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전철역, rd1=학동·증심사입구역)] ||<-3> {{{+2 '''학동'''}}}'''(나누리병원)'''{{{+2 '''역'''}}}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강남구청역|강남구청]][br]← 0.9 ㎞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31)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논현역|논 현]][br]1.0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학동역, 너비=100%, 높이=100%)]}}} || ||<-3> '''역명 표기'''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 7호선}}}]] ||<-2> '''학동''' {{{-1 '''(나누리병원)'''}}}[br]{{{-2 Hak-dong {{{-2 (Nanoori Hospital)}}}[br]鶴洞 / 鹤洞 / ハクト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서울)|학동로]] 지하180 ([[논현동(강남구)|논현동]] 279-67) || ||<-3> '''소속 영업사업소'''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보라매영업사업소]] 학동역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00년 8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31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서울)|학동로]] 지하180 ([[논현동(강남구)|논현동]] 279-67)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 학동(개선).pn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현재는 행정구역 개편[* [[법정동]] 학동은 1985년에 논현동에 합쳐졌으며, [[행정동]]도 1992년에 논현2동으로 바뀌었다.]으로 폐지된 옛 동네 이름 '학동(鶴洞)'에서 역명을 따왔다. [[학동로(서울)|학동로]]와 [[논현로]]가 만나는 논현동사거리에 위치하며, 원래 사거리명인 논현동사거리라는 지명은 바로 옆 영동사거리([[논현역]])처럼 역 개통 후 버스 정류장명에만 남고 사장되었다. 그런데 논현역은 논현동의 서쪽 끄트머리고, 정작 학동역이 논현동의 중심이다. 여길 논현역을 주면 현 논현역에 넣을 지명이 없어서 이리 한 듯하다. 역시 강남에 위치한 역이며, [[개념환승]]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논현역이나 [[강남구청역]] 사이에 갇혀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는 빛을 보지 못하고 있는 역이다. 7호선의 [[스크린도어]] 1차 설치경계지점이다. 2009년 1월 기준 이 역의 일평균 승하차인구는 46,962명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 역들 중 4위를 달리고 있다. 10번 출구 방면의 업무지구로 출근하는 직장인이 매우 많으며, 또한 7번 출구에서 [[서울 버스 147|147번]]으로 환승한 뒤 [[크고 아름다운]] 논현동고개를 넘어 [[역삼역]] 방면으로 출근하는 직장인도 매우 많기 때문이다. 10번 출구로 나가는 인구가 매우 많기 때문에 분산을 위하여 9번 출구나 건너편 1번 출구로 나가달라는 안내도 있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학동역_안내문.jpg|width=100%]]}}}|| || 에스컬레이터 이용 안내문 || 1번, 10번 출구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4~7번 출구가 논현1동에 있고, 나머지 출구는 논현2동에 있다. [[강남구]]에 있는 역 중에서 언주로([[강남구]]에서 유일하게 철도역과 직접 접하지 않는 종축 도로)와 가까운 위치에 있다. 학동역 1번, 10번 출구에서 서울세관 사거리까지 200m밖에 되지 않는다. 아예 논현로(양재전화국 사거리)와 언주로(매봉터널 사거리) 사이에 있는 [[매봉역]] 2번, 3번 출구에서도 매봉터널 사거리까지는 300m 정도 떨어져 있다. 양재전화국 사거리와는 400m 정도 떨어져 있다. 2022년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의거 '''나누리병원'''이 병기역명으로 추가되었다. 다만 아직 안내방송에는 적용되지 않았다가 2022년 12월 4일에야 안내방송에 적용되었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은 상업지구 및 단독주택 지역이다. 6번[* 삼익악기 건물은 [[KMTV]]가 2003년까지 있었던 곳이었는데 [[쇼! 뮤직탱크]] 녹화가 있던 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오갔었다.] 및 7번 출구가 위치한 블록 북쪽에는 고급빌라들[* 논현 브라운스톤로얄스위트, 알파임하우스,리츠하우스 등이다.]및 단독주택들이 많으며, 대표적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가 있다. 사저 바로 옆에는 학동공원이 있다([[논현역]], [[신사역]]에서도 가깝다). 2023년 현재는 광진구로 이전한 상태지만, 한때 [[DSP미디어]]도 7번 출구 근처에 사옥이 있었다. 10번 출구 근처에는 사전자수박물관이 있고, 1번 출구로 나가면 이른바 치킨 건물이 있다. 1번 출구에서 서울세관 사거리까지 이동한 후 경복아파트 방향으로 내려가다가 강남플라자 웨딩홀 뒷편으로 가면 [[레진코믹스]]를 찾을 수 있다. 2번 출구 바로 앞에는 영동우체국이 있다(2018년 완공되었으며 현재는 논현동우체국으로 이름 변경). 4번 출구에서 차병원 사거리 방향으로 300m쯤 가다 보면 뉴힐탑호텔이 있다. 뉴힐탑호텔에는 클럽 옥타곤[* 2020년 3월에 폐업했다.]이 있었는데, 학동역에서 [[옥타곤]]까지 오르막길이라 은근히 걸어가기 힘들었다. 인근의 정류장 명칭도 논현고개이다. 힐탑호텔을 지나면 역삼역까지 스노우보드 가게들이 펼쳐져 있다. 이 역은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는 구조니 주의하자. [[파일:attachment/Wiki Sandbox/_3.jpg]] 이 역 근처에 치킨 가게가 유난히 많은 '''닭빌딩'''이 있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학동역 출구 정보}}} || ||{{{#ffffff 1}}}||강남YMCA|| ||{{{#ffffff 2}}}||서울논현동우체국|| ||{{{#ffffff 3}}}||논현2동[br]컨벤션헤리츠웨딩|| ||{{{#ffffff 4}}}||논현1동[br]대한법무사회관|| ||{{{#ffffff 5}}}||논현초등학교[br]논현가구거리[br]논현1동주민센터[br]논현노인종합복지관[br]논현1문화센터|| ||{{{#ffffff 6}}}||논현1치안센터[br]논현가구거리[br]논현정보도서관|| ||{{{#ffffff 7}}}||학동공원|| ||{{{#ffffff 8}}}||강남을지병원[br]국제예술대학교[br]허벌라이프|| ||{{{#ffffff 9}}}||논현2동|| ||{{{#ffffff 10}}}||서울본부세관[br]통계청나라셈도서관[br]논현2동주민센터[br]논현2치안센터[br]한국자수박물관[br]언북중학교[br]건설공제조합[br]플랫폼업 컨템포레리 아트센터[br]강남·서초구선거관리위원회[br]나누리병원||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7,139명 || [*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1년 || 38,573명 || || || 2002년 || 43,452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43,623명 || || || 2004년 || 43,946명 || || || 2005년 || 45,127명 || || || 2006년 || 45,093명 || || || 2007년 || 46,588명 || || || 2008년 || 46,962명 || || || 2009년 || 46,172명 || ||}}}}}}}}} || || 2010년 || 49,216명 || || || 2011년 || 51,211명 || || || 2012년 || {{{#747f00 51,357명}}} || || || 2013년 || 50,323명 || || || 2014년 || 50,046명 || || || 2015년 || 48,425명 || || || 2016년 || 45,553명 || || || 2017년 || 43,987명 || || || 2018년 || 43,252명 || || || 2019년 || 43,807명 || || || 2020년 || 37,313명 || || || 2021년 || 37,985명 || || || 2022년 || 40,510명 || || || 2023년 || 43,09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 의외일지 모르지만 7호선에서 최상위권의 이용객을 자랑하는 곳이다. 2023년 기준 하루 이용객은 '''43,094명'''으로 7호선 전체 2위, 비환승역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심지어 [[강남대로]]를 낀 [[논현역]], [[영동대로]]를 낀 [[청담역]]보다 타고 내리는 사람이 더 많다. 실제로 출근시간대에는 [[대림역]]부터 이 이전 역인 논현역까지 열차가 꽉 찼다가 이 역에서 내리면 한산해진다. 중간의 환승역도 일부 인원만이 갈아탈 뿐 이렇게 한꺼번에 내리지는 않는다. * [[논현역]]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7호선 연선주민의 강남 방면 수요를 일부 분담한다. * 이러한 이유에는 학동역 근처를 오가는 연계 버스가 부실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강남대로와 영동대로는 서울 및 수도권 각지에서 오는 수많은 버스가 밀집하여 굳이 7호선을 타지 않아도 비교적 편하게 올 수 있지만, 학동역으로 오는 노선은 10개도 되지 않을 만큼 적어서 버스의 음영 지대이다. * 2002년에 하루 평균 4만 명, 2011년에 5만 명을 돌파하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용객이 늘어난 이후 5만 명 언저리에서 이용객이 유지되었으나 2015년에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빠른 속도로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9호선 개통 직전인 2014년에는 5만 명에 턱걸이하였으나, 2017년에는 44,000명으로 2년 만에 약 6천 명이 감소하였다. 빠진 수요의 대부분은 9호선 [[언주역]]에서 수용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다행히 그 이상 수요가 감소하지는 않아서 4만명대 초반에서 유지중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학동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7호선 승강장 }}}''' || 학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이 역은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하다.[* [[우장산역]]이 학동역과 똑같은 형태로 지어졌다.] ||<-4> [[강남구청역|강남구청]]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논현역|논현]]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강남구청역|강남구청]]·[[상봉역|상봉]]·[[도봉산역|도봉산]]·[[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논현역|논현]]·[[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이수역|이수]]·[[석남역|석남]] 방면|| == 연계 버스 == === 5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논현동사거리.학동역(23118)'''}}}}}}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1|{{{#ffffff 241(논현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01|{{{#ffffff 401(장지차고지)}}}]]}}}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2|{{{#ffffff 3412(강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411|{{{#ffffff 6411(선릉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641|{{{#ffffff 8641(개포동)}}}]]}}} ||}}} === 6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논현동사거리.학동역(23115)'''}}}}}}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0|{{{#ffffff 240(신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01|{{{#ffffff 401(광화문)}}}]]}}}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411|{{{#ffffff 6411(신정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641|{{{#ffffff 8641(구로동)}}}]]}}}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하남 버스 9202|{{{#ffffff 9202(상산곡동)}}}]]}}} ||}}} === 7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학동역(23114)'''}}}}}}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7|{{{#ffffff 147(한티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0|{{{#ffffff 240(신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63|{{{#ffffff 463(염곡동)}}}]]}}}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211|{{{#ffffff 4211(염곡동)}}}]]}}}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하남 버스 9202|{{{#ffffff 9202(상산곡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학동역(23536)'''}}}}}}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강남08|{{{#ffffff 강남08(삼성역)}}}]]}}} ||}}} === 8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학동역(23132)'''}}}}}}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7|{{{#ffffff 147(월계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63|{{{#ffffff 463(여의도)}}}]]}}}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211|{{{#ffffff 4211(한양대동문)}}}]]}}}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강남08|{{{#ffffff 강남08(신사역)}}}]]}}} ||}}} == 기타 == * 이 역 위에 있는 사거리를 "학동역 사거리"라고 한다. "학동사거리"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학동사거리는 이 역과 동떨어진 곳에 있다. [[압구정로데오역]]에서 한 블럭 남쪽으로 내려온 곳에 위치한 사거리가 학동사거리다. 학동사거리로 가려면 학동역 2번 출구로 나와서 택시를 타고 가는 것이 좋다. 약 5분이 소요되며, 요금은 3,800원. 7호선 개통 전엔 "논현동사거리"였다. 이 사거리가 정확하게 논현동의 중심이다. 다만 7호선 학동역 개통 이후 사장된 지명이 되었다. 그래도 아예 버스정류장명에서도 사라진 구 영동사거리([[논현역]])와 달리 현재도 버스정류장명으로는 남아 있다. * 다른 강남권 역과 마찬가지로 위 아래에 [[압구정역|3호선]], [[언주역|9호선]], [[역삼역|2호선]]이 지난다. 논현로를 수직으로 가로질러야 한다면 [[서울 버스 4211|4211]], [[서울 버스 463|463]]을 이용하면 된다. 종점, 차고지가 양재동 현대기아차 본사 바로 옆이므로 개포동까지 깊게 들어갈 수 있다. 현대기아차로 가야 할 경우 본사는 차고지에 가서 내리거나, 차고지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 종점에서 U턴한 뒤 내리면 된다. 추가적으로, [[서울 버스 147|147]]은 도곡1동 주민센터 사거리를 끼고 다시 돌아오며, [[서울 버스 242|242]]는 국악고까지 운행하지만 역삼-도곡동을 끼고 돌아가니 잘 보고 타야 한다. * 나누리병원이라는 부역명이 붙기 전에는 전후역 표기에 일본어(가나) 표기가 있었으나 부역명 추가 후 일본어 표기가 삭제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강남구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