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 ||<-2> '''{{{+2 한국산업기술시험원}}}'''[br]'''韓國産業技術試險院'''[br]'''Korea Testing Laboratory (KTL)''' || ||<-2> [[파일:한국산업기술시험원 CI.svg|width=90%]] || || '''설립일''' ||[[1966년]] [[4월 13일]] || || '''주무 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 '''소재지''' ||본원 - [[경상남도]] [[진주시]] [[충의로(진주)|충의로]] 10 ([[경남진주혁신도시]]) [br]분원 - 국내 16곳[* 서울, 안산, 인천, 화성, 원주, 천안, 아산, 대전, 서천, 군산, 광주, 여수, 광양, 대구, 부산, 창원], 해외 2곳[* [[상하이]]([[중국]]), [[두바이]]([[아랍에미리트]])] || || '''웹사이트''' ||[[https://www.ktl.re.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SNS''' ||[[https://www.facebook.com/KoreaTestingLab|[[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ktl.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KoreaTestingLaborat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blog.naver.com/ktl_blo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목차][clearfix] == 개요 == 기술혁신성과물의 시험평가 및 이를 위한 기술개발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관. == 연혁 == * [[1966년]] [[4월 13일]], [[유네스코]]의 지원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상공부]] 산하의 "한국정밀기기센터"로 출범했다. * [[1983년]] 8월, "기업기술지원센터"가 되었다. ([[한국기계연구원|한국기계금속시험연구소]] 부설) * [[1989년]] 10월, "산업기술시험평가연구소"가 되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설) * [[1999년]] 3월, "산업기술시험원"이 되었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 부설) * [[2006년]] [[4월 28일]] 개정되어 동년 [[10월 29일]] 시행된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41조에 의거해 2006년 11월부터 독립법인이 되었다. * [[2014년]] [[5월 20일]], 촉진법의 개정으로 전문인력 양성 사업도 추가되었다. * [[2015년]] 4월 13일, 현 서울 분원 건물에서 [[경남진주혁신도시]]로 본원을 이전해 개청 기념식을 가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150410115600003|#]] * [[2021년]] 4월 1일, 현 김세종 원장이 취임했다. 첫 민간 출신이다. KTL 원장 임기는 3년이다.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2835|#]] == 성격 == KTL은 다음과 같은 법적 위상을 갖는다.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제41조에 따른 산하기관 ('''기관명이 적시된 근거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제2조에 따른 [[특정연구기관]] * [[기획재정부]] -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기타공공기관]], 제5조에 따른 연구개발목적기관 * [[인사혁신처]]에 의해 [[공직유관단체]]로 지정되어 [[행정윤리|공직윤리]] 및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이 적용된다. * 임직원은 근거법에 따라 [[형법]]을 적용할 때에 [[공무원]]으로 본다. * 임직원은 은퇴 후 [[공무원연금]]을 받게 된다. KTL은 국내 시험인증분야 유일한 '''공공기관'''이다. * '''재단법인/사단법인'''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의약품시험연구원(KPTR), KOTITI시험연구원[* 구 한국섬유시험기술연구소. Korea Textile Inspection and Testing Institute의 앞자만 남겼다.], FITI시험연구원[* Friend of Industry Technology Information. 산업-기술-정보와 친구라는 뜻이다.], 한국식품과학연구원(KAFRI),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기능식품연구원(KHFF),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KCII) 등 * '''주식회사''' - 한국품질시험원(KQT), 한국분석시험연구원(KATR), 한국시험연구원(KTI), 한국건설재료공인시험연구원(CC-LAB), 한국SGS, UL코리아 등 * 엄밀히 따지자면 제품 인증/인허가를 위해 시험업무를 하는 공공기관들은 많다. -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대학병원]], [[치과병원]], [[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자체들의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등 == 업무 == 근거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한다. * 1. 제품의 성능ㆍ안전성 및 신뢰성 등에 대한 시험평가 및 품질인증 지원 * 2. 각종 설비의 안전진단 및 기술감리 * 3. 계측기기(計測器機)에 관한 교정검사 및 측정기술의 지원 *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사업과 관련한 전문인력의 양성 이에 따른 조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부 아래엔 '실'/'팀'/'센터' 등이 있다. * 진주 본원 - 기획조정본부, 경영지원본부, 고객지원본부, 미래융합기술본부, 품질혁신센터, 디지털혁신센터 * 서울 분원 - 바이오의료헬스본부, 환경기술본부 * 경기 분원 - 시스템에너지본부, 디지털산업본부, 산업표준본부 == 논란 및 사건사고 == * 지방 이전 관련한 갈등이 계속 된다. * 2005년 지방이전이 결정되어 2011년 착공 2015년 이전이 계획되었다. * 2009년 3월, KTL 측은 고가의 장비 이전 불가를 이유로 서울 분원을 존치하고 40명 가량 남기는 안을 제시했다. [[https://www.etnews.com/200903240272|#]] * 2011년 1월, 국토부가 수정안을 승인했다. 이에 진주시 및 여야 경남도당이 극도로 반발했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100&key=20111003.22005210835|#1]], [[https://www.newsway.co.kr/news/view?tp=1&ud=201109190921300132599|#2]] * 2012년 10월, 진주 본원 크기를 원안대로 크게 짓기로 하여 갈등이 약간 봉합되었다.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022146|#1]], [[http://www.newsgn.com/32024|#2]] * 2013년 10월, KTL이 서울본원이 아니라 경기분원들만 매각하는 것을 두고 '잔류 꼼수'라며 국회의 지적이 나왔고, KTL은 버텼다.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86604|#]] * 2018년 4월, 이 때까지도 서울 인력의 이탈을 막고자 서울(월/화/수), 진주(목/금) 운영이 있었다. 진주시가 이를 '위장 이전'이라며 반발했다. [[https://ebn.co.kr/news/view/936534|#]] * 2021년 8월, 서울 분원이 367명이나 달하는 것이 [[감사원]]의 지적을 받았다. 이전이 곤란한 특수장비와 수도권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시험·분석 장비 가동과 관리업무 수행 인력 40명만 허락했지, 그 이상 인원은 변경 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며 '지방이전 역행'이라고 보았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611065|#]] * 업무가 업무다보니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논의된다. * 2016년, [[갤럭시 노트7 폭발 사고]]가 나자, 책임 소재가 논의되었다. * 2019년, 플라즈마 피부미용기의 오존 형성이 피부에 악영향을 주자, 책임 소재가 논의되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9081611144377408|#]] * 2008년 8월,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 방안"에서 "기능 조정"을 결론냈다. 자체 수입이 총 수입의 절반 이하라는 이유였다. * 2014년, 정규직:비정규직이 1:1일만큼 비정규직이 많은 구조가 지적된다.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7869|#]] 이 때문에 2년 연속 기관평가가 D를 받자, 원장이 기재부에 업무특성상 어쩔 수 없는 구조라며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양측이 합리적으로 합의하여 소송을 취하했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1406190378269389|#]] * 2015년 8월, [[경향신문]] 강진구 기자가 "[[국정원]]이 KTL에 [[댓글부대]] 용역을 운영시켰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https://www.khan.co.kr/series/articles/ah718|기획연재]] * 2015년 8월, KTL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https://www.ddaily.co.kr/page/view/2015083117590206482|#]] * 2015년 9월, [[국민권익위원회]]가 관련 사항이 없다고 해명했다. [[https://www.acrc.go.kr/board.es?mid=a10402020000&bid=4B&act=view&list_no=7433&tag=&nPage=2|#]] * 2015년 10월, [[새정치민주연합]]이 수사를 촉구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05/0000017636|#]] * 2017년, 여직원이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했다. [[https://www.insight.co.kr/news/122735|#]] 이에 그간의 연구원 내 갑질 사례들이 쏟아져 나왔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61449|#]] * 2018년, 비정규직 대상으로 재계약을 인질 삼아 갑질을 했다는 논란도 나왔다.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7124|#]] [[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1966년 기업]][[분류:연구개발목적기관]][[분류:경남진주혁신도시]][[분류:경상남도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