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3847%, #993847%, #993847%, #993847)" '''{{{#white 제48대 테네시 주지사[br]{{{+1 필립 노먼 브레데슨 주니어}}}[br]Philip Norman Bredesen J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hil-Bredesen-Bio (1).jpg|width=100%]]}}} || ||<|2> '''출생''' ||[[1943년]] [[11월 21일]] ([age(1943-11-21)]세) || ||[[미국]] [[뉴저지주]] 오션포트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가족''' ||안드레아 콘테(배우자)[br]슬하 1명 || || '''학력''' ||[[하버드 대학교]] {{{-1 ([[학사|B.A.]])}}} || || '''종교''' ||[[장로회]] || || '''신체''' ||170cm,84kg || ||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경력''' ||[[내슈빌|데이비슨 카운티]] 시장 ,,,(1991~1999),,, [br] ''' 제48대 테네시 주지사''' ,,,(2003~2011),,,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hilBredesen, 크기=20)]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Phil_Bredesen_signature.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인. 2003년부터 2011년까지 [[테네시]] [[주지사]]를 역임했다. == 생애 == [[뉴저지주]] 오션포트에서 태어나 [[뉴욕주]]에서 자라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는다.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유진 매카시]]를 지지했고, 1970년에는 [[매사추세츠 주]] 주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하지만 공화당 후보에 밀려 떨어진다. [[제약회사]]에서 일하다 [[테네시주]] [[내슈빌]]로 이주해 1987년 내슈빌 시장 선거에 출마하지만 [[외지인]] 디버프를 받아 결선투표에서 낙선한다. 그러나 4년 후에는 현직 시장이 불출마해 넉넉한 격차로 승리한다. 시장직 중 출마한 [[1994년]] 주지사 선거에서는 낙선하지만[* [[뉴트 깅리치]]의 "[[공화당 혁명]]"으로 남부에서 민주당은 막대한 의석을 잃는다.테네시에서도 동시에 치러진 연방상원의원 정규선거,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모두 큰 차이로 낙선한다. 94년 이후로 민주당원은 단 한 번도 테네시주의 연방상원의원으로 선출되지 못했다.], 1995년 시장 재선에 성공한다. [[2002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다시 민주당 주지사 후보로 뽑힌 브레드슨은 94년과 달리 주지사로 당선되고, [[2006년 미국 중간선거]]에서도 압도적으로 재선에 성공한다. 주지사 임기 도중 주 [[메디케이드|의료보험]]을 개혁하고, 아동복지와 환경보호를 확대했으며, [[폭스바겐]] 공장을 유치하고, [[2008년 세계금융위기]]도 극복하는 업적을 남겼다. [[2018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 현역 상원의원인 밥 코커[* 테네시주 연방상원의원(2007~2019), 온건한 보수주의자로 [[도널드 트럼프]]와 갈등했다. 그래서인지 같은 공화당인 [[친트럼프]] 성향인 [[마샤 블랙번]]을 후임으로 지지하지 않았다.]가 은퇴하자 상원의원 출마를 선언한다. 자신을 [[온건주의(미국)|온건주의자]]라고 주장한 브레드슨은 상대 후보인 [[마샤 블랙번]]을 극우 보수주의자라고 주장하며, 중도적인 공악을 내었다.[* 보수파를 안심시키고 전국 민주당과 구별되기 위해 [[브렛 캐버노]] 인준에도 찬성했다.] 최종 결과는 43.9%를 받아 2년 전 34.7%를 받은 [[힐러리 클린턴]]보다 훨씬 선전했으나 결국 10%p 격차로 낙선한다.[* 12년 전 주지사 선거에서는 주의 모든 [[카운티]]에서 승리했지만, 2018년에는 단 3개 카운티([[멤피스(미국)|셸비 카운티]],[[내슈빌|데이비슨 카운티]],헤이우드 카운티)에서만 승리했다.] 여담으로 [[테일러 스위프트]]가 선거 중 브레드슨 지지 선언을 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70 || 매사추세츠 주 상원의원 선거 || 미들섹스 카운티 7구 || [include(틀:민주당(미국))] || - (-%) ||<|2> 낙선 (2위) || || 1987 || 내슈빌 시장 선거 ||<|2> [[내슈빌|데이비슨 카운티]] ||<|2> [include(틀:무당파)] || - (-%) || || || 1987 || 내슈빌 시장 선거 || '''- (-%)''' || '''당선 (1위)''' || '''초선''' || || 1994 || [[1994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 [[테네시]] || [include(틀:민주당(미국))] || 664,252 (44.67%) || 낙선 (2위) || || 1995 || 내슈빌 시장 선거 || [[내슈빌|데이비슨 카운티]] || [include(틀:무당파)] || '''- (-%)''' ||<|3> '''당선 (1위)''' || '''재선''' || || 2002 || [[2002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4> [[테네시]] ||<|3> [include(틀:민주당(미국))] || '''837,284 (50.65%)''' || '''초선''' || || 2006 || [[2006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 '''1,247,491 (68.60%)''' || '''재선''' || || 2018 || [[2018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985,450 (43.92%) || 낙선 (2위) || [[분류:1943년 출생]][[분류:몬머스 카운티(뉴저지)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테네시 주지사]][[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미국의 장로회 신자]][[분류:하버드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