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방송통신대학교)] [include(틀: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목차][clearfix] == 개요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지역대학(일종의 [[캠퍼스]])들을 설명하는 문서. == 상세 == 교육의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언제든 배울 수 있어야 한다는 [[개방대학]]이란 취지, [[국립대학]]이라 국가(당시 [[박정희 정부]])의 후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등에 힘입어 전국 지자체마다 지역대학을 설립할 수 있었다. 다만 [[인구]] 규모와 수요에 따라 일부 2개 지자체는 묶기도 하고, 지역대학 하부에 학습센터/학습관도 둔다. 그런데 대부분의 지역대학, 학습관이 도심지에서 벗어난 외곽의 외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편이다. 논밭 옆이라거나, 공업사 가운데 뜬금없이 있다거나. 건물 내 학생식당과 카페는 커녕, 주변에 편의점, 김밥천국 등 기본적 편의시설조차 없는 곳도(대전, 수원, 안동 등) 있는만큼 방문 시 미리 알아보고 가면 좋다. 정부가 관리하는 교육시설답게 딱 필수요소만 갖춰져서 딱 기본수준만 관리된다. 하지만 방송대는 어차피 본인의 필요에 따라 소속 지역대학을 마음대로 바꿀수 있기에 큰 상관은 없다. 출장 등으로 타 지역에 가 있게 되면, 해당 지역의 방송대 지역대학/시군학습관에서 시험을 보는 것도 가능. 그리고 타 지역대학의 시설도 방송대생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 목록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본부,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12, 너비=100%)]}}} || || {{{#ffffff '''본부'''}}} || {{{#ffffff '''서울'''}}} || {{{#!wiki style="margin: -42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부산,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구경북,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 너비=100%)]}}} || || {{{#ffffff '''부산'''}}} || {{{#ffffff '''대구경북'''}}} || {{{#ffffff '''인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광주전남,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전충남,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울산, 너비=100%)]}}} || || {{{#ffffff '''광주전남'''}}} || {{{#ffffff '''대전충남'''}}} || {{{#ffffff '''울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기,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원,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 너비=100%)]}}} || || {{{#ffffff '''경기'''}}} || {{{#ffffff '''강원'''}}} || {{{#ffffff '''충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북,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남, 너비=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제주, 너비=100%)]}}} || || {{{#ffffff '''전북'''}}} || {{{#ffffff '''경남'''}}} || {{{#ffffff '''제주'''}}} || }}}}}}}}}}}} || === 대학본부 === * '''대학본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서울)|대학로]] 86. 본부는 지역대학으로서의 역할은 하지 않는다. 모든 시험/출석시험은 지역대학과 학습센터에서 한다. 학생이 이용할만한 건 중앙도서관, 출판문화원 정도다. 중앙도서관과 성수, 남부는 도서 상호대차가 가능해, 중앙도서관 책을 빌려서 남부학습센터에다 반납해도 된다. === 서울지역대학 === * '''서울지역대학''' -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2 ([[뚝섬역]]). 과거에는 서울제1지역대학이었다. 간단히 쓸 때는 그냥 "성수" 또는 "뚝섬"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동부학습센터가 없는 대신 서울지역대학 자체가 그 역할을 겸한다. 출석수업의 경우 인원이 소수인 학과(프랑스, 행정, 경제 등)는 서울지역대학이나 남부학습센터 1~2곳에서만 출석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 --'''북부학습센터'''-- - 경기동북부 지역을 포괄한다. 2021년 3월 18일, 임대기간 만료와 [[코로나19]] 확산으로 출입통제가 되는 등의 사유로 강북구 미아동에서 서울지역대학(성수)로 통합이전 되었다. [[https://www.knou.ac.kr/bbs/knou/51/182625/artclView.do?layout=unknown|#]] 향후 재분리 여부는 미지수며, 담당구역도 중첩되는 편.[* 2019년 기말시험의 경우 북부학습센터 학생들의 시험장은 모두 인근 중고등학교에 배정하고, 정작 북부학습센터에서는 서울지역대학(성수)에 등록된 컴퓨터과학과 학생들의 시험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 '''남부학습센터''' - [[서울특별시]] [[양천구]] [[국회대로]] 272 ([[목동역]]). 과거에는 서울제2지역대학이었다가 효율성을 위해 서울지역대학과 통합했다.[* 제2지역대학의 기능이 일부 남아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서부학습센터 소속 학생이 실습 신청 등 행정 일을 할 때 서부가 아닌 남부학습센터로 가야 되는 경우가 있다.] 대림동에 있다가 2016년 7월에 목동으로 이전했다. * '''서부학습센터'''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권율대로]] 696-13 ([[원흥역]]). 서울 서북부와 [[파주시]], [[고양시]]를 포괄한다. 과거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856 메트로타워 7층에 있었으나, 신축 건물로 이전했다. * '''동두천시학습관''' -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경기도)|평화로]]2313번길 7-24 ([[지행역]]) * '''남양주시센터'''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386. 2025년 말 [[화도읍]] 마석우리 일대로 이전 예정. [[https://naver.me/GGU0gFtF|#]] === 인천지역대학 === * '''인천지역대학''' - [[인천광역시]] [[남동구]] 미래로 31. [[인천시청]] 바로 앞에 있다. 인천 지역과 [[경기도]] [[김포시]], [[부천시]] 지역을 관할한다. * '''부천시학습관''' - [[경기도]] [[부천시]] 부흥로303번길 56 우성프라자 4층 === 경기지역대학 === * '''경기지역대학'''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효행로]] 28 ([[오목천역]]). 경기 북부 지역과 [[김포시]], [[부천시]]를 제외한 경기도 전 지역 관할. * '''성남시학습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150 ([[미금역]]). 만들때까지는 외진 곳이었는데 뒤늦게 택지개발이 이뤄지면서 신도시로 도시화되었다. * '''안산시학습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광덕서로 54 ([[호수역]]) * '''안양시학습관'''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안양)|안양로]] 483 ([[관악]]). 2023년에 동안구 관양2동으로 신축 이전 예정. === 강원지역대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원지역대학 전경.png|width=100%]]}}} || ||<#428bbe> {{{#white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원지역대학 전경'''}}} || * '''강원지역대학'''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방송길 51. [[남춘천역]]에서 도보 20분 소요. * '''속초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청초호반로 201 * '''강릉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478 * '''동해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송정2길 21 * '''원주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오리현길 46 * '''태백시학습별관'''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광장로 6 [[태백버스정류장|태백터미널]] 3층 === 충북지역대학 === * '''충북지역대학'''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모충로 32 * '''제천시학습관''' - [[충청북도]] [[제천시]] 대학로 175 * '''충주시학습관''' - [[충청북도]] [[충주시]] 원달천1길 4 === 대전충남지역대학 === * '''대전충남지역대학''' - [[대전광역시]] [[유성구]] 오룡1길 112 * '''천안시학습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두정고2길 52-10 * '''공주시학습관'''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120-3 * '''홍성군학습관'''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법원로 2 * '''서산시학습관''' - [[충청남도]] [[서산시]] 고운로 184 === 전북지역대학 === * '''전북지역대학'''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평3길 63. 도심지에 마침 다른 공공기관이 이전해 가면서 빈 부지가 생긴걸 재빨리 득템해 지었다. * '''남원시학습관''' - [[전라북도]] [[남원시]] 전령길 51 * '''정읍시학습관''' - [[전라북도]] [[정읍시]] 태평5길 76-12 * '''익산시학습관''' - [[전라북도]] [[익산시]] 무왕로 1107 * '''군산시학습관''' - [[전라북도]] [[군산시]] 번영로 20 === 광주전남지역대학 === * '''광주전남지역대학'''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내촌로 6. 택지개발 당시에 토지를 불하받아 지었다. * '''순천시학습관''' - [[전라남도]] [[순천시]] 임촌동길 23 * '''여수시학습관''' - [[전라남도]] [[여수시]] 선소로105 선일빌딩 5층 * '''목포시학습관''' - [[전라남도]] [[목포시]] 백년대로412번길 14 * '''해남군학습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중앙1로 2 === 대구경북지역대학 === * '''대구경북지역대학'''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로 21 * '''포항시학습관'''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흥해읍]] [[동해대로]]1586번길 5 * '''경주시학습관''' - [[경상북도]] [[경주시]] [[동문로(경주)|동문로]] 40-2 * '''구미시학습관''' - [[경상북도]] [[구미시]] 선기로 111 * '''상주시학습관''' - [[경상북도]] [[상주시]] 동수로 36 * '''안동시학습관''' -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로(안동)|강남로]] 65-1 === 부산지역대학 === * '''부산지역대학''' -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학사로]]17번길 14 === 울산지역대학 === * '''울산지역대학''' - [[울산광역시]] [[중구(울산)|중구]] [[함월로]] 90 === 경남지역대학 === * '''경남지역대학'''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824. 이 건물을 국립경상대학교에 주고, 상대동 구 창원지법 진주지원 건물로 이전이 추진중. * '''창원시학습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드림베이대로]] 54 * '''창원시학습관 진해별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동진로(창원)|동진로]] 44 * '''거제시학습관''' -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중앙로]] 1821-4 === 제주지역대학 === * '''제주지역대학'''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정존7길 34 === 기타 === * '''[[101경비단]]''' - 법학과만 개설된 출장소가 있다. * '''[[교도소]]''' - 배움에 뜻이 있는 모범 장기수들이 수업을 듣는다. 단 졸업에 실습이 필요한 학과(유아교육, 미디어영상, 자연과학 등)는 지원 불가. 재소자들이 나와서 시험을 볼 수 없어 교도소 내 분교가 지어졌으며, 학생이 되길 신청한 재소자는 수강시설이 있는 교도소로 이감해준다. 과 수석을 재소자가 차지해 졸업식 때 시상을 못 한 케이스도 있었다. 교도소 입장에서도 장기수들이 새로운 삶의 목표를 갖고 개과천선하고, 대졸 학위를 취득해 취업이 잘 되면 재범 가능성이 줄어 권장할 일. * '''[[한국교육원]]''' - 한 때 미국 [[LA]]와 [[뉴욕]]에 [[간호학과]]를 개설한 바 있다. 덕분에 이 당시 간호학과 과목 및 간호학과에도 중복개설되는 과목(교육심리학 등)은 서술형 기말시험문제 버전이 하나 더 생겼다. == 관련 틀 == ||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width=20]] {{{#428bbe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지역대학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원격대학)] [include(틀:고양시의 대학)] [include(틀:인천광역시의 대학)] [include(틀:수원시의 대학)] [include(틀:안양시의 대학)]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대학)] [include(틀:원주시의 대학)] [include(틀:청주시의 대학)] [include(틀:대전광역시의 원격대학)] [include(틀:전라북도의 원격대학)]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대학)]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원격대학)]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원격대학)] [include(틀:울산광역시의 대학)] [include(틀:창원시의 대학)] [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의 대학)] }}}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방송통신대학교, version=939, paragraph=10)] [[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