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이 도시를 주도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주: [[하르키우주]] * 하리코프에 존재했던 미승인국: [[하리코프 인민공화국]] * [[러시아]]가 하리코프주에 세운 군민정청: [[하리코프 군민정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height=15]] [[하르키우주|{{{#000 하르키우주}}}]]의 주도'''[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하르키우 시 휘장.png|height=57]]}}}||{{{#!wiki style="margin: -5px 0" '''{{{+1 하르키우[*우 [[우크라이나어]] 표기] / 하리코프[*러 [[러시아어]] 표기]}}}[br][[우크라이나어|{{{#000 Харків}}}]] / [[영어|{{{#000 Kharkiv}}}]]'''}}}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우크라이나 하르키우, 너비=100%, 높이=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르키우 자유 광장.jpg|width=100%]]}}} || ||<-2><#ddd> {{{#000 {{{-2 ↑하르키우 자유 광장}}}}}} || || {{{#fecc00 '''국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 || {{{#fecc00 '''행정구역''' }}} ||하르키우 주 하르키우 시 || || {{{#fecc00 '''면적''' }}} ||350km^^2^^ || || {{{#fecc00 '''인구''' }}} ||1,433,886명[*A 2021년 기준] || || {{{#fecc00 '''시간대''' }}} ||[[시간대#s-2.17|UTC+02:00]] (EET)[*서머타임 일광 절약 시간제: UTC+3 (EEST)] || [목차] [[우크라이나어]] : Харків(Kharkiv) (하르키우) [[러시아어]] : Харьков(Har'kov) (하리코프) [[세르비아어]] : Харков(Harkov) (하르코브) [[영어]] : Kharkiv[* 우크라이나식 표기] / Kharkov[* 러시아식 표기] [clearfix] == 개요 == [youtube(v5iz2OAn7WQ)]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전의 모습. [[우크라이나]]의 [[제2의 도시]]. 러시아어 명칭은 하리코프. 인구는 약 143만 명(2014년)으로 [[키이우]] 다음 가는 인구이다.[* 소련 시절의 조사에 따르면 인구가 159만 3970명이었다.] 주민의 대부분은 [[우크라이나인]]이지만,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의 비중도 40%에 달한다. 그만큼 러시아어의 사용비중도 높고 하르키우의 우크라이나인들도 대부분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그 외의 다른 민족으로는 [[유대인]] 3%, [[벨라루스인]] 0.75%과 기타 민족 2.24%으로 구성되었다.[* 영어 위키백과의 [[http://en.wikipedia.org/wiki/Kharkiv#Demographics|하르키우 인구 조사]]]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우크라이나어식 표기는 하르키우, 러시아어식 표기는 하리코프인데, 한국 언론에서는 하르키우, 하르코프, 하르키프, 카르키프 등 여러 표기가 혼용되고 있다. 이 중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이 인증할 정도로 많이 쓰이는 표기는 하르코프. 러시아식 표현으로 하르키우를 가리키는 발음과 표기이다.[* 2022년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진 이후부터는 하르키우가 많이 쓰이고 있다. 이는 키이우도 마찬가지.] 1654년 [[대홍수(역사)|대홍수]] 당시 우크라이나를 휩쓴 전쟁을 피해 [[드니프로 강]] 좌안으로 도망쳐 온 [[카자크]]들이 세운 도시로, 1917-34년까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다. 그래서 "우크라이나의 첫 수도"라는 별명이 있다. [[소련]] 시대에는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소련 3대 공업도시였다. [[하르키우 대학교]]는 우크라이나에서 두번째로 가장 오래된 대학이며,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레프 란다우]]가 리즈시절을 보낸 곳인 하르키우 공과대학교(Националь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Харьков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Kharkiv Polytechnic Institute")는 1885년 창설되어 돈바스 지역의 가장 오래된 공과대학이기도 하다. 또한 냉전 이후 이 동네에 있던 항공우주 설계국과 제작사들 대부분이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국유화 크리를 맞는 바람에 러시아가 매우 고생했다. [[Tu-160]]도 워낙 유명하고, 그 외 우주선 제작사들도 알려졌다. 저 유명한 [[미르 우주정거장|미르]] 구성 모듈은 대부분 이 곳의 하르트론 설계국에서 개발되었다. [[하르키우 트랙터 공장]]과 [[말리셰프 공장]], [[하리코프 모로조프 설계국]] 또한 이곳에 위치한다.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도 [[키이우]]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도네츠크]], [[루한스크]]와 함께 우크라이나의 대표적인 공업도시 중 하나이다. 또 공항이 위치해 있어서 공항을 통해 [[러시아]], [[아르메니아]], [[투르크메니스탄]], [[아랍에미리트]]로 갈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내에서는 [[키이우]], [[드니프로]]와 함께 [[하르키우 지하철|도시철도]]가 다니는 도시이다(3개 노선 30개 역). [[친러]]성향이 강한 지역이었다. [[1990년대]] 중후반에는 [[우크라이나 공산당]], [[2000년대]]와 [[2010년대]] 전반기에는 [[지역당]]의 지지율이 높았으며,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 때 [[도네츠크주]], [[루한스크주]], [[오데사주]]와 함께 우크라이나에서 [[하리코프 인민공화국]]이란 이름으로 독립을 선언했었다. 그러나 도네츠크, 루간스크와는 달리 [[우크라이나군]]이 초기에 제압하여 도시를 통제했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러시아 국경]]과 매우 가깝다는 점이 불안 요인이었는데 결국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 2015년 2월 22일 유로마이단 혁명 성공 1주년을 기념하는 친서방파의 행진에 [[폭탄]]이 투척되어 두세 명이 죽고 10여 명이 넘게 다쳤다.[[http://www.47news.jp/korean/international_diplomacy/2015/02/108475.html|#]] 하르키우 주민의 절반 이상이 [[러시아어]]가 우크라이나의 [[공용어]]가 되길 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https://russkiymir.ru/news/279425/|#(러시아어)]] [[한국계 우크라이나인]]이 운영하는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육 기관인 정수리학교(Харьковская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ая школа І-ІІІ ступеней № 181 Денсури)가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4일 만에 [[러시아군]]이 시내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 시를 탈환하는데 성공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294415&page=1|#]] [[하르키우 전투]] 참조. [[2023년]] 2월 22일, 하르키우시의 이호르 테레호우 시장이 [[SNS]]에서 러시아어를 썼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았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223082400009?|#]] === 하위 행정구역 === * 콜로드노히르스키 구[* 2016년까지는 레닌스키 구] * 셰우첸키우스키 구[* 2016년까지는 제르진스키 구] * 키이우스키 구 * 살티우스키 구[* 2022년 5월 11일까지는 모스코우스키 구] * 네미슐리안스키 구[* 2016년까지는 프룬젠스키 구] * 인두스트리알니 구[* 2016년까지는 오르조니키드젭스키 구] * 슬로비드스키 구[* 2016년까지는 코민테르노우스키 구] * 오스노비안스키 구[* 2016년까지는 체르보노자보드스키 구] * 노바바스키 구[* 2016년까지는 조우트네비 구] 보다시피 소련 붕괴 이후로도 한동안 소련 시절에 붙여진 공산주의 냄새가 진동하는(...) 명칭이 남아있었다. 이러한 공산주의 관련 인물이나 단체의 이름이 붙은 구 명칭들은 2015년 제정된 [[탈공산화]] 법령에 의하여 2016년에 모두 개칭되었다. 살티우스키 구는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 시절에 스탈린의 이름을 따 스탈린스키 구로 명명한 것을 1961년에 탈 스탈린화 정책의 일환으로 [[모스크바]]의 이름을 딴 모스코우스키 구로 개칭한 것인데, 친러 성향이 강한 현지 민심을 고려한 것인지는 몰라도 탈공산화에 따른 구 명칭의 개정 이후로도 한동안 이름을 유지하다가 2022년 5월에야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하였다. == 기타 == [[월드 오브 탱크]]에서 9.1 업데이트로 신규 등장한 맵으로도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탱크/맵#s-1.3.7|해당 문서 참조]]. [[독소전쟁]] 중 [[독일 국방군]]과 [[소련군]]의 공방전이 네 차례나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제1차 하르코프 공방전]],[* 2차, 3차 전투에 비해 규모가 작아 중요하게 다루어지지는 않는 편이다. 당장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것만 봐도...]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제4차 하르코프 공방전]] 참조. 거기다 2022년에는 러시아의 공격을 받아 아비규환이 되었다. [[분류:옛 수도]][[분류:우크라이나의 도시]][[분류:하르키우주]][[분류:우크라이나의 영웅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