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시경제학)] [include(틀:경제학사(사상))] [목차] == 개요 == {{{+1 [[限]][[界]] [[理]][[論]] / marginalism}}} 경제학의 사상 중 하나이다. '한계' 즉 추가적으로 얻는 가치에 의해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소에 라면을 좋아하더라도, 라면을 세 그릇이나 먹은 사람에게 라면 한 그릇을 또 먹으라고 권한다면, 그 사람은 질색을 할 것이다. '''라면 한 그릇을 (더) 먹어서 보는 이득은, 그 전에 라면을 많이 먹었을수록[* 해당 메뉴가 질리는 것을 제외하고 포만감만 고려한다면 그 전에 먹은 음식이 라면이 아니라도 성립한다.] 줄어드는 것이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개념이다.''' [[오스트리아 학파]]에서 발전되어 현재는 경제학의 한 축으로 자리잡은 상태다. 물건의 가치가 어디에서 나오는가를 다루는 가치 논쟁에서, 기존의 주류적 입장이던 [[노동가치론]]을 대체하고 나왔다. 발견자인 헤르만 하인리히 고센의 이름을 따서 고센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 한계 생산성 == 1단위의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할 때의 생산성을 뜻한다. 예를 들어 아무것도 모르고 처음 택배 알바를 갔다고 하자. 처음 짐을 나를때의 생산성과 탈진하여 탈주하기 직전인 상황에서의 생산성은 분명 차이가 있을 것이다. ==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고센의 제1법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 한계 효용 균등의 법칙(고센의 제2법칙) == 예산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가지만 소비하지 말고 여러가지를 소비해야 한다. 즉 한계효용의 변화에서 몇 종류의 재화를 같이 소비할 때 각각의 재화가 가진 한계효용이 같지 않다면 한계효용이 낮은 재화를 소비하는 대신 한계효용이 높은 다른 재화를 소비하여 전체의 효용을 크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빅맥을 좋아하는 로날드의 예산이 3만원이고, [[맥도날드]]에서 빅맥 세트가 4천원에 효용(선호도 반영)이 100이고 상하이 스파이시 치킨 콤보(이하 상하이)가 5천원에 효용이 80이라고 했을 때, 같은 재화를 소비할 때마다 효용이 10씩 떨어진다고 가정하면 3만원을 모두 빅맥을 먹는 데 쓴 경우 총 효용은 490인데 반해,[* 100+90+80+70+60+50+40. 2천원 남음 (4×7=28)] 효용이 80 미만이 될 때 상하이를 먹어 준 경우 총 효용은 620이 된다.[* 100+90+80+''80''+100+90+80. 1천원 남음] 즉 이성적인 소비를 하더라도(빅맥이 싸고 효용도 높으니까) 추가하는 빅맥의 효용보다 상하이의 효용이 더 크다면 상하이를 추가로 사는 것이 합리적이다. == 관련 문서 == * [[경제 관련 정보]] * [[효용함수]] * [[효용극대화 문제]] [[분류: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