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북한 평의선에 있는 동명의 역, rd1=하단역(평의선))] ||<-3> {{{+2 '''하단역'''}}}[br](아트몰링) || ||<-3>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신평역|신 평]][br]← 1.6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02)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당리역|당 리]][br]0.8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부산 도시철도 5호선|[[파일:Busan5.svg|width=30]]]] || || [[사상역(도시철도)|{{{#!html
사상 방면}}}]]--[[동아대역|동아대]]--[br]← 0.8 ㎞ || [[부산 도시철도 5호선|{{{#!html
5호선
(507)
}}}]]{{{#ffffff (공사중)}}} || [[녹산역(도시철도)|{{{#!html
녹산 방면}}}]]--[[강변역(부산)|강 변]]--[br] 0.9 ㎞ → [* [[2030년]] 개통 예정.]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도시철도 하단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Hadan || || [[한자]] ||<-2><|2> 下端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下端, ruby=ハダ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지하1415 ([[하단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하단관리역 / [[제1운영사업소]] || || --[[부산 도시철도 5호선|{{{#ffffff 5호선}}}]]-- ||<-2> 미정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2> [[부산교통공사]] || || --[[부산 도시철도 5호선|{{{#ffffff 5호선}}}]]--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94년 6월 23일 || || --[[부산 도시철도 5호선|{{{#ffffff 5호선}}}]]-- ||<-2> 2026년 || || --[[하단녹산선|{{{#ffffff 하단녹산선}}}]]-- ||<-2> 2030년 (예정)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1호선)(심도: 11.68m)[br]지하 3층(5호선)[*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에서 제공하는 5호선 사업개요를 참고하면 [[https://www.eiass.go.kr/common/pdf/view.do|506정거장(하단역)은 지하 3층으로 나와있다.]]]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1호선) (횡단 불가)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5호선) || ||<-3> '''노선거리표''' || || {{{#!html
기점}}} || '''[[하단녹산선|{{{-1 {{{#ff007f ⑤ 하단녹산선}}}}}}]]'''[br]하 단[br]{{{#red (계획중)}}} || --[[녹산역(도시철도)|{{{#!html
녹산 방면}}}]]----[[강변역(부산)|강 변]]--[br] 0.9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02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지하1415 ([[하단동]]) 소재. == 역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5 하단역 대합실.jpg|width=100%]]}}}|| || 대합실 || 부역명은 '''[[동아대학교]]'''였으나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2009년 1월 10일 부역명이 삭제되었다.[* 차후 2024년 개통 예정인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의 [[동아대역]]이 [[동아대학교/승학캠퍼스]] 바로 앞에 신설될 예정이므로 동아대에서 굳이 하단역의 부역명을 구매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런데 2012년 12월부터 '''부산본병원'''이라는 새로운 부역명이 붙었으나 또 삭제되었다. 부역명이 없는 상태로 있다가 2018년 5월 21일에 아트몰링[* 하단역인근에 있는 종합 쇼핑몰. 지하철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역 주변 정보 문단 참고 바람.]이 부역명으로 추가되었다. 현재 공사 중인 5호선[* 현재 공사 중인 사상-하단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고, 갓 예타를 통과해 초기 설계 단계에 있는 하단-녹산 구간은 [[2030년]] 완공 예정이다.]과 환승이 가능할 예정인 역이다. == 역 주변 정보 == 오래전부터 하단교차로 인근에는 하단오일장이 운영중에 있다. 사하구 교통의 요충지이며 부산의 [[부도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7년 3월 3일에는 종합쇼핑몰 아트몰링[* [[크로커다일]] 레이디, [[엘리트(교복 브랜드)|엘리트]]로 유명한 패션그룹 형지에서 운영하는 쇼핑몰이다. 참고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에도 같은 회사에서 운영하는 아트몰링이 있는데, 이쪽은 바우하우스라는 기존 쇼핑몰을 인수하여 이 아트몰링이 생긴 뒤에 이름을 바꾼 것이다. 원래 이 자리에는 1982년부터 2008년까지 '성림맨션'이 있었다. 그때도 입지가 좋아 거실에서 낙동남로 인근이 훤히 내려다 보였었다.] 개점과 함께 [[CGV 하단아트몰링]][* CGV에서도 매출액 순위권에 드는 상위 점포이다.]영화관까지 입점하여 [[사하구]]에서 최초로 [[영화관]]이 개점하였다. 덕분에 사하구에서 문화생활을 하려고 [[남포동(부산)|남포동]]까지 가지 않고 가까운 하단에서 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서구와 가까운 [[감천동]]의 경우 그냥 남포동으로 가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위탁지점이라 쿠폰사용 및 이벤트에 제약사항이 있다.] 이와 더불어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1호선이 연장 개통되어 [[다대동]], [[장림동]] 일대 거주민 및 강 건너 [[강서구(부산)|강서구]] [[명지동(부산)|명지동]] 주민들의 이용까지 합쳐져 이용객이 급증하였다. 개발이 진행중인 [[서부산]] 지역의 사실상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앞으로 개통할 5호선과 환승되는 역이라,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22년 초 기준으로 장기화된 [[부산 도시철도 5호선|사상-하단연장선]]공사 및 [[동아대학교/승학캠퍼스]] 분산, 그리고 코로나19 등의 문제로 인하여, 동아대학교 측 방면으로는 상권 자체가 박살났다 할 정도로 공실 상가가 많아졌다. 상기 공사가 2026년을 넘어 2028년 완공설도 돌고 있어 인근 상인들의 피해가 막심할 것으로 보인다. 위쪽 [[하단동|하단2동]] 부근에 에덴공원[* 엄궁동 연장 전 [[부산 버스 16|16번]]의 기종점.]이라는 소규모 근린공원이 있다. 하단역 지상에는 오거리인 하단교차로가 있는데 운전하기 어렵고 운전자들의 도로규정 준수도 나쁘기로 정평이 난 부산 전체를 통틀어도 [[교통체증]]이 손에 꼽을 정도로 심하다. 오거리라는 특성 상 신호대기 시간이 길고 도로표지판도 난해한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이러한 배경과 함께 길을 몰라(또는 아는데도 일부러) 뒤늦게 차로를 바꾸거나 조금이라도 빨리 가려고 꼬리를 무는 차량들 때문에 체증이 더욱 증가된다. 설상가상으로 현재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 하부에 [[부산 도시철도 5호선|사상 ~ 하단 도시철도]] 공사로 체증이 한층 심해져 퇴근 시간이나 주말에는 진입로부터 오거리를 벗어나기까지 20분은 족히 걸리며 상술한 꼬리물기 때문에 파란불일 때는 차가 움직이지 못하다가 꼬리물기가 끝나고 신호등이 빨간불이 되어서야 이동할 수 있는 부조리함을 자주 겪게 된다. 단 하단역-하단오거리 [[낙동남로]] 구간은 RH시간대 교통경찰이 상주하므로[* 꼬리물기, 신호위반 단속과 정체로 파란불이 되어도 이동이 불가능할 때 신호를 조작하여 버스 환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경찰이 불러 범칙금을 부과당하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하자. 아침시간대 의외로 많이 걸린다. --겸사겸사 오토바이 헬멧 미착용 단속은 덤-- 자전거 운전자들, 특히 당리역에서 을숙도 쪽으로 간다거나, 하신번영로에서 낙동남로로 간다거나 할 때 자라니가 되지 않도록 조심하자. == 일평균 이용객 == 하단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28,186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27,665명 || || || 2004년 || 27,268명 || || || 2005년 || 26,024명 || || || 2006년 || 23,960명 || || || 2007년 || 22,737명 || || || 2008년 || 24,184명 || || || 2009년 || 24,350명 || ||}}}}}}}}} || || 2010년 || 26,341명 || || || 2011년 || 28,766명 || || || 2012년 || 29,036명 || || || 2013년 || 29,199명 || || || 2014년 || 30,855명 || || || 2015년 || 31,000명 || || || 2016년 || 32,111명 || || || 2017년 || 36,891명 || || || 2018년 || 38,989명 || || || 2019년 || {{{#f06a00 40,817명}}} || || || 2020년 || 28,441명 || || || 2021년 || 29,080명 || || || 2022년 || 33,283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날이 갈수록 빠르게 이용객이 증가하는 역 중 하나로서, 계속 증가하다가 2019년 일평균 4만명을 돌파하였다. 이정도 수치는 부산 1호선에서 상위권에 속한다. 최저치였던 2007년과 비교하면 18,080명이 증가했다. 이처럼 수요가 늘어난 결정적인 이유는 [[부산신항]]의 건설과 [[명지오션시티]]&[[명지국제신도시]]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개발, 그리고 [[거가대교]] 개통으로 [[거제시]]에서 모두 도시철도 진입을 하단역에만 의존하고 있는 덕분이다. 그동안 평범한 농어촌 지대였던 [[강서구(부산)|강서구]] 남부가 부산시내의 포화로 인해 확장 형식으로 개발이 진행되면서 인구 및 인프라가 급격히 증가했고 하단역이 이 지역의 관문이었으므로 [[강서구(부산)|강서구]] 남부 지역에서 넘어오는 승객들이 도시철도로 갈아타는 환승 허브 역할을 하게 되면서 지금처럼 수요가 급증한 원인이 되었다. 더군다나 [[2011년]]에 [[거가대교]]가 개통되면서 [[거제시]]에서 넘어오는 여러 통근버스들이 하단역을 종점으로 삼게 되어 거제시를 오가는 사람들까지 추가로 수용하여 이용객이 더욱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2014년부터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의 개통으로 인하여 이용객이 더욱 늘어났다. 하단역의 이용객이 늘어난 만큼 주변의 유동 인구가 덩달아 증가하여, 이 일대의 상권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커지는 추세에 있다.[* 덕분에 사하구의 최초이자 유일한 영화관이 있는 멀티플렉스 건물인 아트몰링이 하단에 입점하였다!] 이렇게 연쇄적인 [[부도심]]화 과정을 거치고 있어서 [[2026년]]에 [[부산 도시철도 5호선|5호선]]이 개통되면 [[사하구]] 쪽에서 넘어오는 승객들이 추가되어 더 높은 숫자를 기록하게 될 것이고 [[2030년]] 이후 하단~녹산 구간이 개통되면 하단역에서 환승하던 [[강서구(부산)|강서구]] 서부 주민들이 이탈하여 어느 정도 타격은 입겠지만 반대로 이들 지역에서 하단역까지 전철로 넘어오는 동선이 추가되어 극적인 감소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부산 시계를 벗어나는 장거리 승객들 (주로 거제, 장유, 진해 방면)이 착석 문제로 하단역에서 내리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 승강장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5 하단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5 하단역 역명판 .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하단역 안내도.jpg|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신평역|신평]]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당리역|당리]] || || {{{#ffffff 상}}} ||<|2>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평역|신평]]·[[낫개역|낫개]]·[[다대포항역|다대포항]]·[[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서면역|서면]]·[[동래역(도시철도)|동래]]·[[노포역|노포]] 방면|| 역 구내에 6퍼밀의 구배가 있다.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미개통)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hadan5.jpg|width=100%]]}}}|| || 5호선 하단역 조감도 || [[한화건설]]이 [[http://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page/subLocation.do?menu_no=1001050302|기타계약]]을 체결해 2015년 12월 4일 착공하여[* 차선 통제를 실시하는 등의 실질적인 공사 착수일은 2016년 9월 1일이다.] 현재 역을 건설하고 있다. [[2023년]] [[12월 1일]] 기준으로 토목공사 공정률은 94.58%로, 계획 99.45% 대비 공사가 95%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환승통로 구조물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http://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construction/prelist.do?menu_no=1001050304|#]] 참조. 하단역 윗쪽 하단교차로에 복공판을 놓고 공사중이다. 이로인해 수시로 차선과 방향이 바뀌고 있어 주의해야한다. 더군다나 복공판을 올리면서 원래 아스팔트보다 작은언덕같은 느낌이 들정도로 높아졌다. 물론 경사지게 마감을 해두었지만. 최근에는 어느정도 공사가 되었는지 가장자리 일부분을 아스팔트로 매꾸었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 5호선 하단역 환승통로.jpg|width=100%]]}}}|| || 하단역 환승통로 확정안 || 현재 환승통로를 포함한 구조물이 하단교차로 바로 아래에서 개착식으로 공사중이다. 현재 하단역 버스환승센터가 바로 위에 위치한 1호선 역사가[* 정확히는 환승센터 바로 아래엔 노포행 기준 2번칸이다.] 아닌 9,10,11,12 번 출구가 있는 하단교차로 바로 아래 또는 동아대방향으로 역이 지어질 것 으로 예상된다. 다름아닌 연장 시 다음역인 강변역까지 [[하신중앙로]]를 이용해야하므로 급커브로 인한 문제로 1호선 역사 바로 아래쪽에 시공이 불가능하다. 더군다나 1호선 역사 주변엔 대형건물들이 많은것도 한몫한다. 1호선 하단역은 1~6 번출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니 환승통로는 직선으로만 200~250m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도 버스환승시 하단교차로쪽 출구에서 걸어가는것보다 버스로 한두정거장 뒤의 당리역을 이용하는 것도 이쪽의 이유가 크다. 다만 현재 하단역이 [[낙동남로]] 부근에 치우쳐져있는 특성상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가 위치한 교차로부근에 역을 놓으면 하단교차로 인근 지역의 수요까지 흡수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교차로에서 1호선 하단역까지의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이며 [[건국중학교]], [[건국고등학교]], [[부산여자고등학교]] 등등 연선에 학교들이 많이 밀집되어있어서 수요가 끝내줄 것이다.] 하단교차로 연선에 정차하는 수많은 시내버스 노선들과도 바로 연계된다. 현재도 1호선에서 내려 9~12번 출구까지 거리감이 좀 있기에 환승통로에 과연 [[무빙워크]]를 설치할지는 미지수.[* [[서울역]] 1-4호선 환승통로의 경우처럼 하단역 대합실에서 9~12번 출구가 위치한 교차로 부근로 이어지는 지하통로 부근을 반띵해서 환승통로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단역의 경우 현재 복공판 위치를 예상하면 1~3호차가 빠른 환승이 될 것이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하단역 직결환승통로 1안.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 하단역 직결환승통로 2안.jpg|width=100%]]}}}|| ||<-2> [[부산 도시철도 5호선|5호선]] 직결환승통로 후보방안 || 실제로 부산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운영관리시스템에 업로드 된 사상하단선 5공구 하단역 건설계획에 의하면, 설계 당시에는 직결 환승통로를 건설하는 안도 있었지만 좌측 1안의 경우에는 비용문제, 기존 1호선 출구 통로를 활용한 우측 2안의 경우에는 환승통로 최소 폭 미확보 및 비용문제로 인해 취소되고 간접환승하는 구조로 확정됐다고 한다. ||<-4> --[[동아대역|동아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당역종착 || || {{{#ffffff 상}}} ||<|2> --[[파일:Busan5.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사상역(도시철도)|사상]]·[[새벽시장역|새벽시장]]·[[엄궁역|엄궁]]·[[동아대역|동아대]] 방면--|| || {{{#ffffff 하}}} || 당역종착 ||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 ◁ || {{{#c0c0c0 하 단}}} || ▷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 == 연계 교통 == [[파일:하단역 주변.jpg]] 부산 판 [[사당역]]. [[사상구]]에 [[사상역]]이 있다면 [[사하구]]엔 하단역이 있다. 이 역의 진가는 [[강서구(부산)|강서구]], [[가덕도]], [[거제도]], [[장유(지역)|장유]], [[진해구|진해]], [[용원동|용원]], [[을숙도]]를 오가는 광역교통 [[관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하단역 지상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어 환승이 매우 편리한 덕분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역 이용객 수 순위 열 손가락 안에 가뿐히 들어간다. 이 역의 환승객들을 보면 * [[강서구(부산)|강서구]][* [[대저1동]], [[대저2동]] 일대 제외]일대, [[명지국제신도시]], [[명지오션시티]] 주민[* 대부분의 승객들이 명지동으로 가려는 사람들이다. 반면 녹산동이나 용원까지 가려는 승객은 상대적으로 적다.] * 경상남도 [[거제시]][*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2000번]]], [[용원]][* [[부산 버스 58-1|58-1번]], [[부산 버스 58-2|58-2번]], [[부산 버스 강서9-1|강서9-1번]]. 그리고 그외에 동아여객 이라는 ~~저렴한~~ 급행버스가 존재한다. 단 [[동아여객]] 같은 경우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인근에 있는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도 탑승할 수 있으며 진해나 거제로 가는 버스가 가끔 있다. 다만 이 경우 버스에 행선지가 붙어있다.], [[장유(지역)|장유]] [* [[김해 버스 220|220번]]] * [[하단시외버스정류장]]에서 [[진해구|진해]] 방향 [[시외버스|동아여객]] 승객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녹산공단, 미음산단, 생곡산단, 지사산단, 화전산단]], [[부산신항]] 근로자[* [[르노코리아자동차]], [[삼성전기]] 같이 강서구에 위치한 기업은 물론이고, 심지어 저 멀리 진해의 STX 조선해양 통근버스도 온다. 이외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도 하단으로의 통근버스 신설을 추진했는데, 거제시와 시외버스 업체의 반발로 무산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동아대학교]] 통학생[* 옛 부역명에서 보듯이 인근에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가 있지만 (바로 인근은 아니고 800m 정도 걸어가야 한다.), '''경사의 압박이 심해''' 걷는 것보다는 [[부산 버스 사하10|사하10]]번 [[마을버스]](동아대학교 순환버스)를 타는 것을 권장한다. 아침시간(8시반~9시)에 이 역에 가게 된다면 6번출구의 동아대 순환버스 정류장에서 하단역 6번 출구 안쪽까지 몇 십 미터를 줄지어 서 있는 [[대학생]]들을 볼 수 있다. 본래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이 정류장도 해당되었지만 당연히도 이 줄이 [[횡단보도]] 위를 걸치게 되어 본래 위치로 도로 되돌아온 역사가 있다.] * [[을숙도]], [[부산현대미술관]], [[경마]]를 보러 온 [[렛츠런파크 부산경남]] 관광객(금, 토, 일요일). 경마공원 무료 셔틀버스가 하단역 중앙버스환승센터에 정차하기 때문이다. * (2021년부터) [[에코델타시티]] [[명지동(부산)|명지동]] 구역. 에코델타시티 사업구역 중 가장 먼저 준공될 구역으로서 향후 20,000~30,000명이 상시 거주하는 지역으로 변모할 것이므로 이 지역 주민들 또한 하단역에서 도시철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을 것이다. 하지만 하단역 위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조성되어 있어 환승이 편리하다고 보겠지만 정작 부산 시내로 나가는 노선으로의 [[환승]]은 빈약한 편이다. [[부산 버스 3|3번]], [[부산 버스 58|58번]], [[부산 버스 58-2|58-2번]], [[부산 버스 68|68번]]등이 있지만 [[부산 버스 58-2|58-2번]], [[부산 버스 68|68번]]을 제외하고는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다. 만약 시내방향의 버스를 이용할려면 12번 출구 인근에 [[괴정동(부산)|괴정동]], [[서구(부산)|서구]] 방면으로 가는 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9번 출구 인근은 [[동아대학교]], [[사상구]] 방면으로 나가는 버스정류장이 있다. 다만 대부분이 지하철 타고 내리는데서는 좀 먼 출구들이다. 3번의 경우 원래는 괴정사거리까지 갔으나 노선 조정으로 520번의 선형처럼 신평배고개 방면으로 운행된다. 그러므로 [[강서구(부산)|강서구]][* 대저동제외]나 [[사상구]] 엄궁동[* [[부산 버스 68|68번 환승]].] 방향으로 갈 것이 아니라면 이 역보다는 [[당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그나마 편하다.[*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를 경유하는 모든 시내버스들이 정차하는 정류장이기 때문이다.] === 낙동남로 환승센터 정류장 === [include(틀:하단역 환승센터 경유버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하단역(10-077)'''}}}}}}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ff 일반}}}]]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3, 방향=신호주거단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55,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58,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58-2,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61,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68,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23,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24,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28-1,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61,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71, 방향=강서공영차고지)]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좌석|{{{#fff 좌석}}}]] ||[include(틀:부산 좌석버스 표시, 번호=58-1, 방향=강서공영차고지)]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급행|{{{#fff 급행}}}]] ||[include(틀:부산 급행버스 표시, 번호=2000, 방향=고현터미널)]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fff 심야}}}]] ||[include(틀:부산 심야버스 표시, 번호=58-1, 방향=강서공영차고지)] [include(틀:부산 심야버스 표시, 번호=58-2, 방향=강서공영차고지)] || || [[김해시 시내버스|{{{#fff 김해좌석}}}]] ||[include(틀:김해 좌석버스 표시, 번호=220, 방향=풍유동차고지)]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하단역(90-024)'''}}}}}} ||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fff 마을}}}]]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3, 방향=덕두마을)]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7, 방향=조만포)]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9, 방향=신호마을)]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9-1, 방향=용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9-2, 방향=신호주거단지)]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2, 방향=지사산단)]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3, 방향=덕천교차로)]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4, 방향=국회도서관)]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5, 방향=대저역)]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6, 방향=주포마을)]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7, 방향=용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20, 방향=가덕도선창)]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21, 방향=신호주거단지)]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사하, 번호=10, 방향=하단역(종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하단역(10-078)'''}}}}}}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ff 일반}}}]]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3, 방향=다대포)]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55,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58,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58-2, 방향=사하구청)]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61, 방향=동의대역)]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68, 방향=용당동)]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23, 방향=김해구산동)]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24,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28-1, 방향=구포시장)]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61, 방향=서부터미널)]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71, 방향=부산역)]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좌석|{{{#fff 좌석}}}]] ||[include(틀:부산 좌석버스 표시, 번호=58-1, 방향=하단역(종점))]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급행|{{{#fff 급행}}}]] ||[include(틀:부산 급행버스 표시, 번호=2000, 방향=하단역(종점))]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fff 심야}}}]] ||[include(틀:부산 심야버스 표시, 번호=58-1,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심야버스 표시, 번호=58-2, 방향=사하구청)] || || [[김해시 시내버스|{{{#fff 김해좌석}}}]] ||[include(틀:김해 좌석버스 표시, 번호=220, 방향=하단역(종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하단역(90-023)'''}}}}}} ||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fff 마을}}}]]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3,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7,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9,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9-1,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9-2,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2,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3,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4,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5,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6,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17,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20,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강서, 번호=21, 방향=하단역(종점))] [include(틀:부산 마을버스 표시, 지역=사하, 번호=10, 방향=동아대학교)] ||}}} === 하신중앙로 가변 정류장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하단역(10-076)'''}}}}}}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ff 일반}}}]]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1, 방향=다대포)]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13, 방향=동매역)]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338, 방향=다대포)]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fff 심야}}}]] ||[include(틀:부산 심야버스 표시, 번호=1000, 방향=다대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하단역(10-236)'''}}}}}}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ff 일반}}}]]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1, 방향=영선동)]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113, 방향=동삼중리)] [include(틀:부산 일반버스 표시, 번호=338, 방향=모라주공)]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fff 심야}}}]] ||[include(틀:부산 심야버스 표시, 번호=1000, 방향=서면)] ||}}} === 마을버스 === * [[부산 버스 사하2]] * [[부산 버스 사하10]] == 여담 == * 이 역에서 [[신평역]] 방향으로 90도 [[드리프트]]가 있어서 해당 구간을 제한속도 40km/h으로 운행한다. * [[부산 도시철도 5호선]]과 환승이 될 예정이다. 해당 역은 [[상대식 승강장]]이므로 완성되면 [[연산역(부산)|연산역]]에 이은 상대식 역끼리 환승을 하는 경우가 된다. * 이 역을 모티브로 쓴 [[시]]가 있다. 강경주 시인이 '''"하단역 지나며"'''이라는 시를 썼다고. * 출.퇴근 시간에는 이 역 위에 있는 [[낙동남로]] 구간[* 하단역을 기준으로 왼쪽으로는 [[을숙도]]쪽으로 가는 [[낙동강하굿둑]]이 나오고 오른쪽이 하단오거리인데 통행량이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을숙도대교|바로 옆에 좋은 교량]]이 있지만 유료도로이고 그렇다고 [[서부산낙동강교|저 멀리 돌아서 가려니]]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사실 [[낙동강하굿둑|이 쪽]]도 여기 못지않게 헬게이트가...)]이 차들로 빽빽히 들어서 [[교통체증]]을 이루며 현재는 [[부산 도시철도 5호선]] 공사로 인해 더욱 심해졌다. * 위에 언급한 [[쇼핑몰]]&[[멀티플렉스]] [[CGV 하단아트몰링]]이 있는 아트몰링 개점과 더불어 [[2017년]] [[4월 20일]]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다대포]] 방면으로 가는 [[장림동]], [[다대동]] 주민들의 승차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덤으로 [[강서구(부산)|강서구]] 방면에서 [[낙동강하굿둑]]을 건너 하단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여 바로 갈 수 있기 때문에(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이용객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하단교차로에서 다대포로 가는 노선은 [[부산 버스 2|2번]], [[부산 버스 3|3번]], [[부산 버스 11|11번]], [[부산 버스 338|338번]]이 있는데 [[부산 버스 3|3번]]을 제외하고 세 노선 모두 하단역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을 미경유 한다. 특히 [[부산 버스 2|2번]]은 동아대랑 가락타운으로 빙빙 돌아가며 [[부산 버스 3|3번]]은 괴정으로 돌아갔으나 노선 조정으로 배고개를 경유하여 바로 다대동으로 간다! 3번의 노선 조정으로 인하여 1호선과의 이동 시간이 거의 비슷해졌다.] * 현재 [[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다대포해수욕장역]] 연장 개통 전까지는 거의 텅텅 비던 상행(신평~다대포) 방면 [[승강장]]이 연장개통 후에는 사람들로 가득 들어차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2018년 5월 28일 부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아트몰링"이라는 부역명이 새로 추가되었다. * 시내버스 영어방송이 약간 다르다. 다른곳은 지하철역 정류장 영어 방송은 00스테이션, 00스테이션 이러지만 이 곳만은 예외로 하단 써브웨이, 하단 써브웨이라고 방송을 한다.[* 실제로 68번의 행선지 표기가 "용당<>서면<>하단지하철역"으로 되어 있다.][* 다만 203번도 표지가 "산성<>식물원<>온천지하철"로 되있지만 한정면허 노선이니 예외.] * 5호선이 개통되었을 때, 출구가 추가로 지어질지 알 길이 없다. 조감도가 자세하게 나와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지어지고 있는 5호선 역사가 이미 존재하는 9, 10, 11, 12번 출구 근처에 지어져, 대합실만 선술한 출구들과 1호선 대합실 사이에 지어질지도 모른다. * 현재 부산시에서 추진 중인 동남권 급행철도인 [[BuTX]]가 이 역을 경유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 [[부산역]] - [[남포역(부산)|남포역]] - [[하단역]] 구간의 철도노선 계획은 '''[[1898년]]에도 제기된 적이 있다'''. 1998년이 아니라 1898년이 맞다.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한국의 철도왕이라 불렸던 박기종이 "한국이 살 길은 [[철도]]뿐"이라는 사명으로 [[고종(대한제국)|고종]] [[황제]]를 설득하여 [[https://www.mk.co.kr/news/economy/506512|부하철도주식회사]]를 설립하고 부하선(부산-하단선)을 착공하였다. 그러나 박기종의 부하선 사업은 [[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집요한 압박에 [[1901년]] 사업에 실패하고 만다. 당시의 부하선 계획의 경유지는 하단 - [[괴정역|괴정]] - 대신 - 남포 - 중앙동 - 부산역이었는데, 부산 1호선은 토성동을 거치고 대신동에 하나만 들어설 역을 [[서대신역]], [[동대신역]] 2개로 분할하고 [[당리역]]과 [[사하역]]을 추가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건설 중인 철도역]][[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분류:부산 도시철도 5호선]][[분류:사하구]][[분류:낙동대로(부산)]][[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