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나뿐인 내편/등장인물)] || [[하나뿐인 내편|[[파일:하나뿐인 내편 로고(백).png|width=93]]]] '''{{{#ffffff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include(틀:1990년대 이후 한국 TV 드라마 시청률 TOP 100)] ---- [include(틀:KBS 주말 드라마(2016~2020))] ---- [include(틀:김사경/작품 목록)] ---- [include(틀:한국인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2010년대))] }}} || ||<-3> '''[[KBS 2TV|{{{#fff KBS 2TV}}}]] [[주말 드라마|{{{#fff 주말 드라마}}}]]'''[br] '''하나뿐인 내편 '''(2018~2019)[br]''My Only On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admin.s3-website.ap-northeast-2.amazonaws.com/2018/9/6/1536223210341_146174.jpg|width=100%]]}}} || ||<-2>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000000 15세 이상 시청가}}}]]''' || ||<-2> '''방송 시간''' ||[[토요일]], [[일요일]] 오후 7시 55분 ~ 9시 15분 || ||<-2> '''방송 기간''' ||[[2018년]] [[9월 15일]] ~ [[2019년]] [[3월 17일]][* 여담으로 6년 전에 방영된 주말 드라마 [[내 딸 서영이]]가 첫 방송을 한 날과 동일한 날에 시작하여 전작인 [[같이 살래요]]가 첫 방송을 한 날과 동일한 날에 종영했다.] || ||<-2> '''방송 횟수''' ||106부작[* 80분 기준으로 53부작이다.] || ||<-2> '''제작''' ||DK E&M || ||<-2> '''채널'''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55]]]] || ||<-2> '''방송사''' ||[[KBS drama|[[파일:KBS drama 로고.svg|width=60]]]] | [[KBS W|[[파일:KBS W 로고.svg|width=60]]]] → [[KBS Story|[[파일:KBS Story 로고.svg|width=60]]]] | [[KBS 월드|[[파일:KBS 월드 로고.svg|width=60]]]] || ||<|3> '''제[br]작[br]진''' || '''제작''' ||김동구 || || '''연출''' ||홍석구[* [[힘내요 미스터 김]], [[골든 크로스(드라마)|골든 크로스]], [[완벽한 아내]]] || || '''극본''' ||[[김사경]][* [[미우나 고우나(KBS)|미우나 고우나]], [[천만번 사랑해]], [[오자룡이 간다]], [[장미빛 연인들]], [[불어라 미풍아]], [[신사와 아가씨]]] || ||<-2> '''출연''' ||[[최수종]], [[유이(배우)|유이]], [[이장우(배우)|이장우]] 外 || ||<-2> '''차량 협찬''' ||[[볼보|[[파일:Volvo Cars Logo.png|width=35]]]] || ||<-2> '''링크''' ||[[http://program.kbs.co.kr/2tv/drama/myonlyon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tv.naver.com/kbs.onlyone201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4]]]] |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myside|[[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28년 만에 나타난 [[김도란|친부로 인해 인생이 꼬여버린 한 여자]]와 [[강수일(하나뿐인 내편)|정체를 숨겨야만 했던 그녀의 아버지]]가 ‘세상 단 하나뿐인 내편’을 만나며 삶의 희망을 되찾아가는 과정을 그려내는 드라마 [[2018년]] [[9월 15일]]부터 [[2019년]] [[3월 17일]]까지 [[같이 살래요]]의 후속으로 방영한 [[KBS 2TV 주말 드라마]]. == 기획의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program.s3-website.ap-northeast-2.amazonaws.com/t2018-0465/2018/9/6/1536221222630_145981.jpg|width=100%]]}}} '''사람 사는 세상에''' 아름다운 일만 있으면 좋으련만, '''때때로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끔찍한 범죄가 일어나기도 한다.''' 하루아침에 피해자 가족의 삶은 산산조각이 나고 '''사람들은 분노한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죄는 미워해도 인간은 미워하지 말자]]는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 '''죄를 지은 자는 마땅히 벌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범죄자의 가족이란 이유만으로 세상의 편견, 멸시라는 보이지 않는 감옥 속에서 고통받는 게 과연 마땅한가라는 질문을 던져보고자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재미있고 버라이어티하다.''' '''비극적이고 끔찍한 사건이 뉴스에 도배가 되어도''' 한쪽에서는 새 생명이 태어나고 돌잔치를 한다. 결혼식을 하고, 부케를 받으려다 넘어지는 들러리 아가씨를 구하기 위해 어떤 멋진 총각이 슬라이딩을 하며 몸을 던지고. 그러면 사람들은 결혼식장이 떠나가라 '''즐겁게 웃으며 박수를 친다.''' 한 쌍의 신랑 신부는 그렇게 또 행복한 새 출발을 한다. '''사실 오랫동안 우리는 그렇게 살아왔다.''' 어떠한 비극이 우리를 덮쳐 와도 그보다 더 큰 용기와 사랑으로 희망의 역사를 만들어 왔다. '''우리의 주인공도 그럴 것이다.''' “네 잘못이 아니야” 그녀의 손을 놓지 않는 단 한 사람. 이 지구가 깨진대도 네 편이 돼줄 거라는 단 한 사람. 사랑이 그녀에게 용기도 주고 희망도 줄 것이다. 그 사랑의 힘으로 '''깨져버린 삶'''의 조각'''을''' 하나하나 맞추며 '''[[김도란|꿋꿋하게 살아내는 한 여자]]의 이야기를 통해''' 그래도 '''인생은 아름다운 길이란 걸 보여주고자 한다.''' || || [[https://program.kbs.co.kr/2tv/drama/myonlyone/pc/index.html|[[파일:하나뿐인 내편 로고(백).png|width=90]] {{{#ffffff {{{-2 공식 홈페이지}}}}}}]] || == 상세 정보 == 이 작품부터 KBS의 주말 드라마도 [[중간광고#s-3.1|1회 분량을 둘로 나눠 중간에 광고를 집어넣는 변칙 편성]]을 적용하였다.[* 이로서 지상파의 회당 70분 이상의 드라마중 변칙편성을 적용하지 않은 드라마는 없어졌다. 굳이 따지자면 [[KBS 드라마 스페셜]]정도만 남았는데 이쪽은 한 회 완결의 단막극인지라 굳이 변칙편성을 할 가능성은 적다. 아침 드라마, 일일 드라마의 경우 원래부터 회당 30분 편성인지라 논외.] 따라서 100부작에서 6회 연장되어 106부작으로 편성은 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50부작에서 3회 연장되어 53부작으로 보아야 하고 기사도 일반적으로 그렇게 나간다.[* 원래는 100부작, 80분 기준으로 50부작이었으나, 연장되었다.] 소재부터 배우들까지 [[아침 드라마]]에 맞먹는 클래식 [[막장 드라마]] 겸 KBS [[주말 드라마]]다. 그런데 오히려 변종 막장 드라마 속에서 클래식한 막장이다 보니 나름 호응이 괜찮은 편. 5분만 봐도 마지막 회까지 줄거리가 그려지고 심지어 중간에 몇 회 빼먹고 안 봐도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다 알 수 있기 때문에, 막장임에도 마음 비우고 편안하게 볼 수 있게 돼 버렸다. 소재 자체는 나름대로 깊게 생각할 여지가 충분한 작품이다. 착하고 속 깊은 사람이지만 두 명을 살해하고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다가 출소한 인물이[* 드라마 흐름 상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이 누명을 썼을 확률도 높다.][*스포일러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이 죽였다고 알려져 있던 인물 중 사채업자는 사실 살아있었다.] 딸의 근처를 맴돌게 되고, 하필이면 자신이 죽인 피해자 중 한 명의 가족과 만나게 된다.[* 사실 그의 아버지를 죽인 진범은 사채업자 [[양영달]]으로, 기절해버린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에게 누명을 씌운 것이었다.] 가족을 잃고 한맺힌 삶을 살았을 피해자 가족의 분노와 증오, 이를 받아들이는 가해자와 연좌 때문에 2차 피해를 받게 되는 가해자의 가족 등 작품에 잘 활용할 수 있는 요소가 많지만 문제는 '''[[김사경|작가]]가 [[막장 드라마]] 전문 작가'''라서 그저 그런 고구마 처먹는 개막장 드라마가 되어가고 있다는 거다. 극 진행 절반에 다다른 현재 기준으로 보면 작가의 전작들에 비하여 의외로 막장도는 덜한 편이다. [[소양자]]나 [[장다야]] 같은 발암 캐릭터가 있긴 하지만, 전작들의 [[악역]]들에 비해선 [[임팩트]]나 악행 수위가 현저히 낮기 때문. 거기에 중견 배우들의 탄탄한 연기력이 시청자의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특히 [[오은영(하나뿐인 내편)|오은영]]을 연기하는 [[차화연]]의 연기력에 호평이 많다. 자칫 밉상으로만 전락할 수 있는 [[캐릭터]]를 다방면으로 해석해 연기하는 덕분에 귀여운 매력부터 현실적인 공감까지 자아내는 중.] 하지만 이후 스토리가 진행됨에 따라 작가의 진면목이 발휘되기 시작해 점점 막장도가 강해진다.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시청률 40%를 넘은 마지막 드라마이다.'''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QuTQAIRNK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uapLPCo5Y4)]}}} || || '''1차 티저''' || '''2차 티저'''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opstarnews.net/news/photo/201808/472141_127660_24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img.donga.com/wps/SPORTS/IMAGE/2018/08/31/91764742.1.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admin.s3-website.ap-northeast-2.amazonaws.com/2018/9/6/1536223210341_146174.jpg|width=100%]]}}} || ||<-2> '''공식 3종 포스터''' || === 메이킹 === 드라마가 시청률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이에 편승하려는지 1월말부터 KBS의 유튜브 채널 (KBS 안테나, mylovekbs)이 1주일 간격으로 메이킹 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ppuBtjfNwiQ|메이킹 영상 1]] * [[https://www.youtube.com/watch?v=M5RYYLt4ZWg|메이킹 영상 2]] * [[https://www.youtube.com/watch?v=7IJCoxkP9dk&t=44s|메이킹 영상 3]] * [[https://www.youtube.com/watch?v=yW1EVO8akwA|메이킹 영상 4]] == [[하나뿐인 내편/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하나뿐인 내편/등장인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나뿐인 내편/등장인물)] === 인물관계도 === ||
'''{{{#ffffff [[하나뿐인 내편|[[파일:하나뿐인 내편 로고(백).png|width=93]]]] 인물관계도}}}''' || ||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물관계도.하나뿐인 내편,.jpg|width=100%]]}}} || }}}}}} || == 시청률 추이 == * {{{#red 빨간색}}}은 '최고 시청률', {{{#blue 파란색}}}은 '최저 시청률'. * 시청률은 [[닐슨]] 전국 시청률 기준. ||
{{{#FFFFFF '''EP.''' }}} || {{{#FFFFFF '''회차''' }}} || {{{#FFFFFF '''방영일'''}}} || {{{#FFFFFF '''시청률'''}}} || {{{#FFFFFF '''통합'''}}} || ||<|2> '''1''' || 1회 ||<|2> 2018.09.15. || 21.2% ||<|2> 22.75% || || 2회 || 24.3% || ||<|2> '''2''' || 3회 ||<|2> 2018.09.16. || 22.8% ||<|2> 24.2% || || 4회 || 25.6% || ||<|2> '''3''' || 5회 ||<|2> 2018.09.22. || {{{#blue 17.2%}}} ||<|2> 19.35% || || 6회 || 21.5% || ||<|2> '''4''' || 7회 ||<|2> 2018.09.23. || 17.6% ||<|2> '''{{{#blue 19.1%}}}''' || || 8회 || 20.6% || ||<|2> '''5''' || 9회 ||<|2> 2018.09.29. || 21.8% ||<|2> 24.45% || || 10회 || 27.1% || ||<|2> '''6''' || 11회 ||<|2> 2018.09.30. || 25.5% ||<|2> 27.4% || || 12회 || 29.3% || ||<|2> '''7''' || 13회 ||<|2> 2018.10.06. || 24.7% ||<|2> 26.0% || || 14회 || 27.3% || ||<|2> '''8''' || 15회 ||<|2> 2018.10.07. || 25.0% ||<|2> 27.2% || || 16회 || 29.4% || ||<|2> '''9''' || 17회 ||<|2> 2018.10.13. || 21.6% ||<|2> 23.75% || || 18회 || 25.9% || ||<|2> '''10''' || 19회 ||<|2> 2018.10.14. || 26.1% ||<|2> 28.1% || || 20회 || 30.1% || ||<|2> '''11''' || 21회 ||<|2> 2018.10.20.[* 2018년 [[KBO 리그/2018년 포스트시즌|KBO 리그 준플레이오프 2차전]] [[넥센 히어로즈]] VS [[한화 이글스]] 중계방송으로 인해 평소보다 30분 정도 늦은 저녁 8시 20분부터 방영되었다.] || 24.9% ||<|2> 25.3% || || 22회 || 25.7% || ||<|2> '''12''' || 23회 ||<|2> 2018.10.21. || 27.1% ||<|2> 29.15% || || 24회 || 31.2% || ||<|2> '''13''' || 25회 ||<|2> 2018.10.27. || 23.1% ||<|2> 25.5% || || 26회 || 27.9% || ||<|2> '''14''' || 27회 ||<|2> 2018.10.28. || 27.6% ||<|2> 30.1% || || 28회 || 32.6% || ||<|2> '''15''' || 29회 ||<|2> 2018.11.03. || 25.8% ||<|2> 27.7% || || 30회 || 29.6% || ||<|2> '''16''' || 31회 ||<|2> 2018.11.04. || 28.5% ||<|2> 30.9% || || 32회 || 33.3% || ||<|2> '''17''' || 33회 ||<|2> 2018.11.10. || 23.9% ||<|2> 26.35% || || 34회 || 28.8% || ||<|2> '''18''' || 35회 ||<|2> 2018.11.11. || 28.4% ||<|2> 30.75% || || 36회 || 33.1% || ||<|2> '''19''' || 37회 ||<|2> 2018.11.17. || 26.7% ||<|2> 28.45% || || 38회 || 30.2% || ||<|2> '''20''' || 39회 ||<|2> 2018.11.18. || 28.7% ||<|2> 31.3% || || 40회 || 33.9% || ||<|2> '''21''' || 41회 ||<|2> 2018.11.24.[* [[2018년]] [[11월 24일]] 발생한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로 [[KT]] 망을 사용하는 시청률 조사기관인 [[닐슨]] 또한 피해를 입어 24일부터 27일까지의 시청률은 28일에서야 공개되었다.] || 26.2% ||<|2> 29.0% || || 42회 || 31.8% || ||<|2> '''22''' || 43회 ||<|2> 2018.11.25.[br] || 30.7% ||<|2> 32.75% || || 44회 || 34.8% || ||<|2> '''23''' || 45회 ||<|2> 2018.12.01.[br] || 26.2% ||<|2> 28.6% || || 46회 || 31.0% || ||<|2> '''24''' || 47회 ||<|2> 2018.12.02.[br] || 31.5% ||<|2> 31.5% || || 48회 || 36.3% || ||<|2> '''25''' || 49회 ||<|2> 2018.12.08. || 26.2% ||<|2> 28.5% || || 50회 || 30.8% || ||<|2> '''26''' || 51회 ||<|2> 2018.12.09. || 31.3% ||<|2> 33.7% || || 52회 || 36.1% || ||<|2> '''27''' || 53회 ||<|2> 2018.12.15. || 26.6% ||<|2> 29.1% || || 54회 || 31.6% || ||<|2> '''28''' || 55회 ||<|2> 2018.12.16. || 32.1% ||<|2> 34.15% || || 56회 || 36.2% || ||<|2> '''29''' || 57회 ||<|2> 2018.12.22. || 28.1% ||<|2> 30.9% || || 58회 || 33.7% || ||<|2> '''30''' || 59회 ||<|2> 2018.12.23. || 32.5% ||<|2> 34.65% || || 60회 || 36.8% || ||<|2> '''31''' || 61회 ||<|2> 2018.12.30.[* 29일은 본방 대신 스페셜 방송을 편성했다. 스페셜 시청률은 19.6%, 18.7%] || 31.7% ||<|2> 33.8% || || 62회 || 35.9% || ||<|2> '''32''' || 63회 ||<|2> 2019.01.05. || 29.2% ||<|2> 32.0% || || 64회 || 34.8% || ||<|2> '''33''' || 65회 ||<|2> 2019.01.06. || 32.4% ||<|2> 35.05% || || 66회 || 37.7% || ||<|2> '''34''' || 67회 ||<|2> 2019.01.12. || 30.8% ||<|2> 33.0% || || 68회 || 35.2% || ||<|2> '''35''' || 69회 ||<|2> 2019.01.13. || 35.1% ||<|2> 38.35% || || 70회 || 41.6% || ||<|2> '''36''' || 71회 ||<|2> 2019.01.19. || 32.5% ||<|2> 34.8% || || 72회 || 37.1% || ||<|2> '''37''' || 73회 ||<|2> 2019.01.20. || 35.2% ||<|2> 38.1% || || 74회 || 41.0% || ||<|2> '''38''' || 75회 ||<|2> 2019.01.26. || 32.2% ||<|2> 34.9% || || 76회 || 37.6% || ||<|2> '''39''' || 77회 ||<|2> 2019.01.27. || 35.5% ||<|2> 37.7% || || 78회 || 39.9% || ||<|2> '''40''' || 79회 ||<|2> 2019.02.02. || 31.3% ||<|2> 34.4% || || 80회 || 37.5% || ||<|2> '''41''' || 81회 ||<|2> 2019.02.03. || 34.7% ||<|2> 37.0% || || 82회 || 39.3% || ||<|2> '''42''' || 83회 ||<|2> 2019.02.09. || 32.0% ||<|2> 34.45% || || 84회 || 36.9% || ||<|2> '''43''' || 85회 ||<|2> 2019.02.10. || 35.3% ||<|2> 36.85% || || 86회 || 38.4% || ||<|2> '''44''' || 87회 ||<|2> 2019.02.16. || 31.8% ||<|2> 34.75% || || 88회 || 37.7% || ||<|2> '''45''' || 89회 ||<|2> 2019.02.17. || 37.6% ||<|2> 40.1% || || 90회 || 42.6% || ||<|2> '''46''' || 91회 ||<|2> 2019.02.23. || 33.8% ||<|2> 36.55% || || 92회 || 39.3% || ||<|2> '''47''' || 93회 ||<|2> 2019.02.24. || 39.7% ||<|2> 42.15% || || 94회 || 44.6% || ||<|2> '''48''' || 95회 ||<|2> 2019.03.02. || 34.9% ||<|2> 37.85% || || 96회 || 40.8% || ||<|2> '''49''' || 97회 ||<|2> 2019.03.03. || 41.4% ||<|2> 43.8% || || 98회 || 46.2% || ||<|2> '''50''' || 99회 ||<|2> 2019.03.09. || 37.6% ||<|2> 40.25% || || 100회 || 42.9% || ||<|2> '''51''' || 101회 ||<|2> 2019.03.10. || 44.1% ||<|2> '''{{{#red 46.75%}}}''' || || 102회 || {{{#red 49.4%}}} || ||<|2> '''52''' || 103회 ||<|2> 2019.03.16. || 37.6% ||<|2> 40.7% || || 104회 || 43.8% || ||<|2> '''53''' || 105회 ||<|2> 2019.03.17. || 42.8% ||<|2> 45.85% || || 106회 || 48.9% || ||<-3> '''평균 시청률''' ||<-2> '''32.2%''' || >'''[[2019년]] 시청률 1위''' >'''역대 [[KBS]] 드라마 시청률 9위''' >'''[[2010년대]] 시청률 4위'''[*통합시청률기준] * 초반에 [[시청률]]이 10% 후반까지 떨어졌지만, 이건 [[추석]]의 영향이 컸고[* 비단 이 [[드라마]] 뿐만 아니라 추석 연휴 동안 정상 방영한 몇몇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평소보다 낮게 나왔다.], 이후 금방 시청률을 회복해 20회[* 80분 방영 기준으로 10회.]에서 30%를 넘기며 역시 KBS [[주말 드라마]]는 전통의 [[철밥통]]임을 입증하고 있다. 38회 이후로는 토요일 시청률도 30%를 돌파하는 등 순조롭게 시청률이 올라가고 있다. 그리고 더 막장이 되면서 70회에서 기어코 40%대도 돌파했다. 그 이후로는 절정에 치다르고 있는 전개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다가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의 살인 전과가 모든 등장인물에게 밝혀진 87회를 기점으로 다시 시청률이 상승했고 4주 연속으로 시청률이 오르고있다. 최수종이 공약한 45%도 넘으면서 황금빛 내 인생의 시청률을 갱신했고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구미시]]에선 98회 시청률이 52.4%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로써 [[제빵왕 김탁구]] 이후로 사라진 시청률 50%의 벽을 9년 만에 넘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제 종영을 1주 남기고 50%를 넘길 수 있을지 기대되었다. 0.6% 부족한 49.4%도 나왔었기 때문. 통합 시청률로 보면 현재까지 최고는 46.75%로 [[가족끼리 왜 이래]]와 [[황금빛 내 인생]], [[넝쿨째 굴러온 당신]]을 넘겨서 2010년대 KBS 주말 드라마 3위에 올랐다. 이보다 더 높은 시청률은 [[왕가네 식구들]]과 [[내 딸 서영이]]뿐이다. 그러나 마지막회 방영 주간에 오히려 탄력을 받지 못해 결국 50%의 벽은 넘지 못한 채 종영되었다. * 여담으로, 출연 배우들이 시청률로 내기 중이라고 2019년 [[3월 7일]] [[해피투게더(KBS)/4기|해피투게더 시즌4]]에서 출연진들이 밝혔다. 시청률 최고로 말한 배우는 [[최수종]]으로, 48%. 49.4%를 기록했다. * 사실상 KBS 주말 드라마에서 마지막으로 통합 시청률 40%를 넘겼다.[* 같은 작가의 후속작인 [[신사와 아가씨]]가 최고 시청률이 38%대로 근접하게 나오기는 했다. 작가가 중후반에 큰 삽질만 안했어도 충분히 넘겼을 거라는게 중론.] == OST == ||<:>
{{{#646464 '''파트'''}}} ||<:>{{{#646464 '''발매일'''}}} ||<:>{{{#646464 '''곡명'''[* 리메이크 곡에 '''볼드'''처리]}}} ||<:>{{{#646464 '''아티스트'''}}} || ||<:> 1부 ||<:> 2018년 9월 22일 ||<|2><:>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이승철]]의 곡을 리메이크.] ||<:> [[울랄라세션]] || ||<:> 2부 ||<:> 2018년 9월 29일 ||<:> [[승희]] || ||<:> 3부 ||<:> 2018년 10월 6일 ||<:> '''[[아로하(노래)|아로하]]'''[* [[쿨(혼성그룹)|쿨]]의 곡을 리메이크.] ||<:> [[이민혁(1994)|이민혁]][* 94년생 인디가수이며, [[비투비]]의 [[이민혁(비투비)|이민혁]]과는 동명이인.] || ||<:> 4부 ||<:> 2018년 10월 13일 ||<:> 인연이라 말합니다[* 이전 OST들과는 달리 리메이크 곡이 아니다.] ||<:> [[이세준]] || ||<:> 5부 ||<:> 2018년 10월 20일 ||<:> '''사랑하고 있습니다'''[* 드라마 [[굿닥터]]의 삽입곡 [[투빅]]의 곡을 리메이크.] ||<:> [[효정]][* 2번째 OST의 주인공 [[승희]]과 더불어 [[오마이걸]] 멤버 [[효정]]이 이 드라마 OST의 5번째 주인공이다. ~~음악감독님 오마이걸 팬이신듯~~][* 30화에서 김도란과 왕대륙의 데이트 중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장면에서 [[오마이걸]]의 [[불꽃놀이]]가 배경음악에서 사용되었다. 이 노래가 공개된지 1달 반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된 것으로 보아.. 게다가 2018년 12월 29일 스페셜 방송에서는 WINDY DAY와 한 발짝 두 발짝이 사용되었다. 이 노래는 2년이 넘었는데도 사용된 것으로 보아.. ~~음악감독님은 진짜 오마이걸 팬인 듯 하다..~~ ~~[[WM엔터테인먼트]] 소속일지도~~] || ||<:> 6부 ||<:> 2018년 10월 26일 ||<:> [[하나뿐인 내편 OST Part.6|Fall in Love]][* 역시 리메이크 곡이 아니다.] ||<:> [[송하영]] || ||<:> 7부 ||<:> 2018년 10월 28일 ||<:> '''장미의 미소'''[* 신인수의 곡을 리메이크.] ||<:> [[엘리(위키미키)|엘리]] || ||<:> 8부 ||<:> 2018년 11월 3일 ||<:> 사랑하며 살수있다 ||<:> 진원 || ||<:> 9부 ||<:> 2018년 11월 10일 ||<:> '''사랑해도 될까요'''[* [[유리상자]]의 노래를 리메이크했다.--공교롭게도 [[이세준|원곡 가수]]도 이 드라마 OST에 참여했다.--] ||<:> [[송주희]] || ||<:> 10부 ||<:> 2018년 11월 11일 ||<:> 네 편이 되어줄게 ||<:> [[히키]] || ||<:> 11부 ||<:> 2018년 11월 17일 ||<:> 하루만 내게 줘 ||<:> [[알리(가수)|알리]] || ||<:> 12부 ||<:> 2018년 11월 18일 ||<:> '''사랑합니다'''[* [[이재훈]]의 노래를 리메이크했다.] ||<:> [[소향]] || ||<:> 13부 ||<:> 2018년 11월 24일 ||<:> All about you ||<:> U-mb5 || ||<:> 14부 ||<:> 2018년 11월 25일 ||<:> 아빠가 딸에게(To.jia) ||<:> [[변진섭]] || ||<:> 15부 ||<:> 2018년 12월 1일 ||<:> 기다릴 수 없어 ||<:> [[제이세라]] || ||<:> 16부 ||<:> 2018년 12월 2일 ||<:> 매일 사랑 매일 이별 매일 그리움 ||<:> [[조성모]] || ||<:> 17부 ||<:> 2018년 12월 9일 ||<:> '''살기 위해서'''[* [[노을(보컬그룹)|노을]]의 노래를 리메이크했다.] ||<:> 반광옥 || ||<:> 18부 ||<:> 2018년 12월 16일 ||<:> '''그 이유가 내겐 아픔이었네'''[* [[이지연(1970)|이지연]]의 노래를 리메이크.] ||<:> [[계피(가수)|계피]] || ||<:> 19부 ||<:> 2018년 12월 23일 ||<:> 사랑이 서툴러 이별도 몰랐어 ||<:> [[영지(가수)|영지]] || ||<:> 20부 ||<:> 2018년 12월 29일 ||<:> 하나뿐인 내편 ||<:> 임재현 || ||<:> 21부 ||<:> 2018년 12월 30일 ||<:> 벽 ||<:> [[숙희]] || ||<:> 22부 ||<:> 2019년 1월 6일 ||<:> All About You (Feat. RAMINU) ||<:> U-mb5 || ||<:> 23부 ||<:> 2019년 1월 12일 ||<:> 시간이 지나고 지나면 ||<:> [[여은]] || ||<:> 24부 ||<:> 2019년 1월 13일 ||<:> 눈물 날듯해 ||<:> [[이장우(배우)|이장우]] || ||<:> 25부 ||<:> 2019년 1월 20일 ||<:> '''너무 늦었잖아요'''[* [[변진섭]]의 노래를 리메이크했다.] ||<:> [[송하예]]|| ||<:> 26부 ||<:> 2019년 1월 27일 ||<:> 사랑 못해 ||<:> [[이수영(가수)|이수영]] || ||<:> 27부 ||<:> 2019년 2월 3일 ||<:>그 사람 내꺼라 ||<:> [[브이원]] || ||<:> 28부 ||<:> 2019년 2월 5일 ||<:> 내 삶의 전부 (Song By MJ Of ASTRO) ||<:> [[MJ(ASTRO)|MJ]] || ||<:> 29부 ||<:> 2019년 2월 10일 ||<:> 그리워 운다 ||<:> 박혁진 || ||<:> 30부 ||<:> 2019년 2월 24일 ||<:> 그댄 내 맘 모르죠 이렇게 아픈데 ||<:> [[디셈버#s-3.2|윤혁]] || ||<:> 31부 ||<:> 2019년 3월 2일 ||<:> 바람처럼 지나간 ||<:> [[황인욱]] || ||<:> 32부 ||<:> 2019년 3월 3일 ||<:> Love Is Wonderful Thing ||<:> [[참깨와 솜사탕]] || ||<:> 33부 ||<:> 2019년 3월 16일 ||<:> '''인연이라 말합니다 (Woman ver.)''' ||<:> [[송하예]] || ||<:> 34부 ||<:> 2019년 3월 17일 ||<:> 그대만을[* 극 중에서 나온적은 없다. 최종화 방영 일 발매되었으니..] ||<:> [[허영생]] || ||<:><-4>{{{#646464 리메이크 곡에 '''볼드'''처리}}} || * 드라마계가 과거 노래의 리메이크곡을 OST로 쓰는 성향이 강해지고 있는 만큼 이 드라마 역시 OST의 상당수가 리메이크곡이다. * OST가 34개로 [[꽃길만 걸어요]]와 공동으로 세 번째로 많은 OST를 가지고 있는 드라마이다. [[누가 뭐래도]]가 36개로 가장 많은 OST를 가지고 있으며, [[끝까지 사랑]]은 33개로 네 번째로 많은 OST를 가지고 있다. == 평가 == * 여타 드라마들과 다르게 [[장다야]]를 제외한 악역들이 시청자들의 공감을 받고, 도리어 착하다고 할 수 있는 캐릭터들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서, [[오은영(하나뿐인 내편)|오은영]] 같은 경우는 초반까지만 해도 그냥 나쁜 시어머니 빌런 취급이었다가 최근 들어서는 굉장히 현실적인 캐릭터이며 제일 불쌍한 캐릭터라며 등장인물들 중 독보적인 팬덤을 형성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나무위키]]에서도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과 [[김도란]]을 제치고 가장 빠르게 개인 문서가 작성되었다!] 그냥 주인공 막으면 무조건 빌런이라며 미움을 받는 게 얼마 전인 것을 생각하면 경이로운 일이라고 볼 수 있을 듯. 반대로 이 작품에서 너무 착한 나머지 [[호구(유행어)|호구]]라고까지 불리는 김도란 같은 경우는 고구마라 비판받고 있으며, 중반부를 넘어서자 또다른 주인공인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마저 발암 캐릭터라며 욕을 먹고 있다. 최근에는 이 둘을 합해 부녀사기단(...)이라는 멸칭마저 생길 정도로 주인공들도 하나같이 욕을 먹는다. 그리고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의 정체에 대해 알고 있다 보니 어떻게든 도와주고 싶다며 오지랖을 부리는 [[금옥]]은 이견마저 거의 없이 최악의 발암캐릭터라 비판받았다. * 초반에 공개된 설정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초반에는 [[아버지가 이상해|살인자인 아버지]]와 [[내 딸 서영이|아버지의 잘못된 실수로 인해서 험난한 인생을 살아온 딸의 대립]] 같은 것을 목표로[* 실제로 이렇게 갔다면 하나뿐인 내편은 피카레스크 복수극이 되었을 확률도 높다. KBS 주말 드라마에 내보내기엔 무리가 있다.][* 이 드라마가 끝나고 1년뒤 김순옥 작가의 드라마에서 이 설정과 비슷하게 적용된 [[오윤희|캐릭터]]가 등장하게 되는데 원래는 [[민설아|큰 살인사건]]의 진범은 아니었으나 진범으로 바뀌었고 원래 진범이었다 진범이 아니게 된 강수일과는 안티테제적 성격을 띄고 있다.] 한 것으로 보였으나 작품이 가면 갈수록 오히려 떠나려고 하는 아버지를 딸이 붙잡는 모양새가 되면서, 배우들의 캐릭터 해석 문제보다는 대본의 문제라고 보는 시선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원래는 [[오은영(하나뿐인 내편)|오은영]]이란 캐릭터가 그냥 악역들의 꼭두각시 캐릭터로 쓰려고 하다가 오히려 팬들에게 인기를 너무 얻다 보니 단순 꼭두각시 캐릭터가 아닌 개념캐로 만들려고 하다가 일어난 사태라 보는 시선들도 있다. * 김도란과 왕대륙이 이혼한 뒤에도 작중 등장인물들은 오은영, 장다야를 제외하면 결혼 시절의 호칭[* 아버님, 어머님, 작은 사모님, 동서, 장인어른 등.]을 그대로 쓰는 것에 비판이 있다. 오은영이 귀에 들어가면 화를 내는 걸 보면 딱히 이 작품 세계관만의 상식이나 예의는 아닌 걸로 보이나,[* 단, 마지막 화에서 김도란과 왕대륙을 잇기 위해 [[강수일(하나뿐인 내편)|강수일]]을 찾아갔을 때는 재혼시킬 의사가 있다는 걸 밝히기 위함인지 사돈이라고 불렀다. 장다야도 마찬가지로 선역화 한 이후로는 김도란을 형님이라고 부른다.] 문제는 오은영 말고 작중에서 따지는 사람이 없고 오은영이 따져도 수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거다. 호칭만 보면 이혼이 아니라 별거를 한 거라고 봐도 무방. 특히 이혼 후 김도란은 왕대륙에게 마음 정리하자고 몇 번이나 진지하게 말하면서 저 호칭은 변경하지 않는 모습은 그야말로 코미디나 다름없다. * 해당 드라마 종영 이후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후속작들이]] [[사랑은 뷰티풀 인생은 원더풀|연이어 혹평받자]] 이 드라마는 [[다시 보니 선녀 같다|막장이어도 기본적인 재미는 있었다는 식으로 의문의 재평가를 받고 있다(...)]] 심지어 [[김사경|같은 작가]]의 [[신사와 아가씨|후속작]]마저도 이 드라마보다도 못하다는 평을 받으며 또다시 의문의 재평가를 받았다.[* 근데 이것도 [[현재는 아름다워|후속작들이]] [[삼남매가 용감하게|줄줄이]] [[진짜가 나타났다!|망하면서]] 이 드라마와 비슷한 루트를 타고 있다.] 사실상 KBS 주말 드라마의 마지막 불꽃 아니였냐는 평도 나오고 있다. == 배우 관련 일화 == * 초기 제목은 '''"아름다운 내 편"'''이었으나, 이후 '''"하나뿐인 내편"'''으로 변경되었다. [[https://osen.mt.co.kr/article/G1110938559| ]] * [[최수종]]이 [[대왕의 꿈]] 이후 5년 만에 지상파 드라마로 복귀한 작품이다.[* [[임진왜란 1592]]는 시사교양국 제작에 장르상 [[시사교양]]이므로 제외.] 또한 《저 푸른 초원위에》이후 15년 만에 KBS 주말극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또한 [[프레지던트(드라마)|프레지던트]] 이후 7년만에 출연한 현대극이며, [[이두일]]과 재회했다. 그리고 이 드라마로 복귀하면서 같은 시기에 부인 [[하희라]]도 KBS 드라마에 출연하게 되었는데, 최수종은 [[주말 드라마]], 하희라는 [[차달래 부인의 사랑|아침 드라마]]에 출연했다. 통상적으로 두 드라마는 장편으로 6개월 가량 방송되므로 종영도 비슷한 시기에 할 가능성도 높다. 게다가 맡은 캐릭터의 과거 때문인지 다이어트를 엄청나게 해서 사극에서 흔히 보던 최수종의 얼굴이 아닌 피골이 상접할 수준으로 마른 모습으로 등장한다. 사극에서 최수종을 보다가 이 드라마를 보면 최수종이 "아픈 거 아니냐"는 반응이 나올 정도이다. * [[정재순]], [[이두일]], [[진경]]은 [[힘내요, 미스터 김!]] 이후로 5년 만에 재회했다. * [[차화연]], [[진경]], [[윤진이]]는 [[괜찮아, 사랑이야]] 이후로 4년 만에 재회했다. * [[이장우(배우)|이장우]]의 [[전역]] 후 복귀작이자, [[오자룡이 간다]], [[장미빛 연인들]]에 이어 이 작품에서도 남자 주인공으로 출연하면서 [[김사경]] 작가의 작품에서 세 번이나 남자 주인공 역을 차지했다. [[정은우(배우)|정은우]]와는 [[웃어라 동해야]] 이후로 7년 만에 재회했다.[* 두 사람은 작중에서 형제로 나오는데, 실제 두 사람은 [[동갑]]이다. 그리고 [[이장우(배우)|이장우]]와 [[정은우(배우)|정은우]]는 웃어라 동해야에서는 악역으로 나왔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형제로 만났다.] 이장우의 특이점인 [[걸그룹]] 출신 배우와 부부가 된다는 점[* [[웃어라 동해야]]에서는 [[쥬얼리]] 출신 [[박정아]]와 결혼했고, 이어 [[오자룡이 간다]]에서는 [[LUV(걸그룹)|LUV]] 출신 [[오연서]]와 결혼했으며, 세번째로 [[장미빛 연인들]]에서는 [[시크릿(아이돌)|시크릿]] 출신 [[한선화]]와 결혼했다. 심지어 드라마는 아니지만 [[예능 프로그램]]인 [[우리 결혼했어요]]에서는 걸그룹 [[티아라(아이돌)|티아라]]의 [[함은정]]과 가상 부부로 나오기도 하였다.]이 이 드라마에서도 이어진다. 이 드라마에서는 여주인공이 [[애프터스쿨]] 출신 [[유이(배우)|유이]]이다.[* 이장우와 유이는 [[뮤직뱅크]]에서 MC로 호흡을 맞춘 적이 있다.] 그리고 [[예쁜 남자(드라마)|예쁜 남자]] 이후 4년 8개월만의 KBS 드라마 출연이고, [[수상한 삼형제]] 이후 8년만에 KBS 주말극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 [[정은우(배우)|정은우]]도 [[돌아온 황금복]] 이후 3년만의 복귀작[* [[2016년]]에 [[SBS]]의 '미스터리 신입생'이라는 2부작 드라마에 출연하기는 했는데, 특별출연이므로 제외.]이자 소집 해제 후 복귀작이며, [[이혜숙]]과도 [[잘 키운 딸 하나]], [[돌아온 황금복]]에 이어 세 번째로 같이 출연한다. [[돌아온 황금복]]에서는 [[이혜숙]]과 [[정은우(배우)|정은우]]는 모자관계로 출연했다. * [[박상원(배우)|박상원]]은 [[내 딸, 금사월]] 이후 2년 7개월만에 드라마 복귀작이고, [[힐러(드라마)|힐러]] 이후 3년 7개월만의 KBS 드라마 출연이다. 또한 [[장미빛 연인들]] 이후 3년 5개월만에 다시 김사경 작가 드라마에 출연한다. 그리고 [[최수종]]과는 [[1996년]] [[첫사랑(KBS)|첫사랑]] 이후 22년만에 재회한다. * [[임예진]] 또한 [[장미빛 연인들]] 이후로 김사경 작가와 재회하고, [[그래, 그런거야]] 이후로 [[정재순]]과도 재회한다. * [[정재순]]과 [[이혜숙]]은 [[파랑새의 집]] 이후로 재회한다. * [[김사경]]은 [[미우나 고우나(KBS)|미우나 고우나]] 이후로 10년만에 [[KBS]]에서 드라마를 집필하게 되었다. 다만, [[일일 드라마]]였던 10년 전 작품과는 달리 이번 작품은 주말 드라마이고 심한 막장 드라마라는 것이 차이점이다.[* 미우나 고우나도 막장이긴 하지만 공동집필이었기 때문에 이 정도로 심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이번에도 데뷔작을 제외하고 역시나 6글자 제목으로 이름을 지었다. 그의 대표작 중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던 [[미우나 고우나(KBS)|미우나 고우나]]를 비롯해, [[천만번 사랑해]], [[내사랑 내곁에(SBS 드라마)|내사랑 내곁에]], [[오자룡이 간다]], [[장미빛 연인들]][* [[이장우(배우)|이장우]]와 [[임예진]], [[박상원(배우)|박상원]] 모두 [[장미빛 연인들]]에 함께 출연한 적이 있다.], [[불어라 미풍아]] 등 (데뷔작을 제외하고) 모든 드라마의 이름을 항상 여섯 글자로 짓는다. 흥행이 잘 되길 바라는 기원에서다.[* 신기한 점은 [[미우나 고우나(KBS)|미우나 고우나]] 이전까지의 김사경 작가의 드라마는 모두 [[KBS]]에서 방영했는데 이후의 [[천만번 사랑해]]와 [[내사랑 내곁에(SBS 드라마)|내사랑 내곁에]]는 [[SBS]], [[오자룡이 간다]]와 [[장미빛 연인들]], [[불어라 미풍아]] 까지는 [[MBC]]에서 방영하다가 하나뿐인 내편과 [[신사와 아가씨]]는 다시 KBS에서 방영했다는 것이다.] * [[유이(배우)|유이]]는 [[2011년]] [[오작교 형제들]] 이후 7년만의 KBS 주말극 출연이다. 복귀로 따지자면 MBC 주말 특별기획 [[데릴남편 오작두]] 이후 4개월 만이다. * [[나혜미]]가 결혼 후 출연하는 첫 작품이자, [[사랑은 노래를 타고]]에 잠깐 출연한 이후로 4년 만에 이루어지는 드라마 출연이다. 드라마, [[시트콤]]까지 다 통틀어서 고정 여부로 따지면 [[거침없이 하이킥]] 이후로 11년 만에 고정출연하게 되는 셈이다. == 여담 == * 가수 출신 배우들이 많이 출연한다. 여주인공 유이부터가 출신이다. 하지만 중간에 애프터스쿨에서 탈퇴를 한 상황이지만 애프터스쿨은 그 전부터 사실상 해체수순을 밟고있다. 남주인공 이장우 역시 24/7 출신이다. 참고로 24/7은 앨범 한장 내고 해체. 쓰러진 유이를 구해준 송원석은 그룹 [[원오원]] 멤버로 배우 그룹이긴 하지만 음반을 3장 정도 발매했다. 최수종의 교도소 후배 강두는 혼성그룹 더 자두 출신이다. 강두는 중간에 더 자두에서 탈퇴하였다. 그 외에도 김도란의 친구인 유진 역의 임지현은 과거 무방비도시,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의 OST에 참여했으며 [[장소영]] 역의 [[고우리]]는 [[레인보우(아이돌)|레인보우]] 출신, 초반에 특별출연으로 나온 박하나는 혼성그룹 퍼니 출신이다. 정은우 매장 직원 이주빈은 가수로 정식 데뷔하지 않았지만, 레인보우 데뷔 전 멤버였다. 단, 위에 [[장소영]] 역으로 나온 고우리와는 접점은 없었다. * 일본에서도 더빙으로 방영한다고 한다. == 논란 == * 작중에서 [[왕대륙(하나뿐인 내편)|왕대륙]]과 술자리를 가진 [[장소영]]이 만취 상태의 왕대륙을 집에 데려다 주는 장면이 나와 논란이 되었다. [[http://m.chosun.com/news/article.amp.html?sname=news&contid=2019021802229|기사]] [[장소영]]이 직접적으로 술을 마시는 장면이 나오지는 않지만 정황상 [[장소영]] 역시 술을 마셨다고 밖에 볼 수 없는 상황인지라 가뜩이나 여러 사건 사고들로 인해 음주운전에 민감한 상황에서 지상파 드라마에서 음주운전 장면이 나왔다며 비난의 목소리가 많다.[* [[로맨스는 별책부록]] 역시 비슷한 논란이 있었다.] * [[한국방송공사|KBS]] [[왜그래 풍상씨|수목 드라마]], [[비켜라 운명아|일일 드라마]], '''주말 드라마''' 전부 [[장기이식|간이식]] 이야기가 나와서 일부 네티즌들에게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왜 그래 풍상씨]]는 기획 초기부터 간 이식의 설정이 있었으며 원래는 2018년 KBS 주말극으로 기획되었다. [[http://www.osen.co.kr/article/G1111092041|링크]],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962080|네이버]] == 수상 == ||
{{{#646464 '''수상 연도'''}}} || {{{#646464 '''시상식'''}}} || {{{#646464 '''부문'''}}} || {{{#646464 '''수상자(작)'''}}} || ||<|9> 2018년 ||<|9> [[KBS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상 || [[최수종]] || || 여자 최우수상 || [[차화연]] || ||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 [[이장우(배우)|이장우]] || ||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 [[유이(배우)|유이]] || || 여자 조연상 || [[윤진이]] || || 남자 신인상 || [[박성훈(배우)|박성훈]] || ||<|2> 베스트커플상 || [[이장우(배우)|이장우]] & [[유이(배우)|유이]] || || [[최수종]] & [[진경(배우)|진경]] || || 작가상 || [[김사경]] || ||<|2> 2019년 || 제31회 한국PD대상 || 탤런트부문 출연자상 ||<|2> [[최수종]] || || 제1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연기대상''' || [[분류:하나뿐인 내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