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상주시의 고등학교]][[분류:1967년 개교]][[분류:경상북도의 특성화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북도 상주시의 고등학교)] ||<-2> '''{{{#white {{{+1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br]Korea Future Agricultural High Schoo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30px)]}}} || || {{{#ffffff,#191919 '''교훈'''}}} ||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미래 농업학교 || || {{{#ffffff,#191919 '''개교'''}}} || [[1967년]] [[11월 27일]] ([age(1967-11-27)]주년) || || {{{#ffffff,#191919 '''유형'''}}} || [[특성화고등학교]] || || {{{#ffffff,#191919 '''계열'''}}} || [[특성화고등학교/농생명산업계열|농업]] || || {{{#ffffff,#191919 '''성별'''}}} || [[남녀공학]] || || {{{#ffffff,#191919 '''운영형태'''}}} || [[공립]] || || {{{#ffffff,#191919 '''교화'''}}} || 박태기꽃 || || {{{#ffffff,#191919 '''교목'''}}} || [[은행나무]] || || {{{#ffffff,#191919 '''관할교육청'''}}} || [[경상북도교육청|[[파일:경상북도교육청 로고.svg|height=30]]]] || || {{{#ffffff,#191919 '''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상주시/행정#모동면|모동면]] 덕곡1길 13 || || {{{#ffffff,#191919 '''홈페이지'''}}} || [[http://school.gyo6.net/kf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ffffff,#191919 '''학교알리미'''}}} ||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HG_CD=R100000957|[[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ffffff,#191919 '''링크'''}}} || [[https://www.youtube.com/@user-ci2bm4ec6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T8KGYAnpDc)]}}} || || {{{#ffffff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홍보 영상''' }}} ||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는 상주시 모동면에 위치한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이다. == 학교연혁 == || '''날짜''' || '''연혁''' || || 1967년 11월 27일 || 중모상업고등학교 설립 인가(3학급) || || 1975년 03월 01일 || 중모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보통과 3학급, 상업과 3학급) || || 2010년 06월 24일 || 다목적 강당(백화관) 준공 || || 2010년 12월 14일 || 2010학년도 학교평가 우수교 선정 || || 2011년 12월 09일 || 2011학년도 학교평가 우수교 선정 || || 2012년 03월 01일 || 중모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2017년 09월 21일 ||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전환 확정(2022. 3. 1. 개교 예정) || || 2019년 06월 19일 || 학교내 국유지(하천) 매입(1,187㎡) || || 2020년 02월 16일 || 이동형 교실 이전 완료, 증개축 공사 시작 || || 2020년 03월 01일 || 특성화고등학교 지정·고시 || || 2020년 09월 01일 || 제29대 이규만 교장 부임 || || 2021년 01월 08일 || 제51회 중모고등학교 졸업 (14명 총 4,565명) || || 2021년 09월 01일 ||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자영농업고등학교 지정·고시 || || 2022년 03월 01일 ||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개교 || == 교훈 및 상징 == === 교훈 === || {{{+5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미래 농업학교'''}}} || === 교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표.jpg|width=300]]}}} || ||{{{#green,#0000ff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표||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CI는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미래 농업학교'이라는 컨셉으로 접근한 디자인입니다. 전체적으로 농업을 상징하는 '잎'의 [br] 형상을 미래로 도약하는 역동적인 모습으로 표현하여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미래 농업을 상징함과 동시에 그 중심에 학교가 있음을 건물의 형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4개의 기둥은 핵심 4개의 학교를 의미하며 농촌 융복합산업의 중심학교임을 내포하였습니다. 다양한 그린계열로 하나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적인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의 정체성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 === 교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목.jpg|width=300]]}}} || ||{{{#green,#0000ff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목|| ||황금의 열매라는 별명을 가진 은행나무는 학문을 상징하며, 고결하고 긴 생명력을 가진 나무로 학문을 닦는 학교에서 열심히 배우고 익혀 "황금의 열매"를 맺으라는 교훈을 줌 || === 교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화.jpg|width=300]]}}} || ||{{{#green,#0000ff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표'''}}} 교화|| ||슬기로운 정열 · 개척의 정신 · 고고한 기상을 상징함 || === 교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가.jpg|width=100%]]}}} || ||<-3>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교가''' || || 조동민 작사 || 김찬기 작곡 || ||<-2> 대관령 정기 받은 백화 산기슭 아담하게 자리 잡은 금강의 하반 세기의 조류에 발을 맞추어 불멸의 상아탑을 함께 이루세 여명의 종을 치고 일어선 학교 이름도 빛나는 한국미래 농업고 || == 학과 ==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는 스마트식물산업과, 미래농업경영과, 스마트동물산업, 미래곤충산업과 총 4개의 과로 운영되고 있다. === 스마트식물산업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고 스마트식물산업과.png]]}}} || === 미래농업경영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고 미래농업경영과.png]]}}} || === 스마트동물산업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고 스마트동물산업과.png]]}}} || === 미래곤충산업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미래농고 미래곤충산업과.png]]}}}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