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yperion_(1930-1960).jpg|width=100%]]}}} || || 이름 || Hyperion || || 출생 || [[1930년]] [[4월 18일]] || || 죽음 || [[1960년]] [[12월 9일]] (30세) || || 성별 || 수컷 || || 털색 || 밤색 (Chestnut) || || 아비 || 게인즈버러 (Gainsborough) || || 어미 || 셀리니 (Selene) || || 외조부 || 초서 (Chaucer) || || 생산자 ||<|2> 17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탠리 || || 마주 || || 조교사 || 조지 램턴 (뉴마켓) || || 성적 || 13전 9승 (9-1-2-1) || || 총상금 || 29,509 파운드 || || 주요 우승 || 뉴 스테이크스 (1932)[br]듀허스트 스테이크스 (1932)[br]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1933)[br]체스터 베이즈(1933)[br][[더비 스테이크스]] (1933)[br]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1933) || || 주요 수상 || 영국 & 아일랜드 리딩 사이어 (1940~1942, 1945~1946, 1954)[br]영국 & 아일랜드 리딩 브루드메어 사이어 (1948, 1957, 1967~1968) || || 주요 자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Godiva (1937)[br]Owen Tudor (1938)[br]Sun Castle (1938)[br]Sun Chariot (1939)[br]Pensive (1941)[br]Sun Stream (1942)[br]Gulf Stream (1943)[br]Hypericum (1943)[br]Aureole (195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이페리온은 영국 땅을 떠나지 않는다.''' >-제17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탠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경주마 하이페리온을 미국으로 피신시키라는 주변의 요구에 맞서 영국의 경주마. 1933년의 더비를 포함한 영국 2관마이자 종마로서도 훌륭한 실적을 내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게인즈버러'''[br]{{{-2 Gainsborough[br]1915}}}||<|2>바야르도[br]{{{-2 Bayardo[br]1906}}}||베이 로널드[br]{{{-2 Bay Ronald 1893}}}|| ||갈리시아[br]{{{-2 Galicia 1898}}}|| ||<|2>로즈드롭[br]{{{-2 Rosedrop[br]1907}}}||세인트 프러스킨[br]{{{-2 St Frusquin 1893}}}|| ||로절린[br]{{{-2 Rosaline 1901}}}|| ||<|4>셀리니[br]{{{-2 Selene[br]1919}}} ||<|2>초서[br]{{{-2 Chaucer[br]1900}}}||'''[[세인트 사이먼]]'''[br]{{{-2 St. Simon 1881}}}|| ||캔터베리 필그림[br]{{{-2 Canterbury Pilgrim 1893}}}|| ||<|2>세레니시마[br]{{{-2 Serenissima[br]1913}}}||미노루[br]{{{-2 Minoru 1906}}}|| ||곤돌레트[br]{{{-2 Gondolette 1902}}}|| ||<-3>* [[세인트 사이먼]](St. Simon) '''4×3''' 18.75%[br]* 갤러핀(Galopin) 4×5×4 15.625%[br]* 필그리미지(Pilgrimage) 4x5 9.375%|| || 주요 반형제 |||| 시클(父 팔라리스)^^(1924)^^[br]패러먼드(父 팔라리스)^^(1925)^^[br]나이트 시프트(父 트림던)^^(1936)^^ || 부마 게인즈버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트리플 크라운을 이룬 말이다. 모마 셀레네는 체고 154cm의 작은 말이지만 현역 22전 16승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번식암말이 되어서는 명종마들을 다수 배출했다. 반형제 중 시클(Sickle)은 1926년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우승마로, 1936, 1938년 북미 리딩사이어로 [[네이티브 댄서]]의 조부마다. 또다른 반형제 패러먼드(Pharamond)는 1927년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 우승마로, 메노(Menow)→ 톰 풀(Tom Fool)→ 벅패서(Buckpasser)계로 이어지는 계보의 중시조다. 이외에도 1939년 요크셔 오크스를 우승한 나이트 시프트(Night Shift), 1958년 영국, 아일랜드 리딩 사이어 모스버러(Mossborough)의 어미가 되는 올 문샤인(All Moonshine, 1941년생, 父 Bobsliegh)도 반형제다. == 종마 생활 == 하이페리온계로 불리는 혈통은 영국 평지경마에서는 1940 ~ 1950년대, 일본에서는 1970년대의 인기 혈통이었다. 하이페리온의 부마 게인즈버러는 1918년 13번째 영국 트리플 크라운[* 다만 세계대전중 개최되면서 세 경기 모두 뉴마켓 경마장에서 치러졌기 때문에 전통적인 트리플 크라운에서 제외하기도 한다.]이었다. 인기가 없었다면 그게 이상할 지경. 이 계통의 유명한 말로는 1950년대 엘리자베스 2세가 조지 6세에게 물려받은 오레올(Aureole), 1960~1964년 5년 연속 미국 연도 대표마였던 켈소(Kelso), 1966년 14번째 아르헨티나 트리플 크라운이었던 포를리(Forli), 그리고 일본 경마에선 70년대의 아이돌 호스 [[하이세이코]], 70년대 후반의 전설의 3강 TTG의 G, [[그린 그래스]], 98세대에서 황금 세대로 지칭되곤 하는 [[세이운 스카이]]가 있다. 그러나 점차 그럴듯한 후계마를 내지못해 쇠락해 갔으며 90년대 일본 경마에서는 [[노던 댄서]]계에게 밀려 이미 도태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본 내에서 동 계통으로 활약한 최후의 경주마가 세이운 스카이였기 때문에 혈통상으론 화석이나 다름없는 셈이었다. 반대로 마장마술, 장애물 비월을 비롯한 승마에서는 현재까지 주요한 혈통 및 계통으로 군림 중이다. 하이페리온을 포함한 베이 로널드(Bay ronald)계[* 베이 로널드계는 크게 바야르도와 다크 로널드로 갈리는데 하이페리온은 바야르도-게인즈버러계에 속하며, 이 게인즈버러를 조상으로 둔 말 중 하나가 [[딕터스]]다.]에서 전문적인 승마에서 활약했던 서러브레드들을 배출해왔었고 이 사실에 주목했던 번식업자들이 승마에 쓰이는 유럽산 승용마 품종의 말들을 개량할때 주로 베이 로널드계와 배합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재밌게도 바야르도-하이페리온계의 올댄부르크 품종인 Ludwig der Sonnenkonig(루이 태양왕)을 2019년 [[JRA]]에서 [[2020 도쿄 올림픽]]을 위해 임대해왔다. 다른 베이 로널드계인 다크 로널드계는 좀 더 일찍 일본에서 명맥이 끊겼다. 다크 로널드계는 다시 영국에서 주로 활약한 선인로우(Son In Law)계와 독일에서 주로 활약한 헤롤드(Herold)계로 양분되는데 [[몬테 프린스]], [[뱀부 메모리]], [[아이네스 후진]]은 선인로우~에르바제로 이어지는 다크 로널드계에 속하나 이들의 활약연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후로는 그럴듯한 경주마를 내지못해 실질적인 명맥이 끊겼다. 반면 헤롤드~알키미스트계는 독일에서 아직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데 이들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은퇴한 [[에이신 플래시]]의 모부가 이 알키미스트계다.[* 에이신 플래시의 모부인 플라티니의 부마 주루무(Surumu)는 1977년 도이체스 더비 우승마인 동시에 직계로 도이체스 더비 3대 제패 기록을 가진 독일 리딩사이어로 그 손자가 1995년 독일 연도대표마이자 [[재팬 컵]] 우승마인 란도(Lando)다.] == 경주 성적 == [include(틀:더비 스테이크스)] [include(틀: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include(틀: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분류:경주마/영국 생산]][[분류:경주마/영국 조교]][[분류:종마/영국]][[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30년 출생]][[분류:1960년 죽은 동물]][[분류:하이페리온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세이운 스카이, version=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