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하이세이코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JRA 현창마)] [include(틀:JRA 특별상)]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include(틀: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iseiko.png|width=100%]]}}} || ||<-2> 이름 || ハイセイコー[br]Haiseiko || ||<-2> 출생 || [[1970년]] [[3월 6일]] || ||<-2> 죽음 || [[2000년]] [[5월 4일]] (30세)[* 당시 기준으로 3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차이나 록(China Rock) || ||<-2> 어미 || 하이유(ハイユウ) || ||<-2> 외조부 || 카림(Karim) || ||<-2> 생산자 || 타케다 목장 || ||<-2> 마주 || ㈜오유[br]→호스맨 클럽 || ||<-2> 조교사 || 이토 마사미 (오이)[br]→스즈키 카츠타로 (도쿄) || ||<-2> 성적 || 22전 13승 (13-4-2-3)[br]6전 6승[*지방][br]16전 7승[*중앙] || ||<-2> 총상금 || 2억 1956만 6600엔 || ||<|3> 주요[br]우승 || 팔대[br]경주 || [[사츠키상]](1973) || || 중앙[br]중상 || [[야요이상]](1973)[br][[스프링 스테이크스]](1973)[br][[NHK배(경마)|NHK배]](1973)[br][[나카야마 기념]](1974)[br][[타카라즈카 기념]](1974)[br][[타카마츠노미야 기념|타카마츠노미야배]](1974) || || 지방[br]중상 || 세이운상(1972) || ||<-2> 주요 수상 || 1973년 [[JRA상|유슌상]] 대중상 || ||<-2> 주요 자마 || [[카츠라노 하이세이코]](1976)[br][[샌드 피어리스]](1986)[br][[하쿠 타이세이]](1987)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000a000b7f/|[[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0036106/|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하이세이코.jpg|width=100%]]|| || '''MY FRIENDㆍMY THOROUGHBRED''' || || '''{{{#white 히어로 열전 No.1}}}''' || 일본의 경주마. 1차 경마붐을 이끈 공로로 JRA [[현창마]]에 선정되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6>차이나 록[br]{{{-2 China Rock[br]195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3>라커펠라[br]{{{-2 Rockefella[br]194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하이페리온(말)|하이페리온]][br]{{{-2 Hyperion}}}'''|| ||락펄[br]{{{-2 Rockfel}}}|| ||<|3>메이 웡[br]{{{-2 May Wong[br]1934}}}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러스텀 파샤[br]{{{-2 Rustom Pasha}}}|| ||웨잔[br]{{{-2 Wezzan}}}|| ||<|7>하이유[br]{{{-2 ハイユウ[br]1961}}}|| ||<|3>카림[br]{{{-2 Karim[br]1953}}}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네아르코]][br]{{{-2 Nearco}}}'''|| ||스카이라킹[br]{{{-2 Skylarking}}}|| ||<|3>댈모건[br]{{{-2 Dalmogan[br]1950}}}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보 선[br]{{{-2 Beau Son}}}|| ||레터선트[br]{{{-2 Reticent}}}|| ||<-3>* 선인로(Son-in-Law) 4×5 9.375% || 아비 차이나 록은 이전에 [[타케시바 오]], 메지로 타이요, [[아카네 텐류]] 등의 팔대경주 우승마를 배출하였으며, 하이세이코가 중앙으로 이적한 1973년에는 리딩 사이어가 되었다. 모마 하이유는 남관동 지방 경마에서 16승에 레코드를 3번 세운 실적을 낸 경주마다. 외조모 댈모건은 전후 경주마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호주에서 수입해온 이른바 호사라(濠サラ 호주 + 서러브레드) 출신이다.[* 호사라들은 주로 남관동 지방 경마에서 뛰었다.] 댈모건의 대표 자마로 1965년 초대 [[CBC상]] 우승마 쇼게츠(ショウゲツ)가 있다. == 생애 == === 데뷔 전 === 하이세이코는 태어났을 때부터 덩치가 크고 다리가 튼튼하여 목장의 망아지들과 달릴 때 항상 선두에 섰었다. 당시 목장장인 타케다 타카오는 주변에 '더비를 이길 수 있을진 모르지만 출주는 할 수 있을 정도의 말'이라고 자랑하고 다녔다고 한다. 이후 하이세이코는 어미말 하이유의 마주인 아오노보를 통해서 오오이 경마장 소속으로 옮겨졌다. 이때 이미 다른 망아지들과는 수준이 다른 몸집이 만들어져서 중앙경마의 조교사들에게 이적을 제안받기도 했다.[* 이때문에 일각에선 애초에 중앙에서 데뷔할 수 있었는데 인기를 얻기 위해 일부러 지방에서 데뷔한 뒤 중앙으로 이적했다는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하는데, 당시 마주 입장에선 지방 마주 자격 밖에 없었기 때문에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 1972년 === 원래는 6월에 데뷔하려고 했으나, 하이세이코의 조교사가 다른 말를 무시하는 발언을 하자 다른 조교사들이 하이세이코와의 대결을 거부하여 무산됐다. 다행히 다음달에 미출주전이 다시 잡혔고, 여기서 하이세이코가 8마신 차이로 승리하며 코스 레코드를 세웠다. 이후 2착마와 최소 7마신차라는 엄청난 성적을 거두며 연승을 거듭하였고, 연말에는 중상인 세이운상마저 제패하여[* 이때의 레이스 레코드(1분 39초 2)가 아직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6전 전승으로 시즌을 마쳤다. 이때부터 하이세이코는 언론에도 주목받기 시작했고, 중앙으로 이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 1973년 === 결국 이듬해에 마주가 바뀌며 중앙경마로 이적했고, 이때 언론에서도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중앙에서도 기대에 부응하여 야요이상과 스프링 스테이크스를 연속해서 제패하고,[* 다만 이때 잔디에 적응하지 못했는지 기수의 지시에 잘 따르지 않았고, 일각에선 중앙 이적했을 때 떠들썩했을 정도의 말이 맞는지 의구심을가지기도 했다.] 결국 사츠키상까지 이기자 하이세이코의 활약이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져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당시에는 1차 [[오일쇼크]]의 여파로 경제적으로 힘들어진 상경민들이 지방에서 올라온 말이 중앙에서 활약하는 것을 보고 자신들의 처지를 투영하여 응원하게 된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이어지는 NHK배에선 하이세이코를 보기 위해 17만명의 관객들이 모였고,[* 이는 [[아이네스 후진]]이 우승한 1990년 더비에 19만명이 모이며 갱신되었다.] 여기서도 우승하며 중앙 이적 후 4연승을 기록한다.[* 이 기록은 [[오구리 캡]]이 중앙 이적 후 6연승을 기록하며 갱신한다.] 하이세이코의 연승 행진은 일본 더비에서 3착하며 멈추게 되었으나 인기는 오히려 높아졌다. 언론에서 하이세이코를 [[敗]](하이)세이코라고 비난하자 이에 대한 반발심리가 생겼고, 하이세이코를 동정하는 여론이 생겼기 때문이다. 한편 더비 우승마인 [[타케 호프]]가 마지막에 하이세이코의 앞을 비집고 들어왔기 때문에 타케 호프를 실격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잠깐 나왔지만, 그저 아쉬워서 나온 소리였을 뿐 별다른 근거는 나오지 않아 결국 결과는 바뀌지 않았다. 하반기에는 심기일전하여 [[킷카상]]에 출주하였지만 타케 호프와의 접전 끝에 아깝게 2착했다. 타케 호프의 조교사는 더비에서 하이세이코에게 운좋게 이겼다는 말에 반발하여 킷카상에서 다시 한번 하이세이코를 꺾고 다시는 운으로 이겼다는 말이 나오지 않게 하겠다 생각하고 있었으며, 결국 킷카상에서 승리하면서 하이세이코와 타케 호프 간의 라이벌 구도가 확립되었다. 연말의 아리마 기념에 역대 최고의 투표율인 90.8%로 출전했지만 아쉽게도 타케 호프는 출전을 회피하여 라이벌전은 성립되지 않았다. 경기중엔 또다른 유력한 우승후보인 [[타니노 치카라]]와 서로 마크하며 주행했지만, 거기에 열중한 나머지 3코너에서 앞서나간 스트롱 에이트를 따라잡지 못하고 3착으로 침몰하고 말았다. 그해 연도대표마는 더비와 킷카상을 제패한 타케 호프에게 돌아갔다. 하지만 인기가 압도적인 하이세이코가 아무런 상도 못받는 것은 이상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결국 대중상이라는 명의로 특별상을 신설하여 하이세이코에게 수여했다. === 1974년 === 첫 경기인 아메리카 자키 클럽 컵에서는 너무 무리했는지 9착하고 경기 후에는 코피가 조금 나오기도 했다.[* 말은 코로만 숨을 쉴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양이라도 코피가 나면 위험할 수 있다.] 이어지는 나카야마 기념에서는 [[타케 호프]]를 대차로 꺾기도 했다. 천황상 봄에선 기수를 좀처럼 따르지 않다가 6착으로 침몰하고 미국 원정 계획은 취소되었다. 이때쯤부터 하이세이코는 괴물이 아닌 괴물군이라는 다소 귀여운 별명으로 불려졌다. 패배가 점점 쌓여가자 하이세이코의 능력에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아졌고, 결국 이어지는 타카라즈카 기념에선 처음으로 1번 인기를 놓치고 만다. 하지만 본 경기에서 5마신차로 압승하면서 그저 인기만 좋은 말이 아니라는 걸 다시금 증명했다. 다만 조교사는 라이벌인 타케 호프가 굴건염으로 출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상당히 아쉬워했다고 한다. 같은 달 타카마츠노미야배에서도 우승하면서 당시 중앙경마 상금 최고기록을 갈아치웠다. 레이스 이후 하이세이코는 그 해를 마지막으로 은퇴를 발표했다. 하지만 여름에 컨디션 조절에 실패하면서 교토 대상전에서 4착하고,[* 이때 중앙경마 최초로 상금 2억엔을 돌파했다.] 다음 경기에선 2착했지만 또다시 코피가 나서 결국 천황상 가을을 회피하고 말았다. 은퇴 경기인 아리마 기념에선 당연하다는 듯이 1번 인기로 출전했고, 우승은 [[타니노 치카라]]에게 내줬지만 마지막까지 [[타케 호프]]와 경합하면서 2착을 거둬 관객들의 환호를 받았다. 게다가 중계 카메라 마저 우승한 타니노 치카라가 아닌 하이세이코를 비췄다. [youtube(TNzZcCTc9Hc)] 아리마 기념이 끝난 후 TV에선 기수가 부른 さらばハイセイコー(안녕히 하이세이코)라는 노래가 흘러나왔다. 이 노래는 큰 화제가 되어 앨범이 50만장 이상 팔렸으며 오리콘 차트 4위까지 기록했다. === 은퇴 후 === 은퇴 후에는 메이와 목장에서 종마생활을 했다. 여기서도 인기는 시들지 않고 하이세이코를 찾아오는 사람들을 위한 관광버스까지 생길 정도로 많은 팬들이 찾아왔다. 이를 기점으로 은퇴한 경주마를 보러 목장을 찾는 경마 팬들이 늘었다고 한다. 종마 성적도 준수하여 총 19마리의 중상 우승마를 배출하였다. 이중 [[카츠라노 하이세이코]]는 하이세이코가 우승하지 못했던 일본 더비를 우승하여 화제를 모았다. 1984년엔 [[현창마]] 원년멤버로 선정되었는데, 비록 성적은 다른 현창마들에 비해 떨어질지라도 경마의 대중화에 큰 공헌을 한 것이 인정된 것이다. 1997년엔 종마도 은퇴했고, 2000년에 30살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죽었다. 이후 '안녕히 하이세이코'가 추모판 CD로 재발매되었으며, 나카야마 경마장과 오오이 경마장에는 하이세이코의 동상이 건립되었다. 2001년부터 하이세이코가 오오이에서 마지막으로 이겼던 세이운상이 하이세이코 기념으로 개명되었다. == 인기 == 하이세이코의 인기는 사회현상이라고 할만큼 엄청난 것이여서 [[오구리 캡]]이 등장하기 전까진 비교대상조차 없었다. 지방에서 올라온 말이 중앙에서도 활약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는 스토리에서 오구리 캡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차이점이라면 오구리 캡은 클래식에는 참가하지 못했으나 중앙 이적 후에 [[타마모 크로스]]나 [[슈퍼 크릭]], [[이나리 원]] 등의 라이벌들과 경쟁하면서 점점 많은 인기를 얻은 반면 하이세이코의 경우엔 클래식에 도전해 사츠키상을 따냈으며 중앙에 이적했을 때부터 큰 인기를 끌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해설가 요시카와 아키히코는 '오구리 캡의 중앙 이적 당시 언론 보도는 하이세이코에 비하면 도쿄만에서 망둥이 3마리가 잡혔다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당시 언론에서는 하이세이코 붐에 대해 지방 출신의 말이 중앙의 엘리트 말들에게 도전하는 것을 보고 지방에서 상경한 사람들이 감정을 이입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경마 평론가 야마노 코이치는 하이세이코는 원래부터 혈통이 좋은 타고난 엘리트였다면서 하이세이코에 지방 상경자의 출세 스토리를 덧씌우는 것은 언론에서 조장한 허구라고 지적했다. 아사히 신문에선 비슷한 시기에 취임한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가 지방 출신임을 들며 당시 일본 사회에 지방 출신자들도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신화가 형성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평가가 나오는 것은 하이세이코의 인기가 단순히 강하기만 해서가 아니었다는 것에서 기인하는데, 하이세이코가 더비에서 처음으로 패배하자 인기가 떨어지기는 커녕 오히려 팬들에게 친근함을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어 더욱 인기가 많아진 것이다. 반면 라이벌인 타케 호프는 더비에서 레코드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스포트라이트를 하이세이코에게 빼앗겼고, 이후로도 하이세이코를 여러번 꺾었지만 여전히 인기는 하이세이코 밑이라 기수가 '대체 왜 저 말만 인기가 많은 것이냐'며 분통을 터트리기도 했다. 이전에는 경마는 아저씨들이 도박하는 어둡고 무서운 곳이라는 인식이 많았지만, 하이세이코의 등장으로 경마장에 여성과 어린이 관객들이 늘기 시작했다. 이들은 경마를 도박이나 스포츠로 보기보단 동물원에 판다 한마리 보러 가는 느낌이었다고 한다. 또한 [[주간 소년 선데이]]나 [[주간 소년 매거진]] 같은 소년잡지 표지에 하이세이코가 등장하기도 했으며, 어떤 부모는 아이에게 하이세이코처럼 열심히 하라고 혼냈던 적도 있었다고 한다. 팬들은 하이세이코에게 수많은 팬레터를 보냈고, 결국 주소를 그냥 '도쿄도 하이세이코님'이라고 적어도 편지가 제대로 도착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목장의 책임자는 처음에는 팬레터에 일일이 답장을 해줬지만,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많이 오자 결국 답장하는 것을 포기하고 도장을 찍어서 되돌려 보내는 것으로 답례했다고 한다. 이러한 인기 때문이었을까, 일본 JRA에서 시대를 풍미한 명마들의 열전을 싣는 'JRA 히어로 열전'에 가장 먼저 이름을 올린 건 하이세이코였다. 19전 19승, 연대율 100%를 자랑했던 '최강의 전사' [[신잔]]도, 태생적 한계로 제 능력을 전부 발휘하지 못한 채 떠났지만, 그 짧은 순간 동안 전설이 되었던 '슈퍼카' [[마루젠스키]]도, 쇼와 시절 경마 전성기를 이끈 최고의 3강 [[TTG]]도 아닌 하이세이코가 히어로 열전 No.1의 자리를 차지한 건 많은 의미가 담겨있을 것이다. == 여담 ==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필리핀에서 29년 동안이나 게릴라 생활을 한 [[오노다 히로]]가 일본에 귀국했을 때 인터뷰에서 하이세이코는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 1957년생 경주마 온슬로트는 하이세이코와 같은 미나미간토 공영경마 오오이 경마장 소속으로 데뷔 해 1961년 가을부터 중앙으로 진출, 1962년 [[천황상 봄]], [[아리마 기념]] 우승으로 1962년 연도대표마에 선정된 하이세이코의 선배 격 경주마였다. * 하이세이코의 자마 [[샌드 피어리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60568|#]]는 1989년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꼴찌인 20번 인기로 출주해 우승을 했는데, 이 때 기록한 단승 배당률 430.6배는 일본 경마 최고 기록이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선 본인은 등장하지 않지만, NPC 우마무스메인 [[라이트 헬로]]가 원본마의 손녀인 '문라이트 로즈'로 추측되고 있어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그녀의 할머니가 나카야마와 깊은 인연이 있고 초대 그랜드 라이브의 맴버였으며 라이트 헬로 본인도 트레센 학원의 학생이었으나 졸업하기 전까지 단 한 번도 라이브에 선 적이 없다고 하는데 원본마가 중상 경기인 나카야마 기념에서 1착을 했고 경마 붐을 이끈 초대 아이돌 호스임을 반영한 설정. 또한 원본마 문라이트 로즈 또한 하이세이코의 손녀라는 기대와 달리 19전 0승이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은퇴했었다. * 하이세이코의 모마 하이유의 경주마 현역 시절 담당 구무원은 이 후 중앙에서 [[타케 호프]]의 구무원이 되었다. * 하이세이코의 무덤은 빅 레드팜 메이와의 옆에 자리한 메이와 목장 한 켠에 있으며 묘소 방문시 목장에 직접 방문해서 이야기하면 참배가 가능하다고 한다. 다만 묘소 이외의 방목지 구경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72년 {{{-1 (3세, 현 2세, 오이)}}} || || 7.12 || [[오이 경마장|오이]] || 미출주 || || 더트 1000m || - || 1 || '''{{{#red 1착}}}''' || 츠치노 유타카 || (집시 댄서) || || 7.26 || 오이 || 53만 이상 || || 더트 1000m || - || 1 || '''{{{#red 1착}}}''' ||<|3> 후쿠나가 후미오 || (셋테 베로나) || || 9.20 || 오이 || 아키카제 특별 || || 더트 1200m || - || 1 || '''{{{#red 1착}}}''' || (토사 엔드) || || 10.9 || 오이 || 골드 주니어 || || 더트 1400m || - || 1 || '''{{{#red 1착}}}''' || (골드 이글) || || 11.11 || 오이 || 시라기쿠 특별 || || 더트 1400m || - || 1 || '''{{{#red 1착}}}''' ||<|2> 타카하시 사부로 || (카야 에이코) || || 11.27 || 오이 || 세이운상 || || 더트 1600m || - || 1 || '''{{{#red 1착}}}''' || (골든 타테야마) || ||<-10> 1973년 {{{-1 (4세, 현 3세, JRA)}}} || || 3.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야요이상]] || 중상 || 잔디 1800m || 1.5 || 1 || '''{{{#red 1착}}}''' ||<|8> 마스자와 스에오 || (뉴 산트) || || 3.25 || 나카야마 || [[스프링 스테이크스]] || 중상 || 잔디 1800m || 1.7 || 1 || '''{{{#red 1착}}}''' || (쿠리 온워드) || || 4.15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팔대경주 || 잔디 2000m || 2.7 || 1 || '''{{{#red 1착}}}''' || (카네 이코마) || || 5.6 || [[도쿄 경마장|도쿄]] || [[NHK배(경마)|NHK배]] || 중상 || 잔디 2000m || 1.2 || 1 || '''{{{#red 1착}}}''' || (카네 이코마) || || 5.27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팔대경주 || 잔디 2400m || 1.5 || 1 || 3착 || [[타케 호프]] || || 10.21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신문배]] || 중상 || 잔디 2000m || 2.1 || 1 || 2착 || 토요 치카라 || || 11.11 || 교토 || [[킷카상]] || 팔대경주 || 잔디 3000m || 4.2 || 1 || 2착 || 타케 호프 || || 12.16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팔대경주 || 잔디 2500m || 3.7 || 1 || 3착 || 스트롱 에이트 || ||<-10> 1974년 {{{-1 (5세, 현 4세, JRA)}}} || || 1.20 || 도쿄 ||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 중상 || 잔디 2400m || 3.1 || 1 || 9착 ||<|8> 마스자와 스에오 || 타케 호프 || || 3.10 || 나카야마 || [[나카야마 기념]] || 중상 || 잔디 1800m || 2.8 || 1 || '''{{{#red 1착}}}''' || (토요 아사히) || || 5.5 || 교토 || [[천황상#s-2|천황상(봄)]] || 팔대경주 || 잔디 3200m || 2.1 || 1 || 6착 || 타케 호프 || || 6.2 || 교토 || [[타카라즈카 기념]] || 중상 || 잔디 2200m || 3.5 || 2 || '''{{{#red 1착}}}''' || (쿠리 온워드) || || 6.23 || [[주쿄 경마장|주쿄]]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타카마츠노미야배]] || 중상 || 잔디 2000m || 1.6 || 1 || '''{{{#red 1착}}}''' || (아이티 에이탄) || || 10.13 || 교토 || [[교토대상전]] || 중상 || 잔디 2400m || 4.6 || 2 || 4착 || [[타니노 치카라]] || || 11.9 || 도쿄 || 4세 이상 || 오픈 || 잔디 1800m || 2.0 || 1 || 2착 || 야마부키 오 || || 12.15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팔대경주 || 잔디 2500m || 5.1 || 3 || 2착 || 타니노 치카라 ||}}} [include(틀:사츠키상,grade=팔대경주)] ---- [include(틀:야요이상)] [include(틀:스프링 스테이크스)] [include(틀:NHK배)] [include(틀:나카야마 기념)] [include(틀:타카라즈카 기념)] [include(틀:타카마츠노미야 기념)]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70년 출생/경주마]][[분류:2000년 죽은 동물]][[분류:오이 경마장 소속]][[분류:하이페리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