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브라함 계열의 종교의 유일신, rd1=야훼)] [목차] == 의미 ==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하느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1」 『종교 일반』 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 종교적 신앙의 대상으로서 각각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불가사의한 능력으로써 선악을 판단하고 길흉화복을 인간에게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제|상제(上帝)]]·상천(上天)·[[천공|천공(天公)]]·천제(天帝)·현제(玄帝)·황천(皇天). * 「2」 『[[가톨릭]]』 가톨릭에서, [[야훼|신봉하는 유일신]]. 천지의 창조주이며 전지전능하고 영원한 존재로서, 우주 만물을 섭리로 다스린다. ≒상주(上主)·[[주|주(主)]]·[[천주|천주(天主)]]. * 「3」 『[[기독교]]』 그리스 [[정교회]]와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일부 분파[* 현재 교단 차원에서 절대자를 칭할 때 '하느님'을 공식적으로 쓰고있는 프로테스탄트는 [[대한성공회]]가 유일하다. 개신교 중에서 매우 진보적이라고 여겨지는 [[향린교회]]에서는 [[하나님]]과 섞여 자주 사용되는 단어이다.]에서 ‘[[야훼|「2」]]’를 이르는 말. 요약해보자면, 「1」에서와 같이 특정 종교와 상관 없이 초월적인 절대자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고, 「2」와 「3」에서와 같이 그리스도교에서 숭배하는 유일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 특징 == ## 나무위키 문서에서 '개요' 문단을 제외한 문단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상세', '소개', '설명'이라는 문단명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우선합니다. '편집지침/일반 문서 3.서술 우선 순위' 참고. [include(틀:한국신화의 신들)] 원래는 토속 신앙의 [[하늘]]을 절대자로 여긴 경천사상에서 하늘 자체를 신격화한 '하늘님'에서 출발한다. 한국 [[무속]] 신앙의 '''일월성신'''(日月星辰)이나 '''천지신명'''(天地神明), [[천도교]]의 '''한울님'''(天主)이 이와 유사한 개념이다. 현대 표기인 하느님은 하늘님에서 'ㄹ'이 탈락된 결과인데 이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해님, 달님, 별님 등이 있다. 직역하면''' "하늘(천국)의 주인(지배자)"이라는 뜻'''(하늘 + -님)으로 사실 기독교에서 써도 그다지 논란이 없을 표현이긴 하다. "하늘"이란 단어는 동양권에서 신을 의미하는 전형적인 단어이니 사실 성경에서도 '''하늘에서부터 복을 내리신다.'''는 표현이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하늘은 "신"을 의미하는 개념이기는 했다. == 용어의 기원 == 오늘날 [[그리스도교]]에서 쓰이는 의미로써의 '하느님'은 [[19세기]]에 나타난 것이지만, 어휘 자체와 그것이 지칭하는 하늘님의 의미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또한 하늘님은 그리스도교의 신에게만 해당되는 표현이 아니라, 환인이나 천주, 상제를 비롯한 전통적인 신에게도 해당되는 표현이기 때문에 하늘님은 말 그대로 천신(天神)을 가리키는 말로 정착되었다. >ᄂᆞᆷ 모ᄅᆞᄂᆞᆫ 눈물을 天一方의 디이ᄂᆞ다 / 一生애 품은 ᄯᅳᆺ을 비옵ᄂᆞ다 '''하ᄂᆞ님'''아 >남 모르는 눈물을 하늘 끝에 지우누나 / 일생에 품은 뜻을 비옵니다 '''하느님'''이여 >---- >'''《노계집(蘆溪集) 권3》 〈노계가(1636)〉, 박인로''' '''[[http://db.itkc.or.kr/dir/item?itemId=MO#/dir/node?dataId=ITKC_MO_0270A_0050_010_0080&solrQ=query%E2%80%A0%EB%85%B8%EA%B3%84%EA%B0%8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MO_AA$solr_toalCount%E2%80%A014$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GS_ITKC_MO_0270A_0050_010_0080|출처]]''' [[조선]] 중기의 [[시인(문학)|시인]] 이자 호는 노계(盧溪)인 박인로(朴仁老, 1561~1642)가 [[1636년]]경에 쓴 노계가(蘆溪歌)에서도 "하느님"에 해당하는 표현이 확인되는데, '비옵ᄂᆞ다 하ᄂᆞ님아(비옵니다 하느님이여)'라는 구절이 존재한다. == 그리스도교에서의 차용 == [include(틀:하느님과 하나님)] 유일신교에서는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숭배 대상인 유일신([[야훼]])을 뜻하는 단어로도 쓰이는데, [[한국 가톨릭]](천주교) / [[정교회]] / [[콥트 정교회]] / [[대한성공회]](특히 [[1977년]] 공동번역 / [[여호와의 증인]] / [[바하이 신앙|바하이]]에서는 하느님이라는 표현을 쓰고, [[대한성공회]]를 제외한 [[한국의 개신교|개신교]]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 [[이슬람]]에서는 [[하나님]]이라는 표현을 쓴다. 이렇게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하느님 표현은 언어적 기원이 윗 문단과 같을 뿐, [[토테미즘]]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단어다. 토테미즘은 사물에 신이 깃들어 있다는 신앙이며, 기독교에서의 하느님은 위 단어를 차용해 그들의 신인 [[야훼]]를 지칭하는 표현이지 하늘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일부 개신교인들은 [[애국가]]의 '하'''느'''님이 보우하사' 부분을 '하'''나'''님이 보우하사'로 부르기도 한다.[* 특히 침례교, 일부 장로회와 같이 반가톨릭 성향이 강한 교단] 과거 아래아로 발음하던 것의 영향으로 '하나님'과 '하느님'은 의외로 발음이 비슷하다. 그러다 보니 하나님으로 바꿔 불러도 티가 별로 안 난다. 현 정부는 애국가의 하느님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절대자인 [[야훼]]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사실 작사자로 추정되는 [[윤치호]]나 [[안창호]]가 독실한 개신교인이었으므로 기독교의 유일신 [[야훼]]를 염두에 두고 가사를 썼을 확률이 높다. 실제로 윤치호가 해방 직후 수기로 남긴 애국가 가사지에는 “'''하나님'''이 보호하사”로 명백하게 기재되어 있다. 작곡가 [[안익태]]의 모교인 개신교계 미션스쿨인 [[숭실대학교]]에서도 “하느님이 보우하사” 부분을 주선율 악보와 함께 “'''하나님'''이 보우하사”라는 가사로 학교 건물 외벽에 장식해 놓았던 사실도 있다. 하느님은 "하느님이 보우하사"의 하늘님으로 대표되는 경천사상에 근거한 전통적인 하느님과, [[야훼]]를 의미하는 하느님(또는 하나님)으로 구분되며, 전통적인 하느님은 인격신이 아닌, 천지신명같이 좀 더 포괄적인 신성(神性)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어사전이 정의한 표현 자체는 인격신을 뜻하는 것으로도 해석이 돼서 전통적인 하느님보다는 기독교의 하느님에 좀 더 가깝다는 지적도 있다. 물론 경천사상에 근거한 전통적인 하늘님이 "초월적이며 궁극적인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기독교의 하느님 개념 또한 인격신이지만 동시에 그런 개념들을 넘어서는 "초월적이며 궁극적인 존재"라고 할 수밖에 없으니, 이 둘이 다르다고 하는 건 결국 [[모순]]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이 둘을 다르다고 주장하게 되면 결국 유일신 사상을 부정하게 되는 모습이 된다.[* 이런 견해는 사실 [[바뤼흐 스피노자]]로 대표되는 [[범신론]] 사상과 다소 관련이 있다.] 1992년 [[불교]] 미륵종의 한 분파인 '한세계인류성도종' 종파의 대표인 정근철이라는 사람이 법원에 고소장을 제출했는데, 원래 ‘하느님’이란 명칭은 한민족의 것인데 그동안 기독교에서 허락도 없이 로열티도 내지 않고 무단으로 써왔기 때문에 보상금으로 1억을 내라고 재판을 신청했다. 죄목은 ‘한민족 하느님 도용죄’였다. 이것이 일명 ‘하느님 이름 도용 사건’이다. 이에 대해 법원은 "‘하느님’이 기독교의 것이어서가 아니라, ‘하느님’은 ‘누구나’ 쓸 수 있는 고유명사여서 기독교에서도 쓸 수 있으니, 보상금 1억을 줄 필요가 없다"고 하면서 고소를 기각하였다. === [[하느님과 하나님]]의 차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느님과 하나님)] 어원적으로 유래는 하늘+님으로, 같은 단어이나 방언의 차이로 갈라진 것이다. == 여담 == [[2000년대]] 후반부터 이 단어를 살짝 변형한 '[[허느님]]'이라는 [[신조어]]가 유행한 뒤로 '[[느님]]'이라는 [[인터넷 은어]] [[접미사]]가 활용되기 시작한다. 해당 문서로. 일본어로는 카미사마(神様)로 번역되는데, 이걸 국내에서 '신님'이라고 직역을 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분류:신]][[분류: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