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항공사)] ||||||<-4><#ffffff><:>[[파일:하이난 항공 로고.svg|width=100%]] || ||||||<-4><:><#E60012> '''{{{#ffffff {{{+2 하이난항공}}}[br]중국해남항공[br]海南航空控股股份有限公司[br]Hainan Airlines Co., Ltd}}}''' || || '''[[IATA|{{{#000 IATA}}}]]'''[br]HU || '''[[ICAO|{{{#000 ICAO}}}]]'''[br]CHH || '''[[보잉/커스터머 코드|{{{#000 BCC}}}]]'''[*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 [br]4P || '''[[콜사인|{{{#000 콜사인}}}]]'''[br]HAINAN / 海南 || ||||<-2> '''항공권 식별 번호''' ||||<(> 880 || ||||<-2> '''설립연도''' ||||<(> [[1989년]] || ||||<-2> '''허브 공항'''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br]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 [br] [[싼야 펑황 국제공항]] || ||||<-2> '''보유 항공기 수''' ||||<(> 129 || ||||<-2> '''취항지 수''' ||||<(> 90 || ||||<-2> '''항공 동맹''' ||||<(> 미가입 || ||||<-2> '''마일리지''' ||||<(>金鹏俱乐部(Fortune Wings Club)|| ||||<-2> '''지배 구조''' ||||<(> 하이난항공파산기업처리전용계좌 15%[br]하이난팡다항공발전 12.6%[* 사실상 랴오닝팡다집단실업이 대주주인 회사][br]대신화항공 11.6%[br]국가개발은행 2.7% || ||||<-2> '''링크''' ||||<(> [[http://www.hnair.com/|[[파일:하이난 항공 로고.svg|width=30%]]]] || ||<-2><#ffffff>
[[파일:external/blog.kievukraine.info/6445-750056.jpg|width=100%]] || || [[에어버스]] [[A330|A330-200]][* 구도장] || ||<-2><#ffffff>
[[파일:1714507D-3D3D-4A87-90D4-B0AD6B7595A8.jpg|width=100%]] || || [[보잉]] [[보잉 787 드림라이너|B787-9]]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대형 [[항공사]] 중 하나. 본사는 [[하이난성]] 성도 [[하이커우시]]에 있다. 보통 하이난 항공이라고 불린다. 중국 본토의 4대 대형 항공사 중 규모로 4위이며, [[홍콩]]의 [[캐세이퍼시픽항공]]까지 포함하면 전 중국에서 5위권의 규모를 가진 항공사이다. 홍콩 베이스이고 [[영국]]의 스와이어 그룹이 모기업인 캐세이퍼시픽 항공을 제외하면, 중국 정부의 자본이 아닌 순수한 민간 자본으로 세워진 항공사. [[허브(시스템)|허브]] 공항은 본사가 있는 동네인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과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국내선은 양쪽에 노선이 고루 있으며, 국제선은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베이징]]에 편중되어 있다. [[하이항그룹]](海航集团 ; HNA 그룹)산하에 있었는데, 이 그룹의 다른 계열사로는 [[홍콩항공]], [[톈진항공]], [[베이징 서우두항공]], 럭키항공, 중국서부항공, 우루무치항공, 푸저우항공, 구이린항공, 장안항공 등이 있다. [[홍콩 익스프레스]]는 2019년에 [[캐세이퍼시픽항공]]에 매각하였다. 그간 모기업의 무리한 사업 확장과 방만한 투자로 인해 중국 내 최고 수준의 부채를 떠안게 되자, 중국 정부 측에서는 2018년 3월에 모기업의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며 회생 방안을 모색해왔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8030499701|#]]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19]]등으로 항공 사업 전반까지 악화되자, 하이난성 정부에서 모기업을 인수해 자산을 매각하는 방안까지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220000382|#]] 2021년 1월 하이난성 고급인민법원으로부터 파산 및 [[구조조정]] 요구 통지서를 받았다. 이후 투자자들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인수자를 찾고 있으나 코로나 사태와 큰 덩치로 인해 인수할 만한 대상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결국 2021년 9월 그룹의 핵심인 항공과 공항 부문은 [[랴오닝성]] 정부가 보유한 랴오닝 팡다그룹(辽宁 方大集团)이라는 국영기업이 410억위안(7조 5천억여원)에 인수하는것으로 결론이 나 사실상 국영화가 된 상황이다. HNA그룹의 금융과 비즈니스 부문은 민간에 매각하여 HNA그룹은 공중분해되었다. == 항공동맹 == 원래 [[원월드]]에 가입하고자 했었지만, [[중국국제항공]], [[중국동방항공]], [[중국남방항공]] 등 3대 관영 항공사를 제외한 민간 항공사를 견제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 때문에 취항지가 적고 중국동방항공 영입에 실패한 원월드가 중국 항공사의 영입을 중단해 버리는 바람에 가입하지 못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aircraft&no=36295|#]] 항공 동맹은 아니지만 [[알래스카 항공]], [[에티하드 항공]]과 마일리지를 제휴 중이다. == 서비스의 질 == 스카이트랙스에서 당당히 '''5성급''' 항공사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유일하게 항공동맹에 가입하지않은 5성급 항공사이다'''. 노선망만 충실하다면 [[중국국제항공]]을 충분히 뛰어넘을 수 있을 거라 예상할 정도로, 어쨌든 중국 항공사인걸 감안하고도 [[대륙의 실수|서비스의 질이 뛰어나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과 비교해도 절대 꿀리지 않는다.[* 실제로 하이난항공은 스카이트랙스에서 계속 10위 안에 들 정도로 서비스가 뛰어나다. 중국의 폐쇄적인 문화와 공산화 과정으로 인한 문화대혁명으로 질 좋은 서비스가 흐지부지 사라졌다는 걸 생각해보면 하이난항공의 서비스가 대단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 비행 에피소드를 엮은 서적 "나의 아름다운 비행"의 저자인 대한항공 출신 신지수 기장이 이직했던 항공사이기도 하다. 지금은 [[에어프레미아|다른 항공사]]에서 근무중이다. [[파일:하이난 유니폼.jpg]] 승무원 유니폼이 예쁘기로 유명하다. 연하늘색 바탕에 파란 동양풍 무늬를 넣은 치파오풍 유니폼으로, 세계적으로도 동양의 미를 잘 살린 유니폼으로 평가받는다고 한다. == 기재 == ||<#ffffff>
[[파일:external/cdn.feeyo.com/tj_1307070437172.jpg|width=100%]]|| 현행 중장거리 기재는 [[A330|A330-200]], [[A330|A330-300]], [[보잉 787|B787-8]], 그리고 B787-9 등을 운용 중. 그래도 이런 장거리 기재에는 AVOD나 못해도 PTV 정도는 다 설치되어 있다. 단거리 기재는 여타 중국 항공사들과 비슷. === 보유 중인 항공기 === * 보잉 737-700 2대 * 보잉 737-800 149대 * 보잉 737 MAX 8 11대 (나머지 39대 주문) * 보잉 787-8 10대 * 보잉 787-9 28대 * 에어버스 A330-200 9대 * 에어버스 A330-300 25대 * 에어버스 A350-900 6대 (나머지 9대 주문) == 안전 비디오 == ||<#ffffff>
[YouTube(Xo5zNV1oCRE)]|| ||<#ffffff>[YouTube(ZHgon5g6RtY)]|| == 노선 == === 국제선 === 특이하게 국제선 노선에서는 세계 유수의 도시들 대신 2선급 도시들에 주로 취항하고 있다.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 [[런던 히드로 국제공항|런던]],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프랑크푸르트]]같은 유럽 3대 도시에 취항하지 않고 대신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베를린]], [[맨체스터 국제공항|맨체스터]], [[에딘버러]]에 취항한다던가,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앤젤레스]] 대신 [[시애틀 타코마 국제공항|시애틀]]에 취항한다던가... 이러한 이유로 베를린에서 유일하게 동아시아 직항 노선을 취항하는 항공사이다. [[김해국제공항]]과 [[오키나와]] [[나하 공항]]에도 취항했으나 2014년 3월 이후 두 곳 모두 운항 중단. 이는 중국의 항공 정책에서 기인한다. 중국의 경우 주요 허브 공항인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베이징(서우두)]],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광저우(바이윈)]] 발 전 세계 주요 도시들의 노선 운수권이 과거 중국민용항공국 출신인 관영 3대 항공사([[중국국제항공|국제]], [[중국동방항공|동방]], [[중국남방항공|남방]])에 우선 배정된다. 현 중국의 항공 정책이 지나치게 관영 출신의 3대 항공사 위주로 나가고 있는 것. 또한 중국과 해당 국가의 항공사가 1:1의 비율로 운영되어야 하는 규정도 있어서, 예를 들면 서울~베이징 노선에서 2개의 한국 항공사가 취항한다면 중국도 2개의 국적 항공사를 취항할 수 있다. 이미 [[중국국제항공]]과 [[중국남방항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베이징 - 주요 도시 노선에 해남항공이 들어갈 자리는 없었던 것. 때문에 대부분의 메이저 항공사들이 취항하는 유수의 도시들에 취항하지 않고 2선급 도시들에 주로 취항하고 있다. 다만 다른 허브이자 본사 소재지인 하이커우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프랑크푸르트]], 하이커우 -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 등의 노선 개설은 가능하긴 하다. 실제로 해남항공의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 노선은 이 공항에서만 운용된다. 하이커우가 있는 [[하이난성]]이 [[대한민국]]으로 치면 [[제주특별자치도]] 정도라 그렇지(...) 사실 해남항공도 빈약한 국제선 노선망을 어떻게든 보강하고자 했기 때문에 [[원월드]]에 가입하려고 했었지만, 원월드에 들어가지 못한 것도 이런 장벽 탓에 성장하지 못한 국제선 노선망도 한 몫했다. 원월드 입장에선 중국 노선망과 주요 아시아-태평양 노선망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항공사 영입을 노렸던 건데, 주요 도시에 노선망을 가지지 못한 해남항공은 속빈 강정이나 다름없었던 것. 영입 타전 당시 해남항공의 태평양 노선은 베이징발 [[시애틀 타코마 국제공항|시애틀]]과 [[피어슨 국제공항|토론토]]가 전부였다. 그나마 현재는 베이징 -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시카고]], [[보스턴 로건 국제공항|보스턴]], [[산호세(미국)|산호세]] 및 [[창사 황화 국제공항|창사]] -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앤젤레스]] 노선에 추가 취항 중이며, 베이징 - [[라스베이거스 매캐런 국제공항|라스베이거스]]에 추가로 취항할 예정. 하지만 그렇게나 원했던 베이징 / 상하이 / 광저우 -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샌프란시스코]], [[존 F. 케네디 국제공항|뉴욕]] 등의 기존 황금 노선에는 취항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사실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시카고]]를 제외한다면 다른 도시들은 통상 항공사들이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뉴욕에 취항한 다음에 노선 확장을 생각하는 도시들이다. 그래서 유럽 노선들은 2선급 공항에 취항한 다음 해당 공항을 허브로 쓰는 다른 회사들과 인터라인 내지 코드셰어로 때우려고 했으나, 파트너 항공사들의 상태가 영 좋지 못했다. 2000년대 초반에 [[헝가리]] [[부다페스트 리스트 페렌츠 국제공항|부다페스트]]에 취항했을 때에는 당시 헝가리의 플래그 캐리어였던 [[말레브 헝가리 항공]]과 제휴 관계였고, 부다페스트에서 다른 도시로 환승하는 노선을 제공했다. 말레브가 휘청거리던 시절에는 지분 인수를 통한 자금 수혈까지 해 주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파산해 버린 관계로 없던 일이 되었다. 결국 2012년 부다페스트에서 철수하면서 헤드샷을 맞았다. [[에어 베를린]]이 살아 있었을 적에도 비슷하게 에어 베를린 노선을 통해서 유럽 타 도시와 연결해 주는 관계였는데 여기도 에어 베를린이 파산... 공교롭게도 두 항공사 모두 원월드 소속이었다. 최근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에 취항하였다. 하지만 운수권 문제로 베이징 - 파리 노선이 아닌 항저우 - 시안 - 파리 루트로 개통하였다(...) 우리나라로 치면 최근 취항한 [[이스타항공]]의 [[청주국제공항|청주]]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 노선이나 취항 예정인 [[제주항공]]의 [[대구국제공항|대구]] - 베이징 노선과 같은 맥락이다. 빈약했던 장거리 국제선 노선들도 창사, 청두, 충칭, 선전 등을 중심으로 속속 취항하면서 확장하고 있다. 2018년 3월 21일에는 베이징 - [[멕시코시티 국제공항|멕시코시티]] 노선을 취항했다. 중간 기착지는 [[티후아나]]며, 멕시코시티에서 동북아를 오고가는 노선답게 [[보잉 787|787-8]]이 투입된다. 2022년 10월 8일,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다롄]] - [[인천국제공항|인천]] 선이 새로 개설되었다. 매주 토요일에 운행하였으며 첫 인천 취항이었으나 2023년 5월 이후로 단항되었다. === 아시아 === * 상하이 & 선전 - [[이스라엘]] [[벤 구리온 국제공항|텔아비브]] * 베이징 - [[태국]] [[푸껫 국제공항|푸껫]] * 베이징 - [[태국]] [[수완나품 국제공항|방콕]] * 베이징 - [[일본]] [[도쿄]]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나리타 국제공항|나리타]] *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하이커우]] - [[대만]]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 *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하이커우]] -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하이커우]] -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간사이]] *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하이커우]] - [[태국]] [[수완나품 국제공항|방콕]] *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하이커우]] - [[홍콩 국제공항|홍콩]] *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선전]] - [[태국]] [[치앙라이 국제공항|치앙라이]] * 다롄 - [[일본]]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나리타]] * --'''다롄 - [[대한민국]] [[서울]] [[인천국제공항|인천]]'''-- === 유럽 === * 베이징 - [[러시아]] [[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셰레메티예보]] * 베이징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풀코보 국제공항|풀코보]] * 베이징 & 상하이 & 선전 - [[벨기에]] [[브뤼셀 자반템 공항|브뤼셀]] * 베이징 -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베를린]] * 베이징 - [[영국]] [[맨체스터]] * 베이징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체코]]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프라하]] 를 경유해서 운항했던 노선이 적자를 이유로 2018년 11월 23일부터 프라하로 축소되었고 코로나로 인해 전구간이 완전 중단되었으나 2022년 7월 16일부터 베이징 - 베오그라드 로 주 1회 복항한다.[[http://www.caacnews.com.cn/1/6/202207/t20220705_1348287.html|#]] ] * 베이징 - [[아일랜드]] [[더블린]] - [[영국]] [[에딘버러]] [* HU751/HU752편으로 베이징으로 돌아올 때는 에딘버러에서 출발한다.] * 베이징 - [[영국]] [[에딘버러]] - [[아일랜드]] [[더블린]] [* HU749/HU750편으로 베이징으로 돌아올 때는 더블린에서 무기착으로 출발한다.] * 베이징 - [[노르웨이]] [[오슬로]] *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다롄]] -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국제공항|블라디보스톡]] *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선전]] - [[스페인]]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마드리드]] * 선전 - [[스위스]] [[취리히 국제공항|취리히]] * 선전 - [[오스트리아]] [[빈 국제공항|비엔나]] * 선전 &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쿤밍]] - [[프랑스]]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 *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항저우]] - [[시안 셴양 국제공항|시안]] - [[프랑스]]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 * [[창사 황화 국제공항|창사]] - [[영국]] [[런던 히드로 국제공항|런던]] *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 시안 & 선전 - [[이탈리아]]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로마]] *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 [[헝가리]] [[부다페스트]] === 아메리카 === * 베이징 - [[캐나다]] [[캘거리]] * 베이징 - [[캐나다]] [[피어슨 국제공항|토론토]] * 베이징 - [[멕시코]] [[티후아나]](경유) - [[멕시코시티 국제공항|멕시코시티]] * 베이징 & 상하이 - [[미국]] [[시애틀 타코마 국제공항|시애틀]] * 베이징 - [[미국]] [[산호세(미국)|산호세]] * 베이징 - [[미국]] [[라스베이거스 매캐런 국제공항|라스베이거스]] * 베이징 - [[미국]]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시카고]] * 베이징 & 상하이 - [[미국]] [[보스턴 로건 국제공항|보스턴]] * 창사 & 청두 & 충칭 & 시안 -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 * 청두 & 충칭 - [[미국]] [[존 F. 케네디 국제공항|뉴욕(JFK)]] *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선전]] - [[캐나다]] [[밴쿠버 국제공항|밴쿠버]] === 오세아니아 === * 창사 & 시안 & 하이커우 - [[호주]] [[멜버른 국제공항|멜버른]] * 창사 & 시안 & 하이커우 - [[호주]] [[시드니 국제공항|시드니]] * 선전 - [[호주]] [[케언즈|케언즈]] * 선전 - [[호주]] [[브리즈번 국제공항|브리즈번]] * 시안 & 선전 - [[뉴질랜드]] [[오클랜드 국제공항|오클랜드]] == 여담 == 2018년 10월 [[A350|A350-900]]을 첫 도입했으나 그룹 전체의 파산 위기로 모두 처리한 상태이다. 일부 기체는 [[남아프리카항공]]에 넘어간 상태이다. 5성급의 질 높은 항공사지만 엄연히 [[중국]]의 [[항공사]]인 만큼 '''[[북한이탈주민]]'''은 무슨 일이 있어도 일체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자세한 사유에 대해서는 [[북한이탈주민#s-8|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필독할 것.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동북 3성]]을 경유하는 항공편이 없으므로 이미 미국이나 제3국 국적을 취득하였다면 이용해도 큰 문제는 없겠지만 대한민국 국적 탈북자에게는 경찰들의 위협을 당할 수도 있으므로 가급적 이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분류:HNA그룹]][[분류:중국의 항공사]][[분류:1989년 설립]][[분류:대형 항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