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번트×서비스의 등장인물, rd1=하세베 유타카(서번트×서비스))] * [[야구 관련 인물(NPB)]], [[야구 관련 인물(KBO)]] [[파일:/image/109/2014/02/05/201402050901779680_52f17fcd3fb22_59_20140205104104.jpg]] ||<:> '''이름''' || 하세베 유타카 (長谷部 裕) || ||<:> '''생년월일''' || [[1968년]] [[4월 14일]] || ||<:> '''국적''' || [[일본]] || ||<:> '''출신지''' || [[아이치]] 현 [[이치노미야]] 시 || ||<:> '''학력''' || 치아키중-쿄에이고 || ||<:> '''포지션''' || [[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1986년 드래프트 5위 || ||<:> '''소속팀''' || [[주니치 드래곤즈]] (1987~1998) || ||<:> '''지도자''' || [[주니치 드래곤즈]] 1군 배터리코치 (2004~2013) [br] [[KIA 타이거즈]] 1군 배터리코치 (2014) [br] [[SK 와이번스]] 1군 배터리코치 (2015) || [[SK 와이번스]]의 배터리 코치. 한때 일본 시절 같은 팀에 있었던 [[선동열]] 감독과의 인연으로 2014 시즌 포수 인스트럭터로 초빙되었다가 아예 기아 타이거즈의 1군 배터리 코치로 영입되었다. 현역 당시에는 눈에 띄는 성적을 내지 않았다. 1군 기록 기준 5시즌(1990~1993, 1996) 통산 46경기 출장 타율 0.227, 출루율 0.284를 기록하며 주로 백업으로 기용되었다. 1996년 은퇴를 선언했다가 1997년 복귀, 1998년 재은퇴를 한 경험도 있다. 은퇴 후 [[불펜포수]]로 재임하다 2004년부터 배터리 코치로 선임, 10년 간 주니치의 포수를 육성했다. 코치로 선임된 이후에도 불펜에서 현역 투수들의 공을 받는 등 포수 육성을 위한 자기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2013 시즌을 끝으로 팀을 떠나 2014 시즌 [[KIA 타이거즈]]의 배터리 코치로 부임하였다. 다만 1년차에는 [[이성우(야구선수)|이성우]]와 [[백용환]] 등을 굴렸음에도 뚜렷한 포수 성장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다만 도루저지율이 높아지는 등 송구능력을 향상시킨 공로는 있었다. 2014년 시즌 이후 유임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나카무라 타케시]] 前 [[치바 롯데 마린스]] 배터리코치가 KIA의 1군 배터리코치로 선임된 것이 알려지면서 팀을 떠나게 되었다. 그러다가 잘린지 2주만에 [[SK 와이번스]]에서 [[김태형(1967)|김태형]] 1군 배터리코치의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의 영전과 [[박철영]] 코치의 넥센이적으로 인한 공백을 해소하기위해 영입했다. 그리고 2015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여담으로 하세베 코치의 입단 동기로 [[야마자키 타케시]], 콘도 신이치가 있었다.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68년 출생]][[분류:이치노미야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