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하플로칸토사우루스과]] ||<-2><#F60> '''{{{#FFF {{{+1 하플로칸토사우루스}}}[br]Haplocanthosaurus}}}''' || ||<#F93> '''학명''' || ''' ''Haplocanthosaurus'' '''[br]Hatcher, 1903 (conserved name)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 || '''하목''' ||†용각하목^^Sau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상과'''}}}]] ||†디플로도쿠스상과^^Diplodocoide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하플로칸토사우루스과^^Haplocanth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하플로칸토사우루스속^^''Haplocanth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하플로칸토사우루스 프리스쿠스(H. priscus)^^{{{-1 [[모식종]]}}}^^[br]Hatcher, 1903 (conserved name) * †하플로칸토사우루스 델프시(P. delfsi)[br]McIntosh & Williams, 1988 || [목차] [clearfix] == 개요 ==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용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단순한 척추 도마뱀'. == 상세 == [[모리슨층]]에서 발견된 용각류 중 가장 작은 종 중 하나로 몸길이는 15m도 되지 않았으며, 체중은 13~14t 정도에 불과했다.[* 모리슨층에서 발견된 다른 용각류들을 보면 [[디플로도쿠스]], [[바로사우루스]], [[아파토사우루스]], [[브론토사우루스]], [[수페르사우루스]], [[마라아푸니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등 몸길이 20m 이상의 용각류들이 우글거렸다.] [[몬태나주]]에서 발견된 하플로칸토사우루스 표본 ‘빅 몬티Big Monty’의 경우 몸길이가 33미터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이 표본의 진위 여부를 두고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에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은 없다. 하플로칸토사우루스는 디플로도쿠스상과 중 유일하게 하플로칸토사우루스과라는 독자적인 과에 속하며 2015년에 발표된 표본 레벨에서의 계통학적 분석에 따르면 하플로칸토사우루스는 가장 원시적인 디플로도쿠스상과 종이거나 혹은 [[레바키사우루스]]과보다 더 파생된 종이라고 한다. == 생태 == 하플로칸토사우루스는 모리슨층의 동물군 중 하나로 [[브론토사우루스]], [[아파토사우루스]], [[디플로도쿠스]], [[브라키오사우루스]], [[카마라사우루스]] 등 수많은 종의 용각류, [[스테고사우루스]], [[헤스페로사우루스]] 등의 검룡류, [[가르고일레오사우루스]], [[미모오라펠타]] 등의 원시 곡룡류, [[드리오사우루스]], [[캄프토사우루스]]같은 조각류와 [[케라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토르보사우루스]], [[사우로파가낙스]] 같은 수각류 공룡들과 공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