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하춘화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은관.jpg|width=170]] || || '''연도''' || '''2011년''' || || '''이름''' || '''하춘화''' || || '''분야''' || '''가수''' || ||<-2> '''[[틀:은관문화훈장|{{{#EDE4D3 은관문화훈장(2등급)}}}]]''' || ||<-2> [[파일:문화옥관.jpg|width=170]] || || '''연도''' || '''2001년''' || || '''이름''' || '''하춘화''' || || '''분야''' || '''가수''' || ||<-2> '''[[틀:옥관문화훈장|{{{#EDE4D3 옥관문화훈장(4등급)}}}]]'''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49A4 0%, #FFFFFF 30%, #FFFFFF 70%, #2449A4)" {{{+1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svg|width=60]]]] '''[[KBS 가요대축제|{{{#2449A4 가요대상}}}]] {{{#2449A4 대상}}}'''}}}[* 1980년까지는 TBC 방송가요대상이라는 이름의 시상식으로 진행됐고 언론통폐합 이후인 1981년부터 KBS 가요대상으로 이름을 바꿔 진행했다.]}}} || || [[남진]][br][[김상희(가수)|김상희]][br]'''마음이 고와야지[br]참사랑'''[br](1971년) || {{{#2449A4,#5B7FDA {{{+1 ▶}}}}}} || [[나훈아]][br]'''하춘화'''[br]고향역[br]'''{{{+1 물새 한 마리}}}[br](1972년)''' || {{{#2449A4,#5B7FDA {{{+1 ▶}}}}}} || [[남진]][br]하춘화[br]'''그대여 변치마오[br]영암 아리랑'''[br](1973년) || || [[나훈아]][br]하춘화[br]'''고향역[br]물새 한 마리'''[br](1972년) || {{{#2449A4,#5B7FDA {{{+1 ▶}}}}}} || [[남진]][br]'''하춘화'''[br]그대여 변치마오[br]'''{{{+1 영암 아리랑}}}[br](1973년)''' || {{{#2449A4,#5B7FDA {{{+1 ▶}}}}}} || [[김세환]][br]하춘화[br]'''옛 친구[br]난생 처음'''[br](1974년) || || [[남진]][br]하춘화[br]'''그대여 변치마오[br]영암 아이랑'''[br](1973년) || {{{#2449A4,#5B7FDA {{{+1 ▶}}}}}} || [[김세환]][br]'''하춘화'''[br]옛 친구[br]'''{{{+1 난생 처음}}}[br](1974년)''' || {{{#2449A4,#5B7FDA {{{+1 ▶}}}}}} || [[김세환]][br]이수미[br]'''사랑하는 마음[br]내 곁에 있어주'''[br](1975년) || || [[김세환]][br]이수미[br]'''사랑하는 마음[br]내 곁에 있어주'''[br](1975년) || {{{#2449A4,#5B7FDA {{{+1 ▶}}}}}} || 김훈[br]'''하춘화'''[br]나를 두고 아리랑[br]'''{{{+1 대관령 아리랑}}}[br](1976년)''' || {{{#2449A4,#5B7FDA {{{+1 ▶}}}}}} || 김훈[br][[혜은이]][br]'''모래탑[br]당신만을 사랑해'''[br](1977년)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4555 0%, #FFFFFF 30%, #FFFFFF 70%, #334555)" {{{+1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50]]]] '''[[MBC 가요대제전|{{{#334555 10대 가수 가요제}}}]] {{{#334555 최고 인기 가수상}}}'''}}}}}} || || [[남진]][br]'''그대여 변치마오'''[br](1973년) || {{{#334555,#A8BBCC {{{+1 ▶}}}}}} || '''하춘화[br]{{{+1 난생 처음}}}[br](1974년)''' || {{{#334555,#A8BBCC {{{+1 ▶}}}}}} || [[송창식]][br]'''왜 불러'''[br](1975년) || ---- }}} || ||<-2> '''{{{+1 하춘화}}}[br]河春花 | Ha Chun-hw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춘화.jpg|width=100%]]}}} || ||<|2> '''출생''' ||[[1955년]] [[6월 28일]] ([age(1955-06-28)]세)|| ||[[전라남도]] [[영암군]][* [[http://www.yasinmoon.com/news/articleView.html?idxno=16227|#]]. 영암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잠시 살다 [[광주광역시]](당시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유년기를 보내고 [[서울]]로 상경하였다.[[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508#09SS|#]]]||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래미안 리더스원]]|| || '''본관''' ||[[진주 하씨]]|| || '''신체''' ||162cm, 50kg, [[A형]]|| || '''데뷔''' ||[[1961년]] 노래 '효녀 심청 되오리다'|| || '''학력''' ||[[서울수송초등학교]] {{{-2 (졸업)}}}[br]정화여자중학교 {{{-2 (졸업)}}}[br][[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2 (졸업)}}}[br][[경남대학교|경남대학교 병설 산업전문대학]] {{{-2 ([[가정학]] / [[전문학사]])}}}[br][[한국방송통신대학교]] {{{-2 ([[가정학]] / [[학사]])}}}[br][[동국대학교 대학원|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 ([[공연예술학과|공연예술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970947|韓國歌謠의 原流와 變遷에 關한 硏究 : 新民謠와 트로트歌謠 比較를 中心으로]](한국가요의 원류와 변천에 관한 연구 : 신민요와 트로트가요 비교를 중심으로, 2000. 8).])}}}[br][[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 ([[철학|동양철학]][* [[예술철학]] 전공]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0646062|社會變動期의 大衆歌謠와 大衆情緖의 相關性 硏究 : 韓國 1970年代 産業化와 都市化 過程을 中心으로]](사회변동기의 대중가요와 대중정서의 상관성 연구 : 한국 197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중심으로, 2006).])}}} || || '''가족''' ||부모님[* 아버지 하종오 씨는 [[https://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221968|2019년 7월 8일 향년 101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4년 뒤 모친 김채임 여사도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3/0012239182|2023년 11월 28일 향년 101세로 세상을 떠났다.]]], 4자매 중 둘째, 배우자, [[무자녀세|자녀 없음]] || || '''종교''' ||[[가톨릭|천주교]] {{{-2 ([[세례명]]: [[세실리아]])}}}|| || '''사이트''' ||[[https://cafe.daum.net/hachoonhwa/|[[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TV-js8dv/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슈퍼스타가 된 트로트 영재''' >---- >[[Mnet 레전드 아티스트 100]]에서의 소개문구 [[대한민국]]의 [[가수]]. 1962년 2월, '''만 6세'''로 당대의 가수들도 발표하기 어려웠던 '''10인치 LP 스튜디오 앨범'''인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8447&cid=60487&categoryId=60494|당년 7세 소녀가수]] 앨범으로 데뷔해 2023년 현재 데뷔 '''61주년'''[* 본인은 앨범 녹음을 시작한 1961년을 정식 데뷔 년도로 친다.]을 맞이한 전설적인 대가수. 데뷔 60주년에도 '''만 67세'''밖에 되지 않았다. == 생애 == [[파일:external/ryc44.net/%ED%95%98%EC%B6%98%ED%99%94900%EC%95%84%EB%B9%A0%EB%8A%94%EB%A7%88%EB%8F%84%EB%A1%9C%EC%8A%A4B.jpg]] 하춘화의 재능을 알아본 하춘화의 아버지 하종오는 그녀를 서울 동아예술학원에 다니게 했고 거기서 8개월 동안 노래를 배우게 한 뒤 가수로 데뷔시켰다. 개요에서 소개되었듯 1962년 7세로 데뷔하고 [[1966년]] '아빠는 마도로스'라는 노래를 발표해 크게 성공하면서 하춘화의 인지도가 생기기 시작했다. [[1971년]] 발표한 '물새 한마리'가 히트하면서 꽤 많이 팔렸고 [[1971년]], [[고봉산(가수)|고봉산]]과 '[[잘했군 잘했어#s-2]]'를 듀엣으로 불러서 이걸로 TBC에서 4년 연속 여자가수상을 수상해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이미자]], [[패티김]], [[김상희(가수)|김상희]], [[문주란]]과 함께 대한민국 대표 정상급 여가수로 성장했다. 하춘화는 성격이 굉장히 [[대인배]]였는데, 보통 어린 나이에 이 정도로 성공하면 안하무인인 경우가 많았지만 하춘화는 전혀 그렇지 않았고 오히려 너무 못 생겼다는 이유로 연예계에서 소외받고 있던 당시 무명 [[코미디언]]이었던 [[이주일]]을 보더니 자신의 공연에 '''"이 사람이 아니면 내 공연의 사회자를 시킬 수가 없다. 꼭 이주일 이어야만 한다."'''라고 말하며 이주일을 자신과 같이 일하게 했다. 훗날 이주일은 이런 하춘화를 대단히 고마워하며 "길거리에 나앉을 수 밖에 없었던 내가 하춘화 덕분에 우리집을 샀다"고 말하며 하춘화를 평생의 은인으로 여기며 존경했다. 그 뒤 [[1977년]] [[이리시]](현 [[익산시]])에서 공연을 하는 도중, 인근에서의 [[이리역 폭발사고|대규모 폭발사고]]로 인해 극장이 무너져내려 하춘화는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 했지만 이 때 이주일이 하춘화를 구출하여 병원까지 업고 뛰어가서 무사할 수 있었다. 오히려 하춘화를 구한 이주일이 [[두개골]]이 함몰되는 전치 4개월의 중상을 입었다.[* 이런 인연으로 [[2002년]] 이주일 장례식 때 조시를 맡을 예정이었으나, 너무 가슴에 사무쳐서 못할 것 같다며 고사했다.] 이 때의 충격 탓인지 하춘화는 그로부터 2년 후인 [[1979년]]에 돌연 [[경남대학교]]에 입학한 뒤 학업 및 결혼 준비를 이유로 은퇴를 선언했다. 그러나 [[1981년]]에 다시 가수로 복귀해서 '우리 사랑 가슴으로', '연인의 부르스' 등의 노래를 히트시켰으며 [[1983년]]에는 자신이 아끼는 무대의상 150벌을 후배 가수들에게 나눠줬다. [[1985년]]에는 남북 예술인 교환공연으로 [[남한]]과 [[북한]]에서 각각 최고의 가수들을 상대방에게 파견하여 공연을 하기로 했는데 이 때 하춘화가 대한민국 최고의 가수 자격으로 [[평양]]에 가서 3박 4일 동안 공연을 했다. [[파일:external/cmsimg.mnet.com/437132.jpg]] [[1989년]]에는 '날 버린 남자'[* 개그맨 [[김영철(코미디언)|김영철]]이 눈을 휘둥그레 뜨면서 모창하던 그 노래이다.]가 국민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며 다시 각광받기 시작하고 [[1991년]]에 총공연 횟수 8,000회를 기록하였고 최다 개인 공연으로 기네스북에 등록되었다. 이후 하춘화는 [[2002년]]에 댄스 리듬의 트로트'연하의 남자'를 부르면서 자신만의 춤 실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로서 하춘화는 춤에도 뛰어난 재능이 있음을 증명했다. 학업을 위해 잠시 은퇴하기도 했으나 [[2007년]]에 다시 복귀하여 '나이야 가라' 등 신곡을 꾸준히 발표했다. 학업은 계속해서 병행하고 있는 모양이며 2019년 '마산항엔 비가 내린다'(2018년 발표)라는 노래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 === 기부 활동 === 하춘화는 평생동안 기부해왔다. [[2011년]] 기자의 질문에 ''''200억''' 정도 될까요?'라고 어림 잡아 이야기했는데 더 될 수도 있다고 한다. 2021년 KBS2 연중 라이브에서 '''연예계 최고의 기부 스타 1위'''로 선정되었다. [[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21/10/981434/|#]] 그녀는 기부하는 이유에 대해 "한 번도 (연예인으로서 수입을) 내 돈으로 생각한 적 없다. 이 돈은 나누기 위해 쓰라고 생긴 돈"이라며 “앞으로도 노래와 함께 봉사하는 삶을 살겠다”고 밝혔다. == 학업 == 이 와중에도 하춘화는 공연과 학업을 병행함에도 불구하고 학업에도 열중하여 [[1994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최고 정책과정을 수료한 후 [[1998년]]에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가정관리학과를 졸업하였다. [[2000년]]에는 [[동국대학교]]에서 공연예술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2006년]]에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면서, 박사학위를 소지한 최초의 대한민국 가수가 되었다. 다만 학위 경력상 제대로 된 일관성이 없다는 점은 비판받는다. 특히 동국대 석사 당시에는 대놓고 학교에서 학위 장사한다며 법대 학생들이 들고일어났었는데, 이 때문에 법학사 학위는 무산되고 대신 예대로 다시 들어간 것이다. == 대표곡 == 여기 적힌 목록도 전부는 아니다. * 효녀 심청 되오리다 (1962) * 아빠는 마도로스 (1966) * 물새 한마리 (1971) * [[잘했군 잘했어#s-2]] (Duet. [[고봉산(가수)|고봉산]]) (1972) * 영암 아리랑 (1972) * 강원도 아리랑 (1972) * 하동포구 아가씨 (1972) * 연포 아가씨 (1973) * 쌓인 정 (1973) * 알고 계세요 (1973) * 난생 처음 (1974) • 숙녀 초년생 (1974) [동명의 영화주제곡] * 약속시간 (1975) * 우리 사이 (1975) * 대관령 아리랑 (1976) * 두줄기 가로수 (1977) * 당신이 올때까지 (1978) * 사랑했는데 (1981) * 그 누가 당신을 (1982) * 우리사랑 가슴으로 (1983) * 연인의 부르스 (1984) * 평양길 육백리 (1985) * 지금은 타인 (1987) * 타버린 마음 (1988) * 가을 바닷가 (1988) * 날 버린 남자 (1989) * 당신이 미워라 (1990) * 사랑은 길어요 (1991) * 밤이 무서워요 (1991) * 무죄 (1993) * 갈테면 가세요 (1995) * 항구의 여자 (1998) * 인생 (1998) • 따로 따로 사랑 (2000) [40주년 기념음반 수록곡] * 연하의 남자 (2002) * 남의 속도 모르면서 (2003) * 당신쯤이야 (2004) * 왜 이제 왔어 (2005) * 사랑은 늘 그래 (2007) * 하여간 (2008) * 휘뚜루 마뚜루 (Duet. 이호섭) (2011) * 나이야 가라 (2014) * 마산항엔 비가 내린다 (2018) == 기타 == * 최연소로 가수 데뷔와 앨범 발매를 해서 [[기네스북]]에 오른 적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얼마 안 있어서 [[마이클 잭슨]]이 5살의 나이로 데뷔함으로서 그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고... 이렇다 보니 데뷔 60년이 넘었다는 말을 들으면 “그럼 80대세요?” 라고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 [[이리역 폭발사고]] 당시 하춘화를 구했던 [[이주일]]은 오히려 무명일 수 밖에 없었던 자신을 거둬들여 고정적으로 일하게 해줬다면서 살아 생전 하춘화를 마음 속 깊이 존경했다. 하춘화 역시 이주일을 평생 생명의 은인으로 여겼으며[* 이후 공연 관계자들에게 자신이 공연하는 쇼의 사회자는 이주일이 아니면 안 된다고 공언했다고 한다.] 2002년 이주일이 사망했을 때도 당연히 빈소를 찾았다. 다만 이주일의 조사는 그를 생각하면 너무 사무친다는 이유로 고사했다고 한다. * 학사 3개, 석사 1개, 박사 1개로 학위를 5개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가수 중에선 가장 갯수가 많다. 방송통신대학교 시상식에서 시상소감으로 말하길 자매가 넷인데, 다른 자매와 달리 혼자 박사학위 없이 가수로 생활하다보니 학위를 따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 나이에 비해 엄청 일찍 데뷔했기 때문에 본인보다 연상인 웬만한 거물급 가수들인 [[남진]](1965 서울 후레이보이), [[나훈아]](1968 내사랑), [[조용필]](1972 꿈을꾸리), [[양희은]](1971 [[아침 이슬]]), [[혜은이]](1975 당신은 모르실거야), [[현철]](1969 무정한 그대), [[송대관]](1967 인정많은 아저씨), [[태진아]](1973 내 마음 급행 열차), [[최백호]](1976 내 마음 갈 곳을 잃어) 등보다 데뷔로는 '''선배'''다. 그녀보다 일찍 데뷔한 대표 가수들은 [[패티김]](1961 썸머타임, 1년 위)과 [[이미자]](1958 행여나 오시려나, 4년 위), [[김용만(가수)|김용만]](1953 남원의 애수, 9년 위), [[명국환]](1956 백마야 우지마라, 6년 위) 등이 있고, 데뷔 동기로 [[현미(가수)|현미]](1962 밤안개)가 있다. 1살 연하이자 동향 후배인 [[강진(가수)|강진]]과는 데뷔 연차가 무려 25년 차다! * [[전국노래자랑]]에서 첫번째 초대가수로 자주 출연한다. 1993년 군산 편과 2002년 서귀포 편은 각각 두번째, 세번째 초대가수로 나왔다. 1992년과 1993년에는 송해가 하춘화를 초대가수로 소개하면 "하춘화 양"이라고 하였지만[* 물론 1992년과 1993년 때는 양 이라고 할 때도 있고 씨 라고 할 때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93년부터 "하춘화 씨"로 부르고 있으며 현재로써는 2019년에 출연한 이후, 현재까지 초대가수로 나오지 않고 있다. * 위에 거론된 이미자와 패티김과 관계가 특이한데, 이미자와 패티김이 선배님이라 하지 말고 아줌마라고 불러달라고 한다. 이미자하고는 14살, 패티김하고는 17살로 맏딸과 늦둥이 딸 나이 차이나 호칭을 아줌마라고 부르고 있다. 사유는 그게 편해서라고... * 2016년 1월 8일 [[SBS 나이트라인]] 초대석에 출연하여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350429|인터뷰했다]]. * 개그맨 [[김영철(코미디언)|김영철]]이 하춘화를 대상으로 한 성대모사로 유명해진 바 있다. 물론 처음에는 싫어했지만 하도 오랫동안 하다 보니 하춘화 본인도 재미를 들렸는지 아예 '''하춘화를 따라하는 김영철을 따라하는 하춘화'''를 기믹으로 내세우기도 김영철과 예능 프로그램에도 자주 같이 출연했고, 광고도 함께 찍었다. * 1992년 KBS 1TV의 쇼 주택복권 방송에서 준비하시고 쏘세요에 출연했다. * [[아침마당]] 수요일 코너 <도전! 꿈의 무대>에 초대가수로 출연하고 있다. * 나이가 든 동시대 연예인들과 달리 젊은 층들의 음악도 듣고 춤도 추는 듯 하다. 한때 예능에서 [[소녀시대]]의 춤을 추기도 했다. --본인 나이도 젊다.-- * [[이자벨 아자니]]가 태어난 바로 다음날 태어났다. 당연히 나이는 동갑이다. * 하춘화의 동창에 의하면 하춘화가 처음 전학을 왔을 당시 노래를 불러달라는 선생님의 요청에 "마이크가 없어서 노래 안 해요." 라며 거절했었다고 한다. * 2019년 6월 5일 [[채널A]] 교양프로그램 [[행복한 아침]]에 게스트로 출연하여 근황을 전했다. * [[대한외국인]] 100회 특집에서 2명을 이기며 맹활약을 하였다. * 2021년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 * 하춘화는 공연 중 못으로 쏜 새총을 맞은 적이 있다고 한다. 무대 중에 이마에 돌을 맞은 적도 있으며 화재 사건도 겪은적이 있다고 회상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5264374|#]] [[분류:한국 여가수]][[분류:아동 가수]][[분류:트로트 가수]][[분류:1955년 출생]][[분류:진주 하씨]][[분류:영암군 출신 인물]][[분류:196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KBS 가요대상 수상자]][[분류:MBC 가요대상 수상자]][[분류:은관문화훈장]][[분류: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신]][[분류:동국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2020 트롯 어워즈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