : [[최재호(성우)|최재호]] * 사무장 : 박현화, 이지혁 * 이사 : [[이미자(성우)|이미자]], [[이선주]], [[차명화(성우)|차명화]], [[민응식(성우)|민응식]], [[문관일]], [[박형욱]], [[이상헌(성우)|이상헌]], [[이소영(성우)|이소영]], [[김광국(성우)|김광국]], [[하성용]], [[김선혜]], [[이지환]], [[이소은(성우)|이소은]], [[이기호(성우)|이기호]], [[서원석]], [[고구인]] * 운영위원 : [[이선영(성우)|이선영]], [[송도영]], [[기영도]], [[이정구]] * 노조대의원: [[강희선]], [[곽대홍]], [[김무규]], [[김장(성우)|김장]], [[류다무현]], [[서문석]], [[유호한]], [[이상헌(성우)|이상헌]], [[이원준(성우)|이원준]], [[정훈석]], [[황윤걸]] * 감사: [[김순환]], [[변종필]] === 역대 이사장 === * 초대~2대 [[장민호(배우)|장민호]](방송극예술연구원 1기) (1966~1970) * 3~4대 [[신원균]](KBS) (1970~1974) * 5~6대 [[구민]](KBS) (1974~1978) * 7대 [[주상현]](CBS) (1978~1979) * 8대 [[류기현|유기현]](CBS) (1979~1980) * 9대 [[오승룡]](KBS) (1980~1982) * 10대 [[고은정]](KBS) (1982~1984) * 11대 구민(KBS) (1984~1986) * 12~14대 [[남성우(성우)|남성우]](KBS) (1987~1992) * 15대 [[유강진]](TBC) (1992~1993) * 16대 [[최흘]](KBS) (1994~1995) * 17대 [[정승현(성우)|정승현]](MBC) (1996~1997) * 18대 [[박상일]](KBS) (1998~1999) * 19대 [[김용식(성우)|김용식]](MBC) (2000~2001) * 20대 [[김종성]](TBC) (2002~2004) * 21대 [[배한성]](TBC) (2005~2007) * 22대 [[김익태]](KBS) (2008~2010) * 23~24대 [[이근욱]](DBS) (2011~2016) * 25~26대 [[이연희(성우)|이연희]](KBS) (2017~ ) == 관련 극회 == * [[KBS 성우극회]] * [[MBC 성우극회]][* 별도로 CM 성우를 선발했던 적이 있다.] * [[EBS 성우극회]] * [[대교방송 성우극회]] * [[대원방송 성우극회]] * [[CJ ENM 성우극회]] * [[CBS 성우극회]] * [[CPBC 성우극회]] == 관련 단체 == * [[방송통신위원회]] *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 [[한국방송실연자권리협회]] * [[한국방송예술인단체연합회]] * [[한국방송협회]] * [[한국방송연기자협회]] * [[한국연극협회]] *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 [[한국방송작가협회]] * [[한국광고영상제작사협회]] * [[한국광고주협회]] * [[한국CATV방송협회]] == 탈퇴(비회원) 및 제명 == === 남성 === * [[이우영(성우)|이우영]](KBS 성우극회 1기, 2001년 사망) * [[김인배]](KBS 성우극회 5기)[* 해외로 이민가면서 탈퇴하였다.] * 민대식(KBS 성우극회 5기)[* 모종의 사유로 제명되었다.] * [[윤병훈]](KBS 성우극회 10기, 1996년 사망)[*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홍시호]]의 [[홍시호의 홍SHOW|홍SHOW]]에서 [[장광]]이 그를 언급할 때 '돌아가신'이라는 말을 붙이는 것으로 보아 현재는 고인이 되었다.] * [[송용태]](KBS 성우극회 12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김진태(배우)|김진태]](KBS 성우극회 14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전아|전아(송세윤)]](KBS 성우극회 14기)[* 현재는 목사로 활동 중이다.] * [[백진(성우)|백진(양진식)]](KBS 성우극회 15기)[* 후배 성우 임은영을 폭행 및 협박으로 인한 제명.] * [[서지원(성우)|서지원]](KBS 성우극회 15기, 2010년 사망)[* 역시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윤병훈과 마찬가지로 홍쇼에서 장광이 고인이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 [[박제길]](KBS 성우극회 15기)[* 횡령 및 사기 혐의로 인한 제명.] * [[김종환(성우)|김종환]](KBS 성우극회 17기)[* 권희덕과 마찬가지로 독자적으로 성우를 키우려다가 눈엣가시에 찍혀 제명되었다.] * [[유동현]](KBS 성우극회 18기)[* 해외로 이민가면서 탈퇴하였다.] * [[이경영(1958)|이경영]](KBS 성우극회 18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김하균]](KBS 성우극회 20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박상훈(1959)|박상훈]](KBS 성우극회 20기, 2008년 사망) * [[박홍식]](KBS 성우극회 20기) * [[이현걸(성우)|이현걸]](KBS 성우극회 21기)[* 현재 [[한국일보]]에서 근무 중이다.] * [[김경응]](KBS 성우극회 22기, 현재 배우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한석규]](KBS 성우극회 22기, 현재 배우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조영호]](KBS 성우극회 25기)[* 2013년에 회비 미지급 문제로 이미 제명되었다.] * [[나성균]](MBC 성우극회 3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신충식]](MBC 성우극회 3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강성욱(성우)|강성욱]](MBC 성우극회 4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윤지하]](MBC 성우극회 4기) * [[김관식(성우)|김관식]](MBC 성우극회 7기) * [[김기성(성우)|김기성]](MBC 성우극회 8기) * 장영린(MBC 성우극회 8기) * [[박조호|박조호(박지훈)]](MBC 성우극회 12기)[* [[2005년]] [[박조호 후배 폭행 사건|군기를 잡는다는 이유로 14~16기 성우들을 상습적으로 폭행해서]] [[MBC 성우극회]]와 한국성우협회로부터 영구제명을 당했다. 현재는 아마추어 성우 자격.] * 한대수(MBC-CM 2기) * 김주형(MBC-CM 4기) * [[한현배]](EBS 성우극회 특기) * [[배창식]](EBS 성우극회 특기)[* 모종의 사유로 제명되었다고 한다.] * [[강필순]](EBS 성우극회 5기) * 신종훈(EBS 성우극회 20기) * [[이대영(성우)|이대영]](CBS 성우극회 15기) * [[박호조]](CBS 성우극회 18기) * 심영민(CPBC 성우극회) * [[심정민]](대원방송 성우극회 1기) * [[이기성(성우)|이기성]](대원방송 성우극회 6기) * [[이현우(성우)|이현우]](대교방송 성우극회 5기)[* 탈퇴 이후에도 방송국 공채 성우 재입사에 여러번 도전했으나 번번히 고배를 마셨으며, 결국 성우계에서 은퇴하였다.] === 여성 === * [[김영옥#s-8]](KBS 성우극회 6기)[* [[MBC 성우극회]]의 [[김영옥(배우)|김영옥]]과는 동명이인이다.] * 전윤희(KBS 성우극회 6기) * [[김세원]](KBS 성우극회 7기) * 최희정(KBS 성우극회 9기) * 박윤경(KBS 성우극회 13기) * 남현경(KBS 성우극회 14기) * [[이민정(성우)|이민정]](KBS 성우극회 14기) * [[권희덕]](KBS 성우극회 14기, 2018년 사망)[* 한국성우협회의 눈엣가시로 찍혀 제명당한 후 봉사 및 후배양성을 위해 일하다 2018년 사망했다. 성우 공채제에 대해 반대하며 기획사제를 주장하다가 제명되었다는 설이 유력한데 [[박조호|주먹질 하다 제명당한 인간]]이랑 [[임하진|성추행을 저질러도 솜방망이 처벌받은 인간]]과 비교하면 참으로 불합리하다는 이야기가 많다. 생각이 다르다고 발도 못붙이게 만들었으니...] * [[이나진|이나진(이옥경)]](KBS 성우극회 15기, 2005년 사망) * 이주옥(KBS 성우극회 16기) * [[윤인석]](KBS 성우극회 18기, 2012년 사망)[* [[유해무]]의 아내이자 연극배우로도 활동했으나, 2012년 [[미국]]에서 교통사고로 사망.] * [[이선희(성우)|이선희]](KBS 성우극회 18기) * [[임은영]](KBS 성우극회 18기)[* 위의 백진 폭행 및 협박 사건의 피해자였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동시에 제명되었다.] * [[유연자]](KBS 성우극회 19기) * [[강은영(성우)|강은영]](KBS 성우극회 20기) * [[권현수]](KBS 성우극회 20기)[* 성우 [[강구한]]의 아내다. 모종의 사유로 은퇴하였다.] * 김도희(KBS 성우극회 20기) * [[김양희(성우)|김양희]](KBS 성우극회 20기, 2006년 사망) * [[박은경(성우)|박은경]](KBS 성우극회 20기) * [[임원빈]](KBS 성우극회 20기) * [[조미란(성우)|조미란]](KBS 성우극회 20기) * [[최아란]](KBS 성우극회 20기, 현재 배우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조각가 최만린과 성우 겸 연기자 [[김소원(성우)|김소원]]의 딸이다.] * 한상영(KBS 성우극회 20기) * [[안정실]](KBS 성우극회 21기) * [[박성현(성우)|박성현]](KBS 성우극회 23기) * [[서민이]](KBS 성우극회 23기) * [[오세윤]](KBS 성우극회 23기) * [[정소희(KBS 성우)|정소희]](KBS 성우극회 26기) * [[김명주(성우)|김명주]](KBS 성우극회 28기)[* 현재 도예가로 활동 중이다.] * [[양현(성우)|양현]](KBS 성우극회 31기)[* 2006년에 [[김일(성우)|김일]], [[오인성]], [[성완경]]한테 섹스 스캔들을 퍼트려서 본인은 사표를 제출하고 결국 한국성우협회에서 제명당했다.] * [[김석옥|김석옥(김옥희)]](MBC 성우극회 1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김영옥(배우)|김영옥]](MBC 성우극회 1기, 현재 배우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고 성우협회 명예 회원이기도 하다.) * [[나문희|나문희(나경자)]](MBC 성우극회 1기, 현재 배우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고 성우협회 명예 회원이다.) * [[최선자]](MBC 성우극회 1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유명옥]](MBC 성우극회 2기, 2023년 사망) * [[이수나|이수나(이순재)]](MBC 성우극회 2기, 현재 배우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우문희]](MBC 성우극회 3기) * [[서영애]](MBC 성우극회 4기, 현재 탤런트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 * [[최방란]](MBC 성우극회 4기) * [[김진숙(성우)|김진숙(김나래)]](MBC 성우극회 6기)[* 해외로 이민가면서 탈퇴하였다.] * [[양윤선|양윤선(양계숙)]](MBC 성우극회 6기) * 김숙경(MBC 성우극회 7기) * 박부이(MBC 성우극회 8기) * [[김정신]](MBC 성우극회 9기)[* 동생은 현재 고인이 된 [[김정주(성우)|김정주]] 성우이다.] * [[성유진(성우)|성유진]](MBC 성우극회 10기)[* 해외로 이민가면서 탈퇴하였다.] * [[이승현(성우)|이승현]](MBC 성우극회 11기) * [[유상우]](MBC 성우극회 17기) * 김순자(MBC-CM 1기) * 최정양(MBC-CM 1기) * 한순자(MBC-CM 1기) * 차영주(MBC-CM 2기) * 문병례(MBC-CM 2기) * [[박혜경(성우)|박혜경]](MBC-CM 4기) * 송은주(MBC-CM 5기) * [[홍여진(성우)|홍여진]](EBS 성우극회 특기) * [[김민선(성우)|김민선]](EBS 성우극회 1기) * [[김미자(성우)|김미자]](EBS 성우극회 4기) * [[안정희]](EBS 성우극회 12기)[* 배창식과 마찬가지로 모종의 사유로 제명되었다.] * [[이재경(성우)|이재경]](CBS 성우극회 13기)[* 해외로 이민가 법무사가 되면서 탈퇴하였다.] * 송민정(CBS 성우극회 18기) * 박근형(CPBC 성우극회) * [[박광숙]](대교방송 성우극회 1기) * [[이유미(성우)|이유미]](대교방송 성우극회 1기) * [[이희수(성우)|이희수]](투니버스 성우극회 5기) [[분류:사단법인]][[분류:한국 성우]][[분류:1963년 설립]][[분류: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