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네덜란드의 前 축구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et Keizer Ajax.jpg|width=150%]]}}} || ||<-2> {{{#000,#e5e5e5 ''' 이름 ''' }}} || {{{+1 '''피트 케이저르''' }}}[br]'''Piet Keizer''' || ||<-2> {{{#000,#e5e5e5 '''본명'''}}} ||페트뤼스 요하너스 "피트" 케이저르 [br] Petrus Johannes "Piet" Keizer || ||<-2> {{{#000,#e5e5e5 '''출생'''}}} ||[[1943년]] [[6월 14일]] / [br] [[네덜란드]] 노르트홀란트주 [[암스테르담|암스테르담시]] || ||<-2> {{{#000,#e5e5e5 '''사망'''}}} ||[[2017년]] [[2월 10일]] (향년 73세) || ||<-2> {{{#000,#e5e5e5 '''국적'''}}} ||[[네덜란드]]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8]]]] || ||<-2> {{{#000,#e5e5e5 '''신체'''}}} ||[[키(신체)|키]] 183cm || ||<-2> {{{#000,#e5e5e5 '''직업'''}}} ||[[축구선수]]([[윙어|레프트 윙]] / ^^은퇴^^) || ||<-2> {{{#000,#e5e5e5 '''소속'''}}} ||'''[[AFC 아약스]] (1961~1974)''' || ||<-2> {{{#000,#e5e5e5 '''국가대표''' }}} ||34경기 11골^^([[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1962~1974)^^ || [목차] [clearfix] == 소개 == > '''"[[요한 크루이프|크루이프]]가 최고였다. 그러나 케이저르가 더 나았다."''' > ---- > 니코 쉬프마커 [[AFC 아약스]]의 [[원 클럽 플레이어|원클럽맨]]이자 [[프랜차이즈 선수|프랜차이즈 스타]]로 [[1970년대]] 아약스의 전성기를 이끈 주역 중 한 명이다.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크루이프와 케이저르.png|width=100%]]}}} || || '''{{{#fff 요한 크루이프와 함께 }}}''' || 1961년에 [[AFC 아약스]]에 데뷔한 케이저르는 1965년 [[리누스 미헬스]]가 감독으로 부임한 후 [[요한 크루이프]]의 등장으로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에레디비지에]]를 제페하게된다. 케이저르는 크루이프와 함께 공격진에서 '로얄 페어'를 형성하며 막강한 화력을 보여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크라위프, 바소비치, 케이저르.jpg|width=100%]]}}} || || '''{{{#fff [[요한 크루이프|{{{#fff 요한 크루이프}}}]], [[벨리보르 바소비치|{{{#fff 벨리보르 바소비치}}}]], 피트 케이저르}}}''' || 1965-66 시즌 처음으로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에레디비지에]]를 제패한 후, 1966-67 시즌에는 리그 122골을 득점하는 등 엄청난 화력을 보여주었고, 그런 아약스는 유럽마저 집어삼킬 기세였으나 1968-69 시즌 [[지아니 리베라]]와 피에리노 프라티가 이끄는 [[AC 밀란]]에게 4:1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그치고만다. 네덜란드 클럽 최초로 [[유로피언컵]] 우승 타이틀은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에게 빼앗겼으나 1970-71 시즌 [[페렌츠 푸스카스]]가 이끄는 [[파나티나이코스 FC]]를 2:0으로 격파하고 마침내 [[빅 이어]]를 차지한다. 미헬스가 떠난 후 [[슈테판 코바치]]가 부임하였고, 아약스는 1971-72 시즌에는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를 1972-73 시즌에 [[유벤투스 FC]]를 꺾고 [[빅 이어]]를 차지하며 이탈리아 [[카테나치오]]의 자존심을 무너뜨렸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73년 아약스.png|width=100%]]}}} || || '''{{{#fff 1973년 유로피언컵을 제페했던 아약스 }}}''' || 1973년 아약스의 주장이었던 스야크 스바르트가 은퇴한 후 케이저르는 아약스의 주장을 맡았으나 기량이 하락하면서 결국 1974년 은퇴를 선언한다.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et Keizer Netherlands.jpg|width=100%]]}}} || 케이저르는 1962년 네덜란드령 안틸러스 제도[* 현재는 퀴라소, 아루바 등의 국가로 분화되었다.]를 상대로 데뷔했다.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년 서독 월드컵]]에 참여했으나 [[로프 렌센브링크]]에 밀려 몇경기 나서지 못했다. 12년이나 국가대표 생활을 했으나 출장이 34경기밖에 되지 않는 이유는 케이저르보다 뛰어난 선수들이 즐비했다기보다는 클럽을 우선시한 네덜란드의 경향도 있다. [[요한 크루이프]]도 마찬가지. [[AFC 아약스]],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이 유럽 무대에서 성공적인 모습을 보인 것은 [[1970년대]] 초반부터였으나 정작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 네덜란드의 이름은 없었다. 물론 케이저르의 성격과 페예노르트의 전설적인 윙어인 코엔 물라인의 존재도 있었다. 케이저르의 성격은 상당히 나빴고 실수로 주심의 얼굴을 가격해 1년 출장정지 당한다던가 하는 일도 있었다. == 플레이 스타일 == 당대 최고의 레프트 윙어로, 드리블 돌파 능력, 크로스 능력이 대단했다. 아약스의 돌격대장 격의 선수로 수비진을 뒤흔드는데 일가견이 있었다. == 여담 == * [[AFC 아약스]]의 최전성기의 일원이지만 [[리누스 미헬스]]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그럼에도 미헬스가 케이저르를 기용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케이저르만한 선수가 없어서였다. 미헬스와 케이저르의 사이가 얼마나 안좋았나면 둘 사이에 2년 동안이나 대화가 없었다는 말이 이를 방증한다. * 1971년 [[리누스 미헬스]]가 [[AFC 아약스]]를 떠나 [[FC 바르셀로나]]로 이적했을때 케이저르는 테이블에 올라가 춤을 췄다고 한다.(...) 그럼에도 그는 동료들의 신뢰를 받았는데, 1973년에는 동료들의 투표로 주장에 뽑히기도 했다. * 은퇴할때 공식석상에서 '''"다시는 [[축구]]를 안하겠다!"'''라고 선언했다. 시간이 흘러 유소년팀 경기를 관전하는 도중 공이 카이저에게 굴러오자 다시 보내주지 않고 그냥 흘려보냈다는 일화가 있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Cruijff-Keizer.jpg]] * 물론 은퇴 이후 [[요한 크루이프]]와 함께 경기에 나서기도 했다. [각주] [[분류:1943년 출생]][[분류:2017년 사망]][[분류:폐암으로 죽은 인물]][[분류:네덜란드의 축구선수]][[분류:공격수]][[분류:AFC 아약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분류:네덜란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74 FIFA 월드컵 서독 참가 선수]][[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우승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