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민족주의 정당|{{{#000000 '''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정당'''}}}]] || || [[독도한국당]] ||<|2> {{{+1 →}}} ||<|2> '''{{{#FFFFFF 한국독립당}}}''' ||<|2> {{{+1 →}}} ||<|2> ''현재'' || || 한국독립당 재건위원회 || ||<-2> {{{#FFFFFF '''한국독립당'''}}} || || '''약칭''' ||한독당|| || '''영칭''' ||Korea Independence Party (KIP) || || '''등록일''' ||[[2007년]] [[8월 8일]] ,,([[국제녹색당]]),,|| || '''당명 변경''' ||[[2020년]] [[3월 6일]] ,,([[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br][[2020년]] [[11월 19일]] ,,(독도한국당),,[br][[2022년]] [[8월 18일]] ,,('''한국독립당'''),,|| || '''대표''' ||조규면 || || '''사무총장''' ||김병옥|| || '''당 색''' ||<:>{{{#FFFFFF 파란색 ,,(#0D218A),,}}}|| || '''당원 수''' ||6,649명[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95209|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 ||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38)][br][[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38 ([[삼청동]])|| || '''SNS''' ||[[https://blog.naver.com/dokdopart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7]]]][* 독도한국당 시절의 블로그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당. 창당 이후 지금까지 원내 진입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원외 정당이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록일 자체는 [[2007년]] [[7월 17일]]에 설립된 이후 단 한 번도 해산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 [[2007년]] 설립 이후 법인으로서는 줄곧 동일하게 유지되었다는 뜻. 그 덕에 창당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현존 정당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정당'''이라는 타이틀[* 대한민국의 정당은 [[법인]]이 아니라 [[비법인사단]]이다. [[https://lbox.kr/case/%EC%84%9C%EC%9A%B8%EB%82%A8%EB%B6%80%EC%A7%80%EB%B0%A9%EB%B2%95%EC%9B%90/2022%EA%B0%80%ED%95%A9104526|서울남부지방법원 2023. 5. 25. 선고 2022가합104526 판결]]에서 명시적으로 법원은 '국민의힘은 한나라당으로부터 이어온 정당이다.'고 판시한 바 있어, 정당법상 타이틀에 불과하다.]을 보유하고 있다.[* 참고로 현존하는 원외정당들은 상당수가 등록일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 총선]] 이후로 되어 있다. 이는 당시 기준 국회의원 선거 총 득표율이 2% 미만이면 해산되는 규정이 있었다가, 201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19대 총선 이전에 창당하였으나 불참한 정당들의 경우 대부분 4년 동안 선거에 나오지 않아 해산되었다. 한국독립당은 정당 해산과 관련된 법 조항이 없는 [[전국동시지방선거]]에만 주기적으로 참가하여 정당 해산에서 자유로울 수 있던 것이다. 여담으로 원내정당으로 한정하면 2012년 10월 18일 [[진보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된 [[녹색정의당]]이 가장 오래되었다.] 하지만 당명과 당 정체성은 주도 세력의 교체에 따라 여러 번 바뀌었으며, 2022년부터는 조규면 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KPTCC) 센터장이 당대표로 취임하면서 '''한국독립당'''으로 탈바꿈하였다. == 연혁 == 당대표가 누구나에 따라서 성향이 바뀌는 편이다. 이래원 대표 체제에서는 [[녹색 보수주의]]의 성향을 띄었으나, 서석해 대표가 당을 인수한 이후로는 [[과학만능주의]] 성향을 띄었다. 이래원 대표가 복귀한 이후로는 다시 녹색 보수주의 성향으로 돌아왔으며, 거기에 독도 수호라는 가치를 지키는 단일쟁점정당의 성격도 띄었다. 조규면 대표로 바뀐 이후론, [[한국독립당]]의 후신을 주장하며 [[애국주의]], [[민족주의]] 성향이 드러난다. === 국제녹색당 시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제녹색당)] ||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blogfiles4.naver.net%2F20160225_239%2Fjbelection_1456375724618zY7xt_PNG%2F%25B1%25B9%25C1%25A6%25B3%25EC%25BB%25F6%25B4%25E7.jpg|width=200]] || || {{{#FFFFFF 국제녹색당 시절 로고}}} || === 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 시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 [[서석해]] 전 대표가 있던 시기의 당명. 현재는 전혀 성격이 달라 분리되었다. === 독도한국당 시절 === || [[파일:독도한국당 로고.svg|width=400]] || || {{{#FFFFFF 독도한국당 시절 로고}}} || 이후 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도 불참하고[* 창준위에 있던 사람 중 1명이 [[무소속]]으로 출마하기는 했다.] 별다른 활동을 보이지 않다가, [[2020년]] [[11월 19일]]자로 기존 국제녹색당 세력들 중 하나인 이래원 대표가 복귀하면서 독도한국당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뜬금없이 독도한국당으로 당명을 변경한 이유를 찾아 보자면 당 대표가 대표로 있는 [[http://www.krflag.org/|태극기사랑 국기홍보중앙회 홈페이지]]를 보면 당 대표가 이전부터 독도수호 걷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독도에 대한 관심과 애착이 큰 것으로 보인다. === 한국독립당으로 변경 === [[2022년]] [[8월 18일]] 한국독립당으로 당명이 변경되었다. 조선의열단기념사업회 수석부회장과 한국독립당 재건위원장을 지낸 조규면 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KPTCC) 대표이사가 당 대표에 취임했다. 한국독립당 창당준비위원회는 [[2017년]]부터 존재했던 단체로 조선의열단기념사업회, 손병희기념사업회 등 독립운동, 역사 계열 단체들이 건립했다. 한독당 측은 기성정당이 좌우 진영으로 나뉘어 서양식 정당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심지어 마땅히 청산되어야 할 친일적폐까지 끌어안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을 친일파 기원 정당으로 규정하고, [[정의당]]의 경우 친일 정당이 아니지만, 역사 의식이 밑받침 되지 못해 행동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며 평가했다. [[http://www.koreahit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4|#]] 특이한 점이 있다면 [[이동녕]], [[안창호]], [[김구]]의 [[한국독립당#s-2|한국독립당]]을 잇는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들은 1930년 한국독립당과 이후 김구의 [[한국국민당(1935년)|한국국민당]], [[조소앙]]의 [[한국독립당#s-4|한국독립당]], 이후 1940년 이들이 합당한 [[한국독립당(1940년)]], 1963년 [[김홍일(군인)|김홍일]], [[김두한]]이 한국독립당의 후손을 자처하며 창당한 [[한국독립당(1963년)]]의 뒤를 이으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들이 한독당의 역사라고 주장한다는 것이다. 즉, '한국독립당계 정당'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중에 [[21세기한독당]]은 빼놨다.~~ 다만, 당명이 바뀐 후에도 뚜렷한 활동이 없었고 심지어 당 로고도 만들지 않아 그냥 이름만 남아있는 상태였는데, 이후 보수 빅텐트 정당인 [[내일로미래로]]의 합류가 확정되어 향후 절차가 완료되는대로 통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일로미래로]] 측의 인터뷰에서 군소정당과의 합당과 비례대표 연합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밝히면서 합당이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 역대 선거 결과 == 특이하게도 창당 이래로 모두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만 참가하였다. 다만 총선 출마 생각이 없는 것은 아닌지 당대표 이래원은 21대 총선 [[https://n.news.naver.com/article/586/0000011554|비례대표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당 이름이 독도한국당으로 바뀐 후 처음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후보를 냈다.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특별시의회]]의원 선거 [[중구(서울)|중구]] 제1선거구[* [[중구(서울)/행정#s-4|소공동]], [[명동]], [[중구(서울)/행정#s-2|광희동]], [[중구(서울)/행정#s-6|을지로동]], [[중구(서울)/행정#s-5|신당1동, 신당5동, 신당6동]], [[중구(서울)/행정#s-10|황학동]], [[중구(서울)/행정#s-8|중림동]] 관할.]에 이래원 총재가 출마했으나 4위(1.56%, 443표)로 낙선하였고, [[경상북도]] [[군위군]]수 선거에 권오준 전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 중앙당 조직단장[* 이후 [[미래자영업당]]에 인수되어 사실상 해산된 [[그린불교연합당]]에서 [[사무총장]]을 지냈다.]이 출마했으나 4위(1.68%, 282표)로 낙선하였다.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특별시의회]]의원 비례대표 선거에 이래원 총재의 부인인 조순애 씨가 출마했으나 9위(0.13%, 6,795표)로 낙선했다. 이 때 조순애 후보는 특이하게도 학력란과 경력란을 모두 미기재했다. 보통 학력란은 미기재하는 후보가 제법 있지만[* 주로 [[진보신당]]이나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등의 진보 정당에서 학력 차별에 반대하기 위해 학력란을 미기재하는 경우가 있었다.] 경력란을 미기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다.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도의회]]의원 선거 [[동두천시]] 제1선거구[* [[생연동|생연2동]], [[송내동(동두천)|송내동]], [[상패동]] 관할.]에 주명주 남북통일운동본부 중앙회 대표가 기호 6번으로 출마하였다. 특이하게도 주명주 후보는 처음 예비후보 등록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등록하였다. [[http://simin24.com/mobile_html/view.php?ns_id=83579&code=view|#]] [[서울특별시의회]]의원 비례대표 선거에 기호 8번을 배정받았으며,[* 여담이지만,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은 공교롭게도 바로 다음 기호인 9번을 배정받게 되었다.] 이래원 총재의 부인 조순애 여성국장[* 지난 선거에서 학력란과 경력란을 모두 미기재했는데, 이번에는 경력란은 기재했다.]이 비례 1번, 류병균 정책위의장이 비례 2번으로 출마하였다. 하지만, 개표 결과 비례대표 [[서울특별시의회]]의원 선거는 0.05%(2,559표)로 비례대표에 후보를 낸 11개 정당 중 최하위를 기록했고, 주명주 경기도의원 후보도 2.33%(437표)로 3명의 후보 중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이번 선거에서도 최하위 득표율을 면하지 못했다. ===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김두환 전 경산애육원 이사가 출마하였다. 결과는 295표(0.30%)를 기록하여 9위로 낙선.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지난 재보궐선거에 출마했던 김두환 후보가 이번에는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의회 나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관할.]에 출마하였으며, [[서울특별시]]의회 비례대표에는 이래원 총재의 부인인 조순애 후보가 출마한다. 조순애 후보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마찬가지로 학력과 경력을 모두 미기재했다. 개표 결과, 대구광역시 중구의회에 출마한 김두환 후보는 63표(0.39%)를 얻어 5명의 후보 중 최하위로 낙선했으며, 서울특별시의회 비례대표 선거도 2,974표(0.06%)를 얻어 전체 9개 정당 중 7위로 낙선하였다. == 기타 == * 2014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국제녹색당의 당원 수는 11,993명이나 2013년부터 현재까지 [[유령당원|당비를 납부한 당원 수는 0명으로 기재되어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516448|인터뷰]]에서 '당시는 사람들이 지금보다 순수해 길거리에서도 입당원서를 받을 수 있었다.'라고 회고한 것을 보아 길거리에서 입당원서를 받아 당원을 채운 듯하다. 11,993명의 당원은 적은 수가 아닌 것이, 2012년 정당별 당원 수 순위에서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http://www.seoul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8732|#]] 하지만 2021년도 이후로는 당원 수가 반토막났다. * 2007년 8월 창당한 이후 약 12년 7개월 동안 국제녹색당의 당명을 유지해 현존하는 대한민국의 모든 정당 중 당명을 가장 오래 유지한 정당이라는 타이틀도 얻었다.[* 역사적으로 따지면 [[민주공화당]](17년 8개월)이 제일 길다.] 결국 사이버모바일국민정책당 창당준비위원회에 인수되어 당명이 변경되면서 깨졌다.[* 현재 이 타이틀은 [[대한민국당]]으로 넘어갔다. 대한민국당이 2025년 7월까지 당명을 바꾸지 않으면 국제녹색당의 기록을 깰 수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당의 특성을 볼 때 이 기록을 넘는 정당이 나오기는 힘들 듯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정당)] [[분류:대한민국의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2007년 설립된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