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05년에 국내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C&C]] 커뮤니티 운영진 중 한 명이었던 '싼징'을 비롯한 3명이 만든 사전. 이들의 정체는 2005년 2월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한 이세준/주덕진/백인식. 현재 이들은 [age(1987-02-28)]~[age(1986-03-01)]세가 됐다. 원사이트는 사라졌지만 [[http://web.archive.org/web/20160309225351/http://dic.idoo.net/|아카이브]]에 대부분의 내용이 남아 있다.[* 아카이브 특성상 몇몇 그림이 깨져 있음에 유의.] == 상세 == 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이나 방식에 대한 위트와 풍자가 돋보인다. 홈페이지는 [[Daum]]의 [[http://trust.daum.net/daum/main.htm|정보트러스트어워드]]를 수상.[* 인터넷에서 사라지는 수많은 정보 중 가치 있는 정보를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시작한 기획이다. 실제로 [[네띠앙]], [[하이홈]] 등 수많은 무료 [[개인 홈페이지]] 서비스가 문을 닫으면서 인터넷에 있는 대량의 정보가 쓸려나갔는데 이를 막아 보자는 것. [[2009년]]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이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아이두넷[* 청소년 전용 커뮤니티 사이트. 설립자가 [[충격 고로케]], [[일간워스트]] 설립자인 [[이준행]]이다.]도 정보트러스트어워드를 수상했다. 학교대사전의 '학교 드라마' 항목에는 "이 학교대사전도 [[교과서]]에 올라 필자들이 '4대천왕'에 등극하는 비극이 일어날지도 모르는 일이다."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그런데 2014년에 신사고에서 나온 중 2 국어 검정 교과서에 일부 항목이 실렸다. == 역사 == [[경기고등학교]]에 함께 재학 중이던 3명이 고 3 직후인 2004년 봄에 학교의 여러 가지 현상이나 사물 등을 정리해 놓았다가 졸업 후 온라인으로 이것을 정리해서 내기 시작했다. 현재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 주로 고등학생층을 대상으로 만들어져 있다.]이라면 대부분[* 반례가 없는 것은 아니다. 2007년부터 교과서 표지에 비닐 코팅이 들어가면서 [[교과서 튜닝]] 항목을 말아먹는다든가. ~~사실 유성펜 쓰면 된다~~] 공감 가는 내용들로 인해 온라인에서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오프라인으로 책까지 발간하기에 이른다. 온라인 페이지가 만들어지고 얼마 후 [[신해철]]이 진행했던 라디오 프로그램 [[고스트스테이션]]에서도 신해철이 직접 내용들을 읽어 주며 재미있어 하는 등 상세히 소개되었는데, 이 소개도 학교대사전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한몫하였다. 기본적인 컨셉은 엠브로스 비어스의 [[악마의 사전]][* 1800년대 [[미국]]의 소설가 엠브로스 비어스의 걸작으로 [[한국어]] 번역판도 한때는 절판됐지만 재판되어 나와 있다. 읽어본 사람들이 한 번쯤 흉내내어서 자신만의 악마의 사전을 만들게끔 하는 마력이 있는데 실제로 잡지 [[게이머즈]]에서도 이런 연재물이 있었고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올려진 자기류 사전들도 부지기수다.]과 같이 독설과 비아냥, 비꼬기로 가득한 풍자 사전을 지향했다. 당시 상황에 맞게 내용은 [[7차 교육과정]] 초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실제로 저자 3명은 1986년생 7차 교육 과정 고등학교의 첫 세대이기도 하다.[* 초기 7차 교육 과정은 1994년생까지 꽤 긴 기간 동안 적용되었다. 다만 말기 세대인 1993년생부터 [[미적분을 배우지 않은 문과생|수학이 바뀌었지만.]]] 오프라인판은 맞춤법상의 수정이 가해졌고[* 라스베가스 → 라스베이거스, '사랑의 매'의 새도매저키즘 → 사도마조히즘 등.] 삽화 및 부록이 첨가되어 있으며, 삽화는 [[3cf]]로 유명한 전설의 삼류 만화가 '보노'[* 본명은 권용만이며, 현재 [[국방부 퀘스트]]를 마치고 인디 밴드 [[밤섬해적단]] 활동 중.]가 그렸다. 참고로 도서관에 있다면 '''교육학 도서''', 혹은 일부의 경우 '''수필'''로 분류되어 있다.[* 책 제목이 '대한민국 학교대사전'이고 저자가 '학교대사전 편찬위원회'다 보니...] 하지만 현대 [[고등학생]]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사]]나 [[사범대학]] 교수 등등의 사람들이 한 번은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는 점에서는 그 분류가 꼭 틀린 건 아닐 듯하다. 온라인판은 오프라인판에 수록되지 않은 몇몇 항목도 추가로 포함되어 있었다. 현재는 오프라인판은 모든 인터넷 서점에서 품절된 상태이며 온라인판도 개정판이고 뭐고 홈페이지 내용부터 업데이트가 안 되고 있지만[* 그나마 몇몇 항목이 [[2009년]]에 달라진 점이 있는 주석을 달고 있긴 했다. 예를 들어 [[내신/수능 9등급제]]와 관련된 내용 등. ~~이것도 7차 시절 때다. 2020년 기준으로 그동안 3번이나 개정되었다.~~ ~~업데이트를 하고 싶어도 원래 필진 3명과 이후 뽑힌 필진 2명조차도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벌써 10여 년이 다 되어가서 뭔가 추가를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다. 무엇보다 저자들조차 사이트 로그인 방법조차 잊어버렸다. 마스터 파일은 아마 어딘가에 있을 것이지만 찾으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다(?).~~] 아직까지 학교에 대해서는 잘 설명하고 있는 편이다. ~~그게 뭔가 더 슬프다.~~ == [[나무위키]]에 있는 문서 중에 학교대사전에도 있는 것(학교대사전을 인용한 것을 포함) == 둘의 성격이 비슷하다 보니 항목이 꽤 많이 중복되어 있다. * [[갑신정변]]: 책이 나올 당시 화젯거리였던 [[이기준]]이 [[교육부장관|교육인적자원부 장관]]으로 취임한 지 5일 만에 물러난 것으로 비유하였다.[* 다만 이 일은 2005년(을유년) 1월에 있었던 일인데, 갑신정변이라고 한 이유는 음력으로는 아직 2004년이었기 때문이다.] * [[강남대성학원]]: 워낙 유명한 [[재수학원]]이라 책에 나온 [[두보]]의 강남봉이구년을 패러디한 작품[* 이 작품의 내용은 재수학원에서 학교 다니던 시절 친구를 만났다는 작품이다.]의 배경 장소로 묘사되었다. * [[강(성씨)|강씨]][*온라인 온라인판에 한해서 수록되었다.] * [[개교기념일]] *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 * [[개념원리]]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절차적 알고리즘의 예제로 '고등학생 알고리즘' 인용. * [[경기고 축구부]]: 여기서는 '축구부' 항목에서 예시로 서술하였다. * [[고3]] * [[고려]] * [[교가]]: 추가로 교가 2절에 관한 설명도 있다. * [[교과서]] * [[교과서 튜닝]]: 여기서는 '제목 바꾸기'와 '성형 수술'로 표현하였다. * [[교복]] * [[교지]] * [[장승수|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여기서는 '서울대 가는 길'에 간접적으로 나와있으며, '공부가 존내 쉬웠어요'라는 3cf의 패러디 만화도 수록되었다. 또한 성적이 너무 안 나와 좌절할 때 읽는 책으로도 추천하였다. * [[왕권신수설|교권신수설]] * [[과학의 날]][*온라인]: 과학의 달 행사. * [[광장(소설)|광장]][*패러디 패러디 작품이 실려 있다.] * [[구지가]][*패러디] * [[국민건강체조]](새천년 건강체조) *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국사|국사]] * [[군대]]: [[실존하지 않는 학과]] 문서에도 설명되어 있다. * [[급식]]: 자세한 것은 [[한국 급식]] 항목 참조. 당연하지만 여기서도 해당 항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기미독립선언서]]: 추가로 [[속미인곡]]과 비교하였다. * [[꺼삐딴 리]]: 우치첼 리[* Учитель Ли(이 선생님). 정확히 적자면 "우치텔"이 맞긴 하다.]로 패러디되었다. * [[내신/수능 9등급제|내신 등급제]][*온라인]: 여기서는 '이천팔학년도입시제도'로 서술하고 있다. * [[네이티브]] ⊂ [[귀국자녀]] * 네이티브의 비애 * [[눈사람]][*온라인] * [[담배]]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온라인] * [[단소]] * [[도시락]] * [[독도(동음이의어)#s-4.1|독도]] * [[라디에이터]] * [[라스베가스]] * [[로피탈의 정리]] * [[리코더]] * [[마법]] * [[테일러드 재킷|마이]] --[[마스터 이]]가 아니다-- * [[말뚝박기]] * [[모의고사]] * [[무가지]]: [[메트로]]와 지금은 사라진 [[포커스뉴스|포커스]], 데일리줌도 언급하였다. *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물리학Ⅱ|물리Ⅱ]] * [[미역국]] * [[밀가루]] * [[바빌론 유수]] * [[바이오리듬]] * [[베버의 법칙]] * [[보충수업]] * [[복선]] * [[분교]]: 원문에는 '식민지 경영'으로 표현하였다. * [[분필]]: 추가로 물분필에 대해서는 별도의 '네오초크' 항목에 설명되었다. * [[빙고#s-1]]: 3cf가 [[스타크래프트]]를 주제로 한 빙고의 삽화를 그렸다. * [[빼빼로데이]] * [[사고실험]] * [[사랑의 매]] * [[사면초가]] * [[사사오입]]: 추가로 [[사사오입 개헌]]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 [[삼국지]] * [[상전벽해]] * [[생리대]] * [[서울대학교|샤대학]]: 자세한 것은 [[샤#s-2|해당 항목]] 참조. * [[성적표]] * [[소탐대실]] * [[소녀의 기도]] * [[수능 끝난 고3]]: 원문에는 '고삼 사회적응 프로그램' 에 간단히 서술하고 있다. 이외에도 부록에는 3cf가 그린 수능 끝난 고 3 교실 풍경을 본문에 나온 항목과 같이 묘사한 그림도 있다. * 수능 난이도: 자세한 사항은 [[불수능]]과 [[물수능]] 항목 참조. * [[수능 등급제]]: 책이 나올 당시에는 미래 시점의 일이었다.[* 참고로 '''책이 나온 그해'''에 고등학교에 입학한 신입생들이 여기에 해당되었다.][* 다만 이 내용은 실제와 다른 부분이 있는데, 책에서는 수능의 원점수가 아무리 높은 학생이라도 어떤 과목 하나만 틀려도 3등급이 된다는 이야기가 나왔으나 실제로는 [[등급 블랭크]]가 없었다.] * [[수능한파]] * [[수시 붙은 고3]]: 원문에는 '[[대학생]]'으로 서술하고 있다.[* 참고로 책이 나올 당시에는 수시 1학기가 있었다.] * [[학교 수련회|수련회]] * [[수학여행]] * [[수학의 정석]] * [[수행평가]] * [[아기공룡 둘리]]: 주제가가 '물리' 항목에서 '[[물포자|악의 과목 물리]]'로 패러디되었다. * [[아라비아 숫자]] * [[아랍어(교과)|아랍어]] * [[아편전쟁]] * [[야간자율학습]] * [[엠씨스퀘어]]: 참고로 나무위키의 해당 문서에는 이 책의 '성형 수술'에 관한 내용도 있다. * [[역참|역참제]] * [[연좌제]] * [[연필]] * [[영토 분쟁]] * [[오감도]][*패러디] * [[오나타]] * [[용두사미]] * [[원점수]]: 추가로 [[표준점수]] 계산법도 같이 설명했다. * [[원주율]][*온라인] * [[위인전]] * [[EBS|이비에스]]: 정확히는 [[EBSi]]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7차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이산수학|이산수학]] * [[인서울]]: 해당 항목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노선별 주위 대학교#s-1.2|을 낀 대학교]]에 관한 내용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성적이 떨어질수록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에서 [[인수도권 대학교|인수도권]], [[지방대]]로 멀어지다가 종국에는 [[도피유학]]을 간다는 [[대학 서열화|설명을 한다는 점]]은 덤. * [[인터넷 강의]] * [[입학식]] * [[장미전쟁]] * [[재수생]] * [[재수학원]][*온라인]: 원문에는 '[[정시]] 라 군'으로 서술하고 있다.[* 다만 2001학년도 이전에는 정시 라군이 실제로 존재했다.] * [[전교조]] * [[전자사전]] * [[정수기]] * [[정철]] * [[제논의 패러독스]] * [[제7차 교육과정]]: 인터넷판 표지에 이게 나와 있다. * [[제임스 먼로#s-3.1|먼로 독트린]] * [[조회]] * [[졸업]] * [[졸업식]] * [[졸업앨범]] * [[지구과학Ⅰ]] * [[지구과학Ⅱ]] * [[지우개]] * [[진폐증]]: 이 책에서 옥스포드 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긴 단어로 소개했다.[* Pneumonoultramicroscopicsilicovolcanoconiosis. 다만 이것은 진폐증의 종류 중 하나이며, 보통은 Pneumoconiosis로 쓴다.] * [[짜장면]]: 책이 나올 당시에는 '자장면'만이 표준어였다. 자세한 사항은 [[짜장면/표기법 논쟁|문서]] 참조. * [[짬타이거]][*온라인]: 원문에는 '애완동물'로 서술하고 있다. * [[청소년 드라마]] * [[철수]] & [[영희]] * [[체벌]]: 부록 중 '체벌 무기' 인용. * [[최외각전자]] * [[추가합격]] * [[카노사의 굴욕]] *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카이스트(드라마)|동명의 드라마]]도 언급되었다. * [[컴퓨터실]]: 정확히는 하부 항목에서 컴퓨터실의 현황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수확체증의 법칙'에도 이 부분이 언급되어 있다. * [[컴퓨터]] * [[고전게임]] * [[마우스(입력장치)|마우스]]: 시대가 시대인지라 [[볼마우스]] 위주로 설명하였다. * [[컴퓨터용 사인펜]] * [[크리스마스]] * [[크리스마스 씰]] * [[테러리스트]] * [[토사구팽]] * [[토요휴업제]]: 책이 처음 출간될 당시가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이라 그런지 '주오일제 시범학교' 항목에 서술되어 있다. * [[파레토 법칙]][*온라인] * [[판치기]] * [[포맷]] * [[프로레슬링]] * [[피리(악기)|피리]] * [[피자]] * [[하이텍씨]]: 참고로 하이텍씨를 많이 가진 사람을 '부르주아'라고 표현하였다. * [[학교생활기록부]]: 다만 현재와는 내용이 다른 부분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조. * [[학교 체육복]] * [[학생독립운동기념일]]: 책이 나올 당시에는 '학생의 날'이었다. * [[허생전]][*패러디] * [[OMR]]: 덤으로 OMR 아트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분류:372 학교행정 및 경영, 보건]][[분류:학교]][[분류:대한민국의 도서]][[분류:에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