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아이콘.png|width=27]] {{{#C22032,#white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관련 틀'''}}} || ||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우수대학육성정책)] [include(틀:U15(독일))] [include(틀:코임브라 그룹)] [include(틀:LERU 소속 대학)] [include(틀:4EU+ 소속 대학)] }}}}}} || ---- ||<-2><:>'''{{{#white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br] '''{{{#white Universität Heidelberg}}}'''|| ||<-2><:>[[파일: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아이콘.png|width=211]]|| ||<:>{{{#white 표어}}}||'''Semper apertus''' [br] ({{{#C22032 '''항상 열려있는'''}}}) || ||<:>{{{#white 개교}}}||[[1386년|{{{#000000,#fff '''1386년'''}}}]]|| ||<:>{{{#white 국가}}}||[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white 총장}}}||'''홀거 슈뢰터 (Holger Schroeter)'''|| ||<:>{{{#white 위치}}}||[[독일|{{{#000000,#fff '''독일'''}}}]] [[하이델베르크|{{{#000000,#fff '''하이델베르크'''}}}]] || ||<:>{{{#white 학생 수}}}||'''29,187명'''|| ||<:>{{{#white 교직원 수}}}||'''8,397명'''|| ||<:>{{{#white 상징 색상}}}[* [[https://backend.uni-heidelberg.de/de/dokumente/corporate-design-handbuch/download]]]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AF272F; font-size: 0.9em" {{{#fff '''Pantone 1805 C''' ({{{-2 #AF272F}}})}}}}}}[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6B3529; font-size: 0.9em" {{{#fff '''Pantone 175 C''' ({{{-2 #6B3529}}})}}}}}}[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F4F1EA; font-size: 0.9em" {{{#000 '''Sand, Pantone Warm Gray 1 C''' ({{{-2 #F4F1EA}}})}}}}}} || ||<:>{{{#white 웹사이트}}}||[[https://www.uni-heidelberg.de|[[파일: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아이콘.png|width=23]] {{{#C22032,#white '''공식 홈페이지'''}}}]]|| ||<:>{{{#white 소셜 네트워크}}}||[[https://www.linkedin.com/company/university-of-heidelberg/|[[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19]]]] | [[https://www.facebook.com/uniheidelber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9]]]] | [[https://www.instagram.com/uniheidelber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9]]]]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niHeidelberg, 크기=19)] | [[https://www.youtube.com/uniheidelber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9]]]] || ||<:>{{{#white 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너비=100%, 높이=100%)]}}}[br]{{{-1 Grabengasse 1, 69117 Heidelberg, Germany}}}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하이델베르크]] 시에 위치해 있는 [[국립대학]]이다. 정식 명칭은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이다. [[1385년]] [[팔츠 선제후국|팔츠]] [[선제후]] [[루프레히트 1세]]에 의해 설립된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다만 당시는 [[독일 통일]] 전이었기 때문에 [[독일어권]]은 다양한 소국들로 찢어져 있었다. 독일어권 전체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은 [[오스트리아]]의 [[빈 대학교]]이다.][* 참고로 독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대학교는 [[쾰른 대학교]]이고 세 번째로 오래된 대학교는 [[에어푸르트 대학교]]이다. [[신성 로마 제국]] 내에 세워진 대학교 가운데서는 [[프라하 대학교]], [[빈 대학교]]에 이어 역사가 세 번째로 오래되었다.]일 뿐만 아니라, 총 33명의 [[노벨상]] 수상자[* 18명의 교원, 그리고 15명의 동문][* [[https://backend.uni-heidelberg.de/de/dokumente/heidelberger-nobelpreistraeger-uebersicht/download]]]를 배출해낸 연구중심의 명문대학이다. 독일의 [[하버드 대학교]]란 별칭이 있으나, 하버드 대학교는 1636년에 세워졌으므로 굳이 역사로 따지자면 이 곳이 먼저다. 즉, 하버드 대학교가 미국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인 것. 캠퍼스가 총 네곳이다. 관광객들이 주로 방문하는 구 시가지 캠퍼스 (Campus Altdstadt) 에는 인문학/사회과학 계열 학부가 위치해 있고, 노이엔하이머 펠드 캠퍼스 (Neuenheimer Feld)[* 사실상 노이엔하임 구의 절반이 캠퍼스다. 따라서 하이델베르크 대학 캠퍼스 중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고, 독일 내 자연과학 계열 캠퍼스중 가장 큰 축에 속한다.][* 모든 주소가 INF (Im Neuenheimer Feld)로 시작하고 건물마다 번호를 부여해서 익숙해지고 나면 특정 건물을 처음으로 방문해야 할 때 길찾기가 상당히 편해진다.] 에는 의학[* 의대 부설 병원들도 모두 이 캠퍼스 내부에 있다. 따라서 캠퍼스 내에 있는 정원에 산책 나온 환자들과 가족들이 자주 보이는 편이다.]/자연과학 계열 학부[* 물리학 본부는 철학자의 길에 위치해 있지만, 많은 강의들이 이 캠퍼스에서 이루어진다.], 독일 국립 암 연구소 (DKFZ), 막스플랑크 의학 연구소 (Max-Planck-Institut für medizinische Forschung) 등 많은 의학/생물학 연구소가 캠퍼스 내에 존재한다.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 캠퍼스에는 경제학/정치학/사회학 연구소가 있으며, 캠퍼스 만하임에 만하임 대학병원 소속으로 또 하나의 의학부를 두고 있다. 캠퍼스마다 학생식당이 있는데, 구 시가지 캠퍼스 학생식당 중 관광지로도 알려진 Marstall-Mensa 에서는 일반인들도 돈을 내고 학식을 먹을 수 있다. 각 학부와 연구실들이 개별적으로 조그마한 도서관을 가지고 있지만, 규모가 큰 중앙 도서관을 구 시가지와 노이엔하이머 펠드에 각각 하나씩 운영하고 있다. 입학 정원제한 (Numerus Clausus)을 두고 있지 않는 학과들[* 대부분의 인문학/사회과학 게열]은 1년에 총 두번 (여름학기,겨울학기) 새학기를 운영하며, 입학 정원제한을 두고 있는 학과들[* 의학/생물/화학계열 학과들]은 겨울학기에만 새학기를 운영한다. == 위상 == [[ARWU|ARWU 세계 대학 랭킹]] 에서는 세계 50위권, 2023년 기준 독일 내 1위로 선정되고 있다.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언제나 유럽 내 5위권 대학교, 세계 60위권 대학교에 선정되고 있다.[* 2014-2015년도에는 세계 32위까지 올랐다.]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꾸준히 세계 40위권 대학교로 선정되고 있다. NTU 세계 대학 랭킹[* 과학 논문 성과를 토대로 한 세계 대학 랭킹][* [[http://nturanking.csti.tw]]]에서는 세계 60위권, 독일 내 1위로 선정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발달되었으나 특히 [[의학]][* 애초에 의과대학을 필두로 설립된 대학이다.][* 의대는 두개의 독립된 단과대학이 존재한다. 하나는 하이델베르크 대학병원의 일부인 Medizinische Fakultät Heidelberg이고 다른 하나는 만하임 대학병원의 일부인 Medizinische Fakultät Mannheim이다. 두 대학병원은 엄연히 별개의 독립체여서 (만하임 대학병원이 1969년 의과대학을 개설하면서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일부가 되었다), 의과대학을 지원할 시 하이델베르크 또는 만하임 (혹은 두군데 모두)을 선택하여 지원한다.][*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29위], [[자연과학]], [[인문학]], [[사회과학]] 분야가 매우 발달되었다. 자연과학 중에서는 [[물리학]][*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29위]과 [[생물학]][*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24위][* 학부과정에서 생물학을 주전공으로 공부하고 싶다면 Bioscience (Biowissenschaften) 를 지원해야 한다. Biology (Biologie) 가 교직이수와 부전공 학과로 남으며 재학생들도 구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문/사회과학 계열 중에서는 [[사학|역사학]][*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49위], [[심리학]], [[신학]][*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22위] 등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뮌헨 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와 함께 유럽 연구 대학 연맹 (LERU)의 일원인 독일 소재 대학교이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엘리트대학에 선정되어 [[우수대학육성정책]]을 통해 지원을 받고있다. 독일 140개 대학중 독일 정부의 [[우수대학육성정책]](Exzellenzinitiative)에서 우선 지원 대상인 최우수 대학(Exzellenzuniversität)으로 3차례 모두 선정된 단 6개 대학중 하나이다. == 출신 유명인 == === 동문 === * [[헬무트 콜]] : [[서독]] 제6대 총리이자 통일 [[독일]] 초대 총리. * [[니클라스 클라분데]] : [[JTBC]] 프로그램인 [[비정상회담]]에 출연했었다. 해당 문서 참고. * [[한나 아렌트]] * [[요제프 괴벨스]][* 여기서 박사가 되었지만, 학부는 여기가 아니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를 나왔다.] * [[막스 베버]] * [[오토 하인리히 바르부르크]] * [[에리히 프롬]] * [[프리츠 하버]] * [[윌리엄 서머싯 몸]] * [[칼 야스퍼스|카를 야스퍼스]] : 독일의 철학자로, [[실존주의]] 철학의 대표자. * 오토 프리츠 마이어호프(Otto Fritz Meyerhof) : 독일의 [[법학자]]. * [[오토 프랑크]] : [[안네 프랑크]]의 아버지. * [[테오도어 헨슈]] : [[노벨 물리학상]] 수상. * 필리프 레나르트(Philipp Lenard) : 독일의 [[물리학자]]. [[음극선]]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 * [[오토 카리우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3대 전차 에이스 중 한 명. 종전 후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약학을 배워 약사 자격증을 따고 약사로 활동했다. *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 영화감독. [[베를린 대학교]] 진학 후 다녔다. 전공은 예술사와 문학. === 교원 === * [[구스타프 라드브루흐]](Gustav Radbruch) : 법철학자. 우리나라의 법대생이라면 전공책에서 보았을 법한 사람이다. * 게오르크 비티히(Georg Wittig)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게오르크 옐리네크(Georg Jellinek) : 독일의 [[법학자]]. * 리하르트 쿤(Richard Kuhn) : [[효소]]에 대한 연구로 [[노벨 화학상]] 수상. * 발터 보테(Walther Bothe) * 베르트 자크만(Bert Sakmann) :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오토 프리드리히 폰 기르케(Otto Friedrich von Gierke) : 독일의 [[법학자]]이자 [[역사학자]]. 독일의 법을 역사적인 방면에서 연구했다. * [[알브레히트 코셀]] : [[단백질]], [[핵산]]에 대한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위르겐 하버마스]] * 하랄트 추어 하우젠(Harald zur Hausen) *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 한스 옌젠(Hans Jensen) : 독일의 핵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 * 슈테판 헬 (Stefan W. Hell) : 독일의 생물 물리화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 == 관련 문서 ==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s-4.2|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 (독일)]] * [[유학/국가별 정보#s-2.3| 나무위키 유학/국가별 정보 - 유럽 유학]] [각주] [[분류:바덴뷔르템베르크의 대학]][[분류:1385년 개교]][[분류:코임브라 그룹]][[분류:LERU]][[분류:4EU+]][[분류:국가별 최고 고등교육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