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40]]]] [[국회사무처|{{{#580009 '''국회사무처'''}}}]] [[차관|{{{#580009 '''입법차장'''}}}]]}}} || ||<-2> [[정세균|{{{#ffffff ''' 정세균 의장 ''' }}}]] ||<-3> [[문희상|{{{#ffffff ''' 문희상 의장 ''' }}}]] · [[박병석|{{{#ffffff ''' 박병석 의장 ''' }}}]] || || 제16대 [br] 진정구 || → || 제17대 [br] ''' 한공식 ''' || → || 제18대 [br] 전상수 || || 이름 ||한공식(韓功植) || || 본관 ||[[한(성씨)|곡산 한씨]](谷山 韓氏)[* 27세 식(植) 항렬.[[http://www.goksan.net/bbs/board.php?bo_table=s3_4&sca=%EA%B7%BC%ED%98%84%EB%8C%80&page=2|#]]] || ||<|2> 출생 ||[[1961년]]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한(성씨)|곡산 한씨]](谷山 韓氏) [[http://m.srbsm.co.kr/view.php?idx=33594|집성촌이다]].] || || 학력 ||불국사초등학교 {{{-2 ([[졸업]])}}}[br][[문화중학교(경주)|문화중학교]] {{{-2 ([[졸업]])}}}[br][[한국교통대학교|국립철도고등학교]] {{{-2 ([[졸업]])}}}[br][[영남대학교]] {{{-2 ([[행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09731|地方敎育自治制度의 立法過程에 관한 硏究]](지방교육자치제도의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br][[아이오와 주립대학교|아이오와 주립대학교 대학원]] {{{-2 ([[교육학]] / [[석사]])}}}[br][[성균관대학교 대학원|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 ([[행정학|국정관리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4177823|의원발의 법안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고찰 : AHP분석을 통한 입법영향평가제도 설계를 중심으로]].])}}} || || 병역 ||[[육군특수전사령부]] [[병장]] 만기전역 || || 현직 ||[[국회사무처]] 입법차장 || || 약력 ||제10회 입법고시 합격[br][[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입법심의관[br][[국회사무처]] 관리국장[br]국회사무처 의사국장[br][[환경노동위원회]] 수석전문위원[br][[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br]국회사무처 입법차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현재 차관급인 국회사무처 입법차장직을 맡고 있다. == 생애 == 1961년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에서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불국사초등학교와 [[문화중학교(경주)|문화중학교]], [[한국교통대학교|국립철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경주역]]에서 철도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그러나 대학 진학을 위해 철도공무원을 1년 4개월 만에 그만두고 22살의 나이로 [[영남대학교]] [[행정학과]]에 입학한다. 이후 [[대한민국 육군|육군]]에 입대하여 [[육군특수전사령부]]에서 병역을 수행한 뒤, 1990년 국회 [[입법고시]]에 합격하여 [[대한민국 국회]] [[공무원]]으로 근무하기 시작하였다. 입법부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도중 199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아이오와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뒤 2016년 8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행정학|국정관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회 공무원으로 재직하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입법심의관(2급), [[국회사무처]] 관리국장, 의사국장(2급), [[환경노동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차관보급)의 직위를 두루 거쳤고, 2018년 8월 [[문희상]]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이 의장직에 오르면서 국회사무처 입법차장(차관급)에 임명되었다. 이러한 성공스토리로 [[국회사무처]] 공무원들에게는 입지적인 인물로 여겨진다는 이야기가 있다. 2019년 초에 들어서는 자천타천으로 고향인 [[경주시]] 지역구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설이 돌고 있다. 한 차장은 지금 차관급 공직에 재임 중이고, 이보다 더 높은 장관급인 [[국회사무총장]]은 사실상 전직 의원들의 자리이므로 입법차장이 마지막 공직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대구/경북 지역사회에서 현직 국회의원들의 교체 여론이 높고, 참신한 새 인물의 수혈을 원한다는 점에서 TK출신 고위공무원들이 선출직 공직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보고있다. 총선이 1년 정도 남은 2019년 4월 현재 시점에서 [[정희용]] 경상북도청 민생특보[* [[송언석]] 국회의원의 전 보좌관으로 [[나경원]] 의원의 보좌관으로 활동한 적도 있다.], [[김현기(1966)|김현기]] 전 경상북도 행정부지사(고령/성주/칠곡), [[김승수(1965)|김승수]] 전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상주/군위/의성/청송), [[이승호(1958)|이승호]]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대구 수성구), [[이상길(1964)|이상길]]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대구 북구)과 함께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21대 총선]] 출마설이 지역 정가에서 계속해서 거론되고 있다. [[경주시]] 지역구의 국회의원인 [[김석기]] 의원이 측근을 통해 출마 의사가 있는지 알아봤다는 풍문도 나오고 있다. [[http://news.imaeil.com/PoliticsAll/2019040915343894510|한 차장은 "공직에 있어 정치적 이야기를 하기 곤란하지만 관심은 고맙게 생각한다"고 했다.]] [[https://news.imaeil.com/InnerColumn/2019041617193048935|[시각과 전망] TK 공직자들을 국회로 내몰지 말라]] 다만 이러한 TK 출신의 유능한 인사들이 전부 출마하여 정쟁만 하는 국회에 묶여있다면 국가 차원에서는 손해일 수 있으므로 [[문재인 정부]]가 적극적으로 고위직에 등용하여 국가에 헌신토록 해야 한다는 지역 언론의 의견도 있다. [[분류:경주시 출신 인물]][[분류:곡산 한씨]][[분류:1961년 출생]][[분류:한국교통대학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출신]][[분류:입법고등고시 출신]][[분류:국회사무처 입법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