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특수법인]][[분류:공직유관단체]][[분류:산업통상자원부]] ||<-2> {{{#ffffff '''{{{+2 한국생산성본부}}}'''[br]韓國生産性本部[br]Korea Productivity Center ('''KPC''')}}} || ||<-2> [[파일:한국생산성본부 CI.svg|width=300]] || || {{{#ffffff '''설립일'''}}} ||[[1957년]] || || {{{#ffffff '''소재지'''}}} ||'''본사'''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5가길 32 ([[경복궁역]])[br]'''대전세종충청지역본부''' -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809, 5층[br]'''대구경북지역본부''' - 대구광역시 북구 유통단지로90, 4층[br]'''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180번길 13[br]'''호남제주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76번길27, 507호[br]'''연수원''' - 경기 이천시 대월면 대장로 162 || || {{{#ffffff '''웹사이트'''}}} ||[[https://www.kpc.or.kr/| '''{{{#ee3049 한국생산성본부}}}''']][br][[https://www.e-kpc.or.kr/| '''{{{#ee3049 한국생산성본부 사이버연수원}}}''']][br][[https://license.kpc.or.kr/| '''{{{#ee3049 KPC 자격}}}''']]|| || {{{#ffffff '''SNS'''}}} ||[[https://www.facebook.com/kpcstor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youtube.com/channel/UCQYt2YmMdchemu9DD7XY83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kpc.or.k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blog.naver.com/smart_kpc|[[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pf.kakao.com/_BXHLT|[[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width=23]]]] || [목차][clearfix] == 개요 == 한국생산성본부는 산업계의 생산성 향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산업발전법 제32조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특수 법인이다. 국가 정책 수립을 위한 생산성 연구조사, 기업·공공부문 생산성 향상을 위한 컨설팅 및 지수조사, 맞춤형 산업교육, 자격 인증 사업으로 국가 생산성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 ||'''산업발전법 제32조(한국생산성본부)''' ①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한국생산성본부를 설립한다. ⑤ 한국생산성본부는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 \1. 경영 진단 및 지도사업 \2. 교육훈련사업 \3. 생산성 관련 통계 및 조사연구사업 \4. 자동화ㆍ정보화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 및 보급사업 \5.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위탁한 사업 \6. 그 밖에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한국생산성본부의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 ⑥ 한국생산성본부는 제1항에 따른 목적 달성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수익사업을 할 수 있다. ⑦ 한국생산성본부가 아닌 자는 한국생산성본부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를 위반하여 한국생산성본부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산업발전법 제50조제2항제2호)] ⑧ 한국생산성본부에 관하여 이 법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재단|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hBpbz70G-M)]}}}|| || {{{#ffffff '''한국생산성본부 공식 홍보영상'''}}} || == 기관 연혁 == * {{{+1 '''1950년대: 한국생산성본부 창립''' }}} * [[1957년]] 8월, [[민법]]에 따라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 [[1958년]] 9월, 국내 최초 산업교육을 실시하였다. * {{{+1 '''1960년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초석 마련'''}}} * [[1961년]] 5월, 아시아생산성기구([[APO]][*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회원국: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화민국, 피지,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일본, 대한민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 회원국 가입 * [[1967년]] 6월, 국내최초컴퓨터도입([[FACOM-222]]) * {{{+1 '''1980년대: 국가생산성향상운동 단계별 추진'''}}} * [[1975년]] 제1회 생산성대상 시상식 개최[* 제1회 생산성향상 전국촉진대회, 1987년 생산성대상으로 명칭 변경 ] * [[1976년]] 7월, 노동생산성지수 정부공식통계 승인 [* 통계작성승인(협의)번호 작성승인(협의)일: 제344001호 (1976.07.07.)] * [[1986년]] 7월, '공업발전법'([[1999년]] 5월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82%B0%EC%97%85%EB%B0%9C%EC%A0%84%EB%B2%95|산업발전법]]으로 개정)에 시행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특수법인]]([[기타공공기관]])이 되었다. * [[1987년]] 제24회 무역의 날 대통령단체표창 수상 * [[1988년]] 현 생산성빌딩 준공, 본부 이전 * [[1989년]] 생산성배가 5개년 사업 실시(1989-1993) * {{{+1 '''1990-2000: 생산성향상기법 소개 및 경영의 틀 개발 보급'''}}} * [[1998년]] 국내 최초 정부조직 컨설팅 실시 * [[1998년]] 美 국가품질연구소와 공동으로 국가고객만족지수(NCSI) 발표 * [[1998년]] 한국생산성본부 연수원 준공 * [[2002년]] 국내 최초 정보기술자격(ITQ)시험 국가 공인 * [[2006년]] 생산성경영체제(PMS)인증사업 실시 * [[2007년]] ‘우수 민간교육훈련기관’ 대통령 단체표창 수상 * [[2009년]] 세계 최초 국가단위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Korea) 발표 * {{{+1 '''2010-2020: 산업 및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생산성향상운동 전개'''}}} * [[2011년]] 지방자치단체 행정생산성지수 개발 및 제1회 지방자치단체 생산성대상 시상식 개최 * [[2011년]] 한국형 제조혁신 방법론(KPS) 개발·보급 * [[2012년]] 글로벌 탄소·에너지경영 인증사업 실시 * [[2012년]] KMPI 멘탈생산성 진단도구 개발 * [[2012년]] ‘일자리창출지원 유공기관’ 대통령 단체표창 수상 * [[2012년]] 지식서비스 업계 최초 연매출 1,000억 달성 * [[2013년]] 2월, [[기타공공기관]]에서 해제되고 [[공직유관단체]]로 지정되었다.[* 직원 입장에서는 언론에 날 정도의 사고를 치지 않는 한 어지간해서는 감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들보다 낫다. 일단 공공기관으로 지정되면 소관 부처 감사와 [[감사원]] 감사의 위험이 도사리게 된다. 다만, 국가전문자격검정 업무 등 공적 업무는 수행할 수 있다.] * [[2015년]]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교육 실시 * [[2015년]] 청년취업 확대를 위한 ‘취업연계형 Job 콘서트’ 개최 * [[2016년]] 태국 산업부와 생산성향상을 위한 MOU 체결 * [[2016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운영 * [[2017년]] 방위사업청과 방위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MOU 체결 * [[2017년]] SW코딩자격 개발 * [[2019년]] 사회적가치 비전 선포 * [[2019년]] 디지털혁신본부 발족 * [[2020년]]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시험 운영 * [[2020년]] 자격시험 표준운영방법론(K-STEP) 개발 * [[2020년]] 한국여행업협회와 여행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MOU 체결 * [[2021년]] KPC ESG위원회 설치 === 역대 회장 === '''[재단법인]''' [[이은복]] 1957.8.28-1984.2.26 '''[01대]''' [[박필수]] 1984.2.27-1988.2.4 '''[02대]''' [[문희화]] 1988.3.28-1991.3.27 '''[03대]''' [[문희화]] 1991.3.28-1994.3.27 (연임) '''[04대]''' 차상필 1994.3.28-1995.9.21 '''[05대]''' [[이동훈]] 1995.10.5-1997.3.16 '''[06대]''' [[박유광]] 1997.3.17-1998.5.24 '''[07대]''' [[채재억]] 1998.5.25-2001.5.24 '''[08대]''' [[한준호]] 2001.5.25-2002.2.1 '''[09대]''' [[이희범]] 2002.2.26-2003.4.25 '''[10대]''' 김재현 2003.4.25-2006.5.11 '''[11대]''' 배성기 2006.5.12-2008.10.28 '''[12대]''' [[최동규]] 2008.12.22-2011.12.21 '''[13대]''' [[진 홍]] 2011.12.22-2014.12.21 '''[14대]''' [[홍순직]] 2014.12.22–2018.2.13 '''[15대]''' [[노규성]] 2018.2.14–2020.12.15 '''[16대]''' [[안완기]] == 사업 == 한국생산성본부는 산업발전법 제32조 제5항에 의거하여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 컨설팅, 교육 훈련, 자격 검정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3 '''사업 분야 개괄'''}}} ||'''생산성 정책 및 연구'''||'''경영 혁신'''||'''디지털 전환'''|| ||-생산성 연구 및 통계[* [[https://stat.kpc.or.kr/|생산성통계]][[http://award.kpc.or.kr/|생산성대상]]][br]-생산성 경영체제 보급[* [[http://pms.kpc.or.kr/|PMS]][[https://www.mainbiz.go.kr/|MAINBiz]]][br]-생산성 성과확산||-전략/혁신컨설팅[br]-조직/인력운영 컨설팅[br]-인사제도 컨설팅[br]-대학 컨설팅||-산업 디지털 전환(DX) 지원[br]-ICT정책 컨설팅/연구조사[br]-기업구조 개편 및 사업전환 컨설팅|| ||
'''CX컨설팅'''||'''ESG컨설팅'''||'''제조경쟁력향상'''|| ||-CX컨설팅[br]-CX컨설팅[br]-브랜드 컨설팅[br]-NCSI[* 국가고객만족도[[http://www.ncsi.or.kr/|NCSI]]]·NBCI[*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http://www.brand.or.kr/|NBCI]]]조사 발표||-ESG전략 수립 및 수준진단[br]-공급망 ESG관리 컨설팅[br]-지속가능보고서 발간 및 ESG 평가 대응[br]-산업 생태계의 지속가능경영 확산 및 지원||-제조혁신 컨설팅(PQCD)[br]-스마트 공장 컨설팅[br]-공급망 경쟁력 강화|| ||
'''고용성장지원'''||'''기업맞춤인재양성'''||'''재직자역량강화'''|| ||-스타트업 발굴, 육성[br]-소상공인 성장지원[br]-신직업 인큐베이팅[br]-구직 역량 강화 지원||-맞춤형 공통,직무역량 교육[br]-조직문화 구축 및 활성화 교육[br]-역량 평가 및 역량 교육[br]-HRD컨설팅[br]-맞춤형 에듀테크||-실무 중심 현장 교육[br]-온앤오프 클래스[br]-CEO교육 및 전국 CEO네트워크[br]-해외연수|| ||
'''실무역량인증'''||'''기후변화&에너지 컨설팅'''||'''공공서비스혁신'''|| ||-고객사 맞춤형 자격 개발 컨설팅[br]-자체 개발 국가 공인,민간 자격 운영||-환경·기후변화 컨설팅[br]-탄소 경영 컨설팅[br]-에너지 효율화 컨설팅[br]-공급망 탄소중립 컨설팅||-정책 사업 지원[br]-지역개발 및 활성화|| {{{+2 '''컨설팅'''}}} [[전략컨설팅]][* [[맥킨지 앤 컴퍼니]] 등의 전략컨설팅펌은 대기업 일감이 아니면 수주하지 않고, 사실 지불하는 비용도 대기업이 아니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기에, 전략 컨설팅 분야에서는 중소기업의 진흥을 위해 컨설팅을 제공하는 정도로 볼 수 있다.]과 [[오퍼레이션 컨설팅]][* 인사컨설팅, CX컨설팅, ESG컨설팅, 대학 컨설팅, 공급망 컨설팅, 에너지 효율화 컨설팅 등]을 모두 하고 있다. 주로 [[중소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 각종 협회나 재단 등의 경영 자문을 수주하여 수행한다. {{{+2 '''교육훈련'''}}} 서울본부 및 각 지역본부에서 운영하는 공개교육 강좌를 운영중이며,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대중소기업 직원들의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위탁받아서 제공하기도 한다. 계층교육, 리더십교육, 공통역량 교육, 직무역량교육, 조직문화 진단 등 HRD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한다. {{{+2 '''자격 인증'''}}} [[1996년]]부터 '''자격 사업'''을 시작했다. [[https://license.kpc.or.kr/|KPC 자격 홈페이지]] 신규 자격 개발, 자격 리뉴얼, 사내 시험평가 개발, 경진대회 기획 등 자격 컨설팅 서비스 및 문제 출제, 시험 운영 등 자격 검정 전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격 유형'''||'''자격명'''|| ||국제공인자격 ||[[ICDL]][* 1996년부터 해외에 있던 시험이며 2008년 KPC가 한국 주관사로 선정.] || ||[[국가전문자격]]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2020년부터 화장품법 근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위탁],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7년]]부터 있던 시험이나, [[2016년]]부터 [[국사편찬위원회]]가 위탁], 연구실안전관리사[* [[2022년]]부터 연구실안전법 근거,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가 위탁] || ||공인민간자격 ||[[ITQ]] 정보기술자격, [[GTQ]] 그래픽기술자격(1,2급), [[ERP정보관리사|ERP]] 정보관리사, SMAT 서비스경영자격, IEQ 인터넷윤리자격(지도사) || ||등록민간자격 ||MMAT 마케팅경영자격, [[GTQ]] 그래픽기술자격(3급), IEQ 인터넷윤리자격(2,3급), SW코딩자격, [[TOPCIT]], CAD실무능력평가, 3D설계실무능력평가, DSAC 데이터사이언티스트, PAC 프리젠테이션능력인증, 경영시스템인증심사원 || == 지역본부 == 본원 외 위치는 2022년 기준 다음과 같다. 기업컨설팅을 하는 기관이어서 교통편의성이 높은 지역에 주로 위치한다.[* 여담으로 [[블라인드]] 및 [[잡플래닛]]에 따르면 타 기업의 회사원들이 지방에서 서울로 부서 이동하려는 것과 달리, 한국생산성본부에선 지방에 가려는 사람들을 서울 본원이 묶어두는 분위기라고 한다(?).] ||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부산역]], [[마산고속버스터미널]] || ||대전세종충청지역본부 ||[[정부청사역]], [[충북테크노파크]], [[두정역]] || ||대구경북지역본부 ||[[동대구역]] || ||호남제주지역본부 ||[[광주과학기술원]], [[전라북도경찰청]],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 || ||연수원 ||[[이천종합버스터미널]], [[이천역]] || == 자회사 ==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1994년 1월, '''인증 사업'''을 위해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을 설립했다. [[http://www.kpcqa.or.kr/|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건축물인증 ||녹색건축인증,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에너지절약계획서검토, 장수명주택인증, 결로방지성능평가, 교육시설안전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친환경주택성능평가 || ||경영시스템인증 ||[[ISO]]인증(ISO 9001(품질), 14001(환경), 45001(안전보건), 37001(부패방지) 등), 바른채용경영시스템, 한국서비스품질우수기업인증, 행정안전부 재해경감우수기업인증, 조달청 품질보증조달물품 지정심사 || ||[[ESG]] 관련 ||[[온실가스]]목표관리제, [[탄소배출권]]거래제, [[ESG]]관련 평가 및 인증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waQlz_6wsc)]}}}|| || {{{#white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공식 홍보영상(인터뷰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PivyVU76QE)]}}}|| || {{{#white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공식 홍보영상(사업 소개 Ver.)'''}}} || === 한국사회능력개발원 === 1987년 6월, 한국생산성본부 부설 한국기업상담(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4월 현재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부동산 운용, 투자, 개발 등 부동산 관련 교육훈련사업과 이러닝 온라인 콘텐츠 개발, 채용대행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한생미디어[* '''한'''국'''생'''산성본부 미디어의 줄임말] === 한국생산성본부의 출판 기획 및 편집 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