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하치조어|{{{#fff 하치조어}}}]]관련 틀'''}}} ||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일본어족)] [include(틀:일본어의 사투리)] }}} || [youtube(WH9ucaSQRpE)] [youtube(7r0JWbrlR24)] 하치조 방언을 다룬 [[도쿄 MX]] 방송. 八丈方言 [clearfix] [목차] == 개요 == [[일본어]]의 [[사투리]] 가운데 하나. 본토 일본어와의 차이가 커 의사소통이 많이 어렵기 때문에 [[일본어족]] 일본어파의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여 '''하치조어(八丈語)'''라고도 한다. 세계적으로 그렇듯이 방언이 소멸되고 있기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절멸 위기 언어이기도 하다. 위 동영상에도 어린아이가 할머니는 쓰는데 본인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 때문에 섬에서는 방언을 남기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한다. 고대 일류계 언어는 크게 서쪽에서부터 큐슈-류큐조어(Proto-Kyusyu-Ryukyuan), 상대 (서부) 일본어(Western Old Japanese), 상대 동부 일본어/상대동국방언(Eastern Old Japanese)로 분류할 수 있는데, 현존하는 하치조어를 제외한 모든 일본어파 언어는 상대 서부 일본어로부터 유래하나, 하치조어만은 상대 동부 일본어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별개의 언어로 볼 타당성도 존재한다. == 사용 지역 == [[이즈 제도]]의 남부에 위치한 [[하치조마치|하치조 섬]](八丈島) 및 [[아오가시마무라|아오가시마]] 섬(青ヶ島)에서 사용되는데, 이들 지역은 [[도쿄도]]에 속한다. 하치조섬만 해도 육지에서 287 km나 떨어진 데다가 [[쿠로시오 해류]] 탓에 배를 몰기도 쉽지 않아 예부터 외부와 교류가 매우 적었고, 해류의 특성과 거리 때문에 오랜 세월 죄수들의 유형지였다. 이 때문에 지금의 일본어와 많이 다른 하치조 방언이 남았다. [[오키나와현]]에 속한 [[다이토 제도]]에서도 하치조 방언이 사용된다. 정확히는 다이토 방언(大東方言)이라고 하는 하치조 방언의 분파로, 1900년에 하치조섬 출신의 개척단이 무인도였던 다이토 제도를 개척하면서 이곳에서도 하치조 방언이 쓰이게 되었다. 다이토 방언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류큐어]]의 영향도 조금은 있는 듯. == 특징 == * [[만요슈]]에서나 볼 수 있는 고대 일본어[* 정확히는 상대동국방언(上代東国方言)]의 모습이 많이 남아 있다. * [[동사]]와 [[형용사]]의 연체형과 종지형을 구분한다. * 동사의 경우 연체형은 オ단, 종지형은 ウ단을 쓴다. 예) 書こ 쓰는 / 書く 쓰다[* 단, 문장을 끝마치는 형태로는 書く는 잘 쓰이지 않고 書こわ의 형태로 쓰인다. 한국어의 '쓰다'와 '쓴다'의 차이 정도로 추정된다.] * 형용사의 경우 연체형 어미로 け, 종지형 어미로 きゃ를 쓴다. 예) 高け 높은 / 高きゃ 높다 * [[초분절 음소|악센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분류:일본어족]][[분류:일본어의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