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소수자)] [[영어]]: '''{{{#ff69b4 Pinkwashing}}}''' [목차] == 개요 == [[성소수자]] 인권이나 그들의 다양성을 순수한 [[인권]] 개념에서가 아닌 '''상업적'''이거나 '''정치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는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면서 환경보호 운동으로 기업 이미지를 세탁하는 [[그린워싱]]을 퀴어 인권운동에 맞춰 쓴다 생각하면 된다. 한국에서는 인권운동계 전반에서 비판적으로 사용하는 개념이다. 또한 핑크색을 상징으로 쓰는 유방암 자선단체의 이름을 들먹이며 도를 넘은 마케팅을 시도할 때도 핑크워싱이란 말로 비판하곤 한다. == 사례 == === 이스라엘 === 핑크워싱 개념을 언급할 때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나라가 '''[[이스라엘]]''' 이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과 이슬람 문화권을 비판하기 위해 무슬림 사회에서 만연한 [[성소수자]] 혐오를 부각한다. 특히 이스라엘에 대한 정당한 비판조차도 [[반유대주의]]로 몰아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스라엘 내부에 만연한 인권 탄압, 인종차별 문제와 군국주의가 존재한다. 핑크워싱이라는 용어는 [[보이콧, 투자철회 및 제재]] 등을 비롯한 [[반시오니즘]] 관련 활동에서 많이 언급된다. 다만 반시오니즘=BDS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퀴어 진영과 반시오니즘 진영 간 갈등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https://read.dukeupress.edu/glq/article-abstract/28/2/315/294540/Rehashed-Liberalism-the-Accusation-of-Radical|#]] 대한민국에서 열린 [[성소수자 인권포럼]] 중 [[http://lgbtpride.tistory.com/1385|이스라엘의 핑크워싱을 비판하는 토론]]이 열리자 [[이스라엘인]]들이 와서 발제자를 반유대주의자로 몰아간 사례가 있다. 다만 이스라엘 측에서는 이러한 비판을 반유대주의에 입각한 혐오 선동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https://www.huffpost.com/entry/the-hideous-hypocrisy-of-bds-and-pinkwashing_b_5931d588e4b062a6ac0acfbb|관련 기사]] 이스라엘이 핑크워싱을 한다는 주장은 반이스라엘적 진영에서 많이 주장하는데 주로 팔레스타인과 서구권 [[좌파]] 진영에서 두드러진다. 이들 중 반유대주의 사상을 지닌 사람이 꽤 있다. [[조지 갤러웨이]] 등이 대표적. [[제러미 코빈]]이나 [[레베카 롱베일리]] 등 [[강성좌파(계파)|노동당 강경파]]도 이러한 논란이 있다. === 구미권 === [[구미권]]에서는 기성 [[보수주의|보수파]]나 [[극우]]주의 세력이 외연 확대를 위한 핑크워싱의 차원에서 성소수자들을 장려하는 정책이나 성소수자 친화적 강령을 채택하기도 한다. [[독일을 위한 대안]] 같은 데서는 아예 프라이드 퍼레이드에서 자기네 깃발 들고 돌아다니기도 했다(...) 이렇게 [[성소수자 보수파|성소수자 보수주의]] 현상을 우려하는 이들은 순진한 성소수자들이 핑크워싱에 속아 넘어갈까봐 걱정된다며 핑크워싱에 이용당하는 보수파를 까는 사람들도 적지 않으며, 같은 이치로 성소수자 보수주의자들도 적당히 주변 눈치를 보면서 알아서 기기도 한다. 프랑스 극우정당인 [[국민연합(프랑스)|국민전선]]의 부대표 플로리앙 필리포만 해도 남성 동성애자임은 아웃당한 것이지 자의로 커밍아웃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이외에도 [[마르크스주의]] 계열의 성소수자 운동가들은 [[프라이드 퍼레이드]]가 상업적으로 변질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동성결혼]] 법제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쟁취한 후 성소수자 운동권이 목표의식을 상실하고 표류하는 과정에서 여러 대기업들이 이미지 세탁을 위해 프라이드 퍼레이드에 참여하며 빚어지곤 한다. 해외 게임 제작사들이 사내에서 각종 성범죄를 일으키면서도 마케팅적으로 무지개색 기업로고를 사용하며 퀴어 퍼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한 이런 식으로 성소수자를 기업의 PR에 이용하는데 막상 성소수자에 대한 인권 탄압이 있는 [[러시아]], [[튀르키예]],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중동 국가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는 막상 이러한 PR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한 이중성을 조롱당하기도 한다. [[https://knowyourmeme.com/memes/events/bethesda-pride-month-logos|#]] === 대한민국 === 대부업체 [[러시앤캐시]]가 [[드랙]] 아티스트 [[나나 영롱 킴]]을 사용한 대출 광고를 하였다.[[https://www.newstree.kr/newsView/ntr202110070001|#]] == 관련 문서 == * [[그린워싱]] * [[퍼플워싱]] * [[핑크자본주의]] * [[자유주의적 호모포비아]] [각주] [[분류:성소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