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 1000승 달성 기수)] [include(틀:서머 시리즈)]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Hamanaka_Suguru.jpg|width=100%]]}}} || || '''이름''' || 하마나카 스구루([ruby(浜中俊, ruby=はまなかすぐる)][* 규정 상 이렇게 등록되었으나 본래 "濱中俊"로 표기하는 이름이다. 때문에 지방 경마에선 원래대로 표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발음은 똑같이 하마나카 스구루.], Suguru Hamanaka) || || '''국적''' || [[일본]]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 '''출생''' || [[1988년]] [[12월 25일]] ([age(1988-12-25)]세), [[후쿠오카현]] || || '''신체''' || 164cm, 51kg, [[A형]] || ||<|2> '''소속''' || [[일본중앙경마회]] || || [[사카구치 마사히로]](릿토)[br]→ 프리(릿토) || || '''데뷔''' || [[2007년]] || || '''성적 및 상세정보''' || [[https://db.sp.netkeiba.com/jockey/01115/|[[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마 기수. 경마학교 23기생으로 [[후지오카 코타]], 마루타 쿄스케[* [[나란 훌레그]]의 주전 기수.] 등과 동기이다. == 생애 == === 데뷔~2015년 === === 2016년 === === 2017년~ === [[필리즈 레뷔]]에서 [[렌 미노루]]에 기승하나, 또 다시 최종 직선에서 사행하며 이번에는 기승 정지 8일 처분을 받게 된다. 이후 레이스 관련 취재를 거부하였고 이때의 언행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징계로 인해 [[오카상]] 기승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렌 미노루에는 [[이케조에 켄이치]]가 기승, 둘은 오카상을 우승하였다. 카시우스의 [[하코다테 2세 스테이크스]]를 마지막으로 약 1년 반 동안 중앙 중상을 승리하지 못하다가, 2019년 [[알링턴 컵]]에서 이베리스에 기승해 오랜만에 중상을 얻어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로저 바로즈]]와 함께, 갑작스레 '''[[도쿄 우준|일본 더비]]'''를 우승하였다. 12번 인기마가 만들어낸 대이변. 복조 기미를 보이고 있으니 다시 옛날처럼 일선에 서리라는 기대도 존재했으나, 그것이 무색하게 2019년은 큰 변화 없이 지나가게 된다. [[타케 유타카]]에 이어 사상 2번째로 빠른(12년 5개월 12일) 통산 1000승 달성 기록을 보유하였고, 중앙 리딩 자키 경험도 존재한다. 또 삼관 기수가 되기까지 각각 [[사츠키상]], [[오카상]]만 남겨둔 상태이며 34세의 나이로 GI/JpnI 통산 11승을 거두는 등 중요한 타이틀만 본다면 분명히 일류 중의 일류인 기수. 그러나 현재 긴 침체기에 빠져있으며, 간간이 GI 우승을 추가 중이지만 연간 승수는 50승 정도에 머물고 있다. 연간 약 120승을 거두던 전성기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 기량의 문제도 있지만, 거듭되는 사행으로 인한 평판 하락이 마질까지 함께 낮춘 결과이기도 하다. ==# 주요 기승마 #== * 데 그라티아 -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2008) * 티엠 앙코르 - [[오사카배|산케이 오사카배]](2010) * 브라운 와일드 -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2010) * 레드 데이비스 - [[신잔 기념]](2011), [[마이니치배]](2011) * 쇼류 문 - [[교토 암말 스테이크스]](2011) * 이탈리안 레드 - [[코쿠라 기념]](2011) * 에피세 아롬 -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2011) * 마진 프로스퍼 - [[한큐배]](2012), [[CBC상]](2012) * 쇼난 마이티 - 산케이 오사카배(2012) * 솔리터리 킹 - [[토카이 스테이크스]](2012) * 익스페디션 - 코쿠라 기념(2012) * 콜렉터 아이템 - [[아르테미스 스테이크스]](2012) * 에이신 탑 -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2012), 신잔 기념(2013) * [[하나즈 골]] - 교토 암말 스테이크스(2013) * [[그랑프리 보스]] - [[요미우리 마일러즈 컵]](2013) * [[코파노 리처드]] - [[스완 스테이크스]](2013), 한큐배(2014) * 우리우리 - 교토 암말 스테이크스(2014) * 아무르 브리에 - [[엠프레스배]](2015), [[브리더스 골드 컵]](2015, 2016), [[나고야 그랑프리]](2015) * 로와 자르당 - [[미야코 스테이크스]](2015) * 댄스 디렉터 - [[실크로드 스테이크스]](2016) * 로지 크라이 - 신잔 기념(2016) * [[렌 미노루]] -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2016) * 플래티넘 불릿 - [[교토신문배]](2017) * 댄싱 블레이즈 - [[엡섬 컵]](2017) * 카시우스 - [[하코다테 2세 스테이크스]](2017) * 티오 헬리오스 - [[홋카이도 스프린트 컵]](2018) * 아이언 테일러 - [[퀸 상]](2018) * 이베리스 - [[알링턴 컵]](2019) * 그림 - [[하쿠산대상전]](2019) * 베스트 액터 - 한큐배(2020) * [[나무라 클레어]] -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2021), [[하코다테 스프린트 스테이크스]](2022), 실크로드 스테이크스(2023) * 소울 러시 - 요미우리 마일러즈 컵(2022) * 보케리니 - [[메구로 기념]](2022, 2023) * [[하야얏코]] - [[하코다테 기념]](2022) * 사운드 비바체 - [[한신 암말 스테이크스]](2023) * 젤트잠 - 하코다테 2세 스테이크스(2023) === GI/JpnI 우승마 === * '''굵게''' 표시된 경기는 '''GI/JpnI''' 경주. * 쓰리 롤스 - '''[[킷카상]](2009)''' * 메데이아 - [[TCK 여왕배]](2013, 2014), [[마린 컵]](2013), [[스파킹 레이디 컵]](2013), [[레이디스 프렐류드]](2013), '''[[재팬 브리딩 팜즈 컵#JBC 레이디스 클래식|JBC 레이디스 클래식]](2013)''' * 그레이프 브랜디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2013)''' * [[미키 아일]] - [[신잔 기념]](2014), [[알링턴 컵]](2014), '''[[NHK 마일 컵]](2014)''', [[스완 스테이크스]](2014), '''[[마일 챔피언십]](2016)''' * [[쇼난 판도라]] - '''[[슈카상]](2014)''' * [[미키 퀸]] - '''[[우준 빈마]](2015)''', '''슈카상(2015)''', [[한신 암말 스테이크스]](2017) * [[러블리 데이]] - '''[[천황상#s-3|천황상(가을)]](2015)''' * [[로저 바로즈]] - '''[[도쿄 우준]](2019)''' * [[메이쇼 하리오]] - [[미야코 스테이크스]](2021), [[마치 스테이크스]](2022), '''[[제왕상]](2022, 2023), [[카시와 기념]](2023)''' [[분류:일본중앙경마회]][[분류:경마 기수]][[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분류:후쿠오카현 출신 인물]][[분류:1988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