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복면가왕의 출연자, rd1=김영철(코미디언))] [include(틀:평면기하학)] ||
{{{+3 '''피타고라스 정리'''}}}[br]Pythagorean theor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타고라스 정리.svg|width=100%]]}}} || || {{{+1 [math(a^2+b^2=c^2)]}}} || ||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이의 제곱은 나머지 두 변의 길이를 제곱한 뒤 더한 것과 같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특수각#직각|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math(a,\,b,\,c)][* [math(a,\,b,\,h)] 라고 쓰기도 한다. [math(h)]는 빗변('''h'''ypotenuse)을 뜻한다.]라 하고 변 [math(a,\,b)] 사이 각도가 직각을 이룰 때, 즉 변 [math(c)]가 빗변일때 [math(a^2+b^2=c^2)][* [math(c=\sqrt{a^2+b^2})]로도 쓸 수 있다.] 가 성립함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런 꼴의 [[방정식]]을 피타고라스 방정식(pythagorean equation)이라고도 한다.]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가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하여 '피타고라스 정리'라고 한다.[* [[피타고라스]]가 실제로 이 정리를 증명했는지는 불확실하다. 피타고라스와 동시대 사람들의 기록에는 피타고라스의 수학적 업적에 대한 내용이 없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페르마의 대정리]]의 함수 표현을 빌려 [math(\rm FLT(2))]로 쓰기도 한다. 피타고라스는 이 정리를 발견한 후 기쁨에 가득차 신에게 감사의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 황소 100마리를 바쳤다고.]까지 존재한다. 그러나 이 때문에 [[자연수]]의 비, 즉 [[분수(수학)|분수]]로는 표현할 수 없는 [[무리수]]의 존재가 증명되었다.[* 정확하게 무리수임을 증명한 것으로 기록에 남는것은 [[유클리드]]의 증명. 흔히 아는 대표적인 [[귀류법]]을 이용한 증명 중 하나이다.] 그 후 [[피타고라스학파]]는 혼란에 빠졌다. 피타고라스 학파가 거의 종교 단체 수준이었기에, 세상은 숫자(유리수)만으로 이루어졌다는 진리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함구하고 '신의 실수'로 만들어졌으며 없는 수로 취급하기로 했다. 하지만 히파소스라는 제자가 세상에 알리려다가 참수당했다느니 수장당했다느니 하는 이야기도 있다.[* 정확히는 신념과 어긋나는 사실을 발견했다는 이유로 비밀을 지키기 위해 살해했다고 한다.] 한국 기준으로 중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수학의 진리 중 하나. 본래 3학년 2학기 내용에서 다루었으나 2학년 2학기에서 다루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비상교육|비상]]과 동아출판(강옥기)에서는 중간고사범위([[삼각형]]의 성질 끝나고), 기타 [[출판사]]에서는 기말고사범위(도형의 [[닮음]] 끝나고)에서 배운다.] 다만 2학년 과정에서는 아직 [[무리수]]를 배우지 않았으므로[* 정확히는 무리수가 있다는 식으로 배우고 자세한 건 3학년 때 제곱근 배우면서 배운다.] [[자연수]] 범위 내에서의 [[피타고라스 세 쌍|피타고라스 수]]만 다룬다. 이렇게 한 이유는 세계 국가 대부분이 피타고라스 정리를 중2 나이대에 배우는데[* [[미국]]은 철저하게 수학을 수준별로 운영해서 수학을 잘 하는 학생들은 8학년 때 기하를 배우지만 수학에 약한 학생은 10학년에 배우는 등 유동적이다.] 유독 한국만 무리수와 묶어서 중3 나이대에 배우니 국제적으로 학력을 비교, 평가할 때 문제가 된다는 이유에서이다. 다만 [[일본]]은 아직도 피타고라스 정리가 중3 과정에 있다. 과거 중3 과정에 실려 있었을 시 원의 성질과 같이 나왔다. 참고로 [[유클리드 기하학]]의 평행선 공준과 동치이며, 이와 동치인 명제가 바로 이 정리의 확장인 [[코사인 법칙]]이다. == 증명 == ||[[파일:피타고라스의 증명.svg|height=250]]||[[파일:유클리드의 증명.jpg|height=250]]|| || 피타고라스 본인의 증명'''으로 알려져 있는 것'''[* 피타고라스가 실제로 어떻게 증명하였는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 유클리드의 증명[* 뭔가 중간에 휙 건너뛴 증명이지만... 삼각형 KAB와 삼각형 CAD의 같음을 이용해서 사각형 ADML와 KACH가 면적이 같음 그리고 같은 원리로 CBFG와 LMEB가 같음을 증명하는 유클리드 증명이다.] || * [[https://www.youtube.com/watch?v=CAkMUdeB06o|액체를 이용한 직관적인 확인]] 여러가지 증명법이 있다. 본문에 있는 것은 유클리드의 증명이며, 처음 봤을 때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는 바스카라의 증명이 꼽힌다.[* 어떤 정사각형의 네 변을 [math(a:b)]의 비율로 나눈 후, 나누어진 네 점을 잇는 한 변의 길이가 [math(c)]인 새로운 정사각형을 그려서 원래 정사각형을 새로운 정사각형과 4개의 합동인 삼각형으로 구분하고, "새로운 정사각형의 넓이 = 원래 정사각형의 넓이 + 삼각형 4개의 넓이"임을 이용하여 증명하는 방법. 유클리드 증명법과 함께 중학교 수학 피타고라스의 정리 단원에서 다룬다.] [[http://weteacher.net/math/theorem/Pythagoras.htm|증명법]] * [[유클리드]]의 증명[* [[등적변형]]과 삼각형의 합동을 이용] * 페리갈의 증명 * 아나리지의 증명 * 캄파의 증명 * 바스카라의 증명 * 호킨스의 증명 * 가필드의 증명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아인슈타인]]의 증명[* 아인슈타인이 어렸을 때 발견하였다고 하나, 사실 이미 다른 사람이 발견하여 다음 주석에 나올 Loomis의 책에 실려 있다.] 가장 많이 증명된 정리이기도 하다.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증명들만 모아놓은 책도 있을 정도.[* Elisha Scott Loomis가 쓴 ''The Pythagorean Proposition''이란 책이다. 371개의 정리가 수록되어 있다.] 혹시 다른 증명법이 있으면 학계에 발표해보자. 자신의 이름을 따서 증명법을 만들어줄 것이다. 하지만 이게 말처럼 쉬운 건 아닌 게, 지금까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증명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것만 400개가 넘어간다.[[http://navercast.naver.com/science/math/3877|#]] 그리고 이 방법 중에는 [[제임스 A. 가필드]] 20대 미국 대통령이 발견한 것도 있다.[* 이 네임밸류 때문인지 교과서나 참고서에 이 방법이 같이 실려있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사실 가필드의 증명에 등장하는 사다리꼴을 뒤집어 붙이면 완벽하게 --피타고라스--바스카라의 증명이다.] 2023년에는 미국의 고등학생 두명이서 [[사인 법칙]]을 기반으로 한 증명을 내놓았는데 이게 수학사적 떡밥인 Trigonometry[*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기하학의 한 분야]만을 사용한 피타고라스 정리의 증명이란 이유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는 대수학의 기본정리가 대수학적으로 증명되지 않는 것처럼 불가능할 것이란 주장이 대세였고 대부분의 시도가 순환논증으로 끝나는 문제가 있었다. [[https://doooob.tistory.com/832]]에서 그 증명을 확인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정리의 '역'도 성립하는 명제중 하나다. 즉, 임의의 삼각형이 [math(a^2+b^2=c^2)]을 만족하면 그 사이의 각은 직각이다. 이게 역이 성립한다는 건 [[피라미드]]가 세워질 때부터 세계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귀납적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연역적으로 증명하는 건 은근히 어렵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피타고라스 정리의 역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라고 하여, 직관적으로 이해시킬 뿐 연역적 증명까지 다루지는 않고 있다.[*증명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역을 증명할 수 있다. 코사인 법칙에 의해 [math(a^2=b^2+c^2-2bc\cos A)]이니 [math(a^2=b^2+c^2)]라면 [math(\cos A=0)]이 성립한다. 이 때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는 [math((0,\,\pi))]안에 있으므로 [math(\angle A = \dfrac\pi2)]이다. ■ 여기서 코사인 법칙은 피타고라스의 정리에서 쉽게 증명할 수 있다.][*증명2 길이가 [math(a\le b\le d)]인 직각삼각형을 가정하고, [math(a^2 + b^2 = d^2)]이며, [math((a,\,b,\,d) = (a,\,b,\,c))]에서 합동임을 얻는다.] 이 정리 덕에 [math(\sin^2 \theta + \cos^2 \theta = 1)]라는 식을 유도할 수 있다.[* 직각삼각형의 한 각을 [math(\theta)]라 하고, [math(\theta)]에 대한 밑변의 길이를 [math(a)], 높이를 [math(b)], 빗변을 [math(c)]라 하면 [math(a^2+b^2=c^2)]가 성립하는데, 여기서 양변을 [math(c^2)]로 나누면 [math(\dfrac{a^2}{c^2}+\dfrac{b^2}{c^2}=1)], 여기서 [math(\dfrac ac=\cos \theta)], [math(\dfrac bc=\sin \theta)]이니 [math({\left(\dfrac ac\right)}^2+{\left(\dfrac bc\right)}^2=\cos^2\theta+\sin^2\theta=1)]이 된다.] 피타고라스 정리의 일반화로 [[코사인 법칙]]이란 것이 있다. 쉽게 말하자면 피타고라스 정리 확장팩. 직각삼각형뿐 아니라 모든 삼각형에 대해 성립하는 법칙이다. 위 그림의 기호를 그대로 붙이면 [math(c^2=a^2+b^2-2ab\cos C)]. [math(C=90\degree)]일 때 [math(\cos C=0)]이므로 이 식은 피타고라스 정리가 된다. 제2 코사인 법칙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외되었다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Ⅰ(2015)|수학Ⅰ]]으로 부활했다. 발전형이 있다. 드가의 정리(de Gua's theorem)라는, 3면이 직각삼각형이고 직각인 꼭짓점이 한 점에 모이는 삼각뿔에서 각각 세 직각삼각형의 넓이의 제곱의 합이 나머지 한 삼각형의 넓이의 제곱이라는 버전.[* 직각삼각형인 세 면을 구성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각각 [math(a,\,b,\,c)]라 하면 남은 한 면의 세 변의 길이는 [math(\sqrt{a^2+b^2},\,\sqrt{b^2+c^2},\,\sqrt{c^2+a^2})]이다. 헤론의 공식에 의해 이 삼각형의 넓이는 [math(\sqrt{a^2+b^2}+\sqrt{b^2+c^2}+\sqrt{c^2+a^2}=2s)]라 할 때 [math(\sqrt{s{\left(s-\sqrt{a^2+b^2}\right)}{\left(s-\sqrt{b^2+c^2}\right)}{\left(s-\sqrt{c^2+a^2}\right)}})], 이를 풀어 간략히 하면(가독성 등을 위해 식 전개 주석으로 추가 서술) [math(\dfrac{\sqrt{a^2b^2+b^2c^2+c^2a^2}}2)]이다. 직각삼각형 세 면의 넓이는 각각 [math(\dfrac{ab}2,\,\dfrac{bc}2,\,\dfrac{ca}2)]이므로 드 가의 정리에 대입하면 성립한다.][*식전개 [math(\sqrt{s(s-\sqrt{a^2+b^2})(s-\sqrt{b^2+c^2})(s-\sqrt{c^2+a^2})} \\ = \sqrt{\dfrac{2\sqrt{(b^2+c^2)(c^2+a^2)}+2c^2}4{\cdot}\dfrac{2\sqrt{(b^2+c^2)(c^2+a^2)}-2c^2}4} \\ =\sqrt{\dfrac{(b^2+c^2)(c^2+a^2)-c^4}4} \\ =\dfrac{\sqrt{a^2b^2+b^2c^2+c^2a^2}}2)]] 일반적인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 R^n)]에서 [math(m~(m a^2 + b^2)]이면 그 삼각형은 둔각삼각형이고, [math(c^2 < a^2 + b^2)]이면 그 삼각형은 예각삼각형이다. [math(\textsf{Win} = \dfrac{\textsf{runs scored}^2}{\textsf{runs scored}^2 + \textsf{runs allowed}^2} = \dfrac1{1 + \left(\dfrac{\textsf{runs allowed}}{\textsf{runs scored}}\right)^2})] [[야구]]를 원자단위로 분해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세이버메트릭스]]에서는 팀의 득실점을 가지고 시즌 승률을 예측하는 공식을 개발했는데, 그 공식의 생김새가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닮았다 하여 [[피타고리안 승률]]이라 부른다. 공식은 위와 같은데 해석을 하자면 '''득점의 제곱/(득점의 제곱+실점의 제곱)'''이다.[* 그 밖에 야구에서 수비수 '''3명'''이 모이면 거의 대부분 공을 놓친다는 야타고라스의 법칙이 있다.] ||[math(\sqrt{\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 \begin{cases}\dfrac1h\begin{bmatrix} b & a \\ a & -b \end{bmatrix} \\ \dfrac1h\begin{bmatrix} -b & -a \\ -a & b \end{bmatrix} \\ \dfrac1h\begin{bmatrix} -b & a \\ a & b \end{bmatrix} \\ \dfrac1h\begin{bmatrix} b & -a \\ -a & -b \end{bmatrix}\end{cases}\,{\sf or}\,\begin{cases}\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 \begin{bmatrix} 0 & 1 \\ 1 & 0 \end{bmatrix} \\ \begin{bmatrix} 0 & -1 \\ -1 & 0 \end{bmatrix}\end{cases})]|| [[행렬]]에 나오기도 하는데, [[단위행렬]]의 [[제곱근행렬]] 중에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하는 자연수로 이뤄진 행렬이 등장한다. [[물리학]]에서 [[변위]][* 각이 90도인 직각삼각형에서만]를 구하는데 나오기도 한다. 건축에서는 건축물의 모서리 직각을 잡는 규준틀을 세울 때 응용된다. == 확장 == [[선형대수학]]에서는, [[내적 공간]]으로 이 정리를 확장하여 사용한다. [math(\bf u)]와 [math(\bf v)]가 실벡터로 정의된 내적 공간(real inner product space)에 속하는 직교(orthogonal) 벡터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bf u} + {\bf v}\|^2 = \|{\bf u}\|^2 + \|{\bf v}\|^2)] 내적의 값이 0이 되는 직교 벡터의 성질을 활용하면 쉽게 증명할 수 있다. [math(\mathbb R^2)]에서 위 정리를 생각하면 앞서 설명한 2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피타고라스 정리가 된다. [[복소수]]의 [[절댓값]]을 정의할 때에도 쓰인다. 절댓값의 정의가 __원점으로부터의 거리__이기 때문에 자연스레 나온다. ||[math(z = x+iy)]로 둘 경우 [math(|z| = \sqrt{\Re(z)^2 + \Im(z)^2} = \sqrt{x^2 + y^2})]|| == 여담 == *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 기하학적 도형 중 [[앵무조개]]를 닮은 [[제곱근의 앵무조개]]가 있다. * 피타고라스 정리가 중학교 3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으로 내려간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기하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는 아주 유용한 것 중 하나다. [[닮음]]파트에서 꼼수로 써먹을 수 있다. 그런데 공간에서의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 부분이 교육과정에서 제외되고, 평면의 경우에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관련 심화 문제를 풀이할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차라리 제곱근을 배울 때 같이 배우는 게 더 낫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게다가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당시 중학교 2학년들은 학교를 안 가서 그 '축소된' 피타고라스 정리도 [[EBS]] e학습터로 배운 경우가 매우 많다. *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이 편리한 특성상 고등 수(상) 인수분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적어도 공식이라도 알아두자. *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한 역사를 다룬 "피타고라스의 정리(The Pythagorean Theorem: A 4,000-Year History)"란 책이 나왔지만 현재 품절. *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피타고라스 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 피타고라스 정리 자체가 유클리드적 공간에서의 [[평행|평행선 공준]] 개념을 전제로 하고 성립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구 위에서 직각삼각형을 그리면 세 각 모두 90도인 삼각형이 그려지는데, 이 경우 [math(a^2 + b^2 = 2c^2)]가 되어 피타고라스 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 [[구면삼각형]] 항목을 참고할 것. * 영미권 서브컬쳐계에서는 갑자기 천재가 된 캐릭터가 피타고라스 정리를 줄줄 읊는 식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틀린 버전으로. '이등변삼각형'의 두 변의 '제곱근'의 합은 다른 한 변의 '제곱근'의 합과 같다는 게 주된 바리에이션이다. 그런데 그 이후에 천재가 되는 것은 또 맞는 게 아이러니. * 역수에 대한 버전도 있는데, 역 피타고라스 정리(Inverse Pythagorean theorem)라고 한다. 직각삼각형의 직각을 사이에 둔 두 변의 길이를 [math(a, b)], 직각에서 빗변에 그은 수선의 길이를 [math(h)]라고 하면 || [math(\displaystyle \frac{1}{a^2}+\frac{1}{b^2}=\frac{1}{h^2})] || 이런 식이 성립한다. 증명은 간단한데,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math(a, b, c)], 수선의 길이를 [math(h)]라고 했을 경우,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서 [math(c^2=a^2+b^2)]이 성립한다. 그런데, 직각삼각형의 넓이는 [math(\displaystyle S=\frac{1}{2}ab=\frac{1}{2}ch)]이므로, [math(ab=ch)]가 성립한다. 이 식의 좌우변을 각각 제곱하면 [math(a^{2}b^{2}=c^{2}h^{2})]가 되고, 조금 더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frac{1}{h^2}=\frac{c^{2}}{a^{2}b^{2}}=\frac{a^{2}+b^{2}}{a^{2}b^{2}})]가 된다. 우변을 부분분수로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frac{a^{2}+b^{2}}{a^{2}b^{2}}=\frac{1}{a^2}+\frac{1}{b^2})]가 되므로 증명 완료. == 선분의 명칭 == [[직각삼각형]]의 [[선분]](segment)의 명칭은 밑변과 높이 그리고 빗변이다.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제1권 법칙47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는 밑변의 정보와 높이의 정보가 함께 [[등적변형]]의 원리에서 빗변의 정보를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바꾸어 말하면 각 변의 정보들은 서로 연관되어있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각 변의 정보들에는 선분(segment)의 길이 뿐만아니라 인접한 변들이 만들어내는 각도(angle)도 포함된다. == 관련 문서 == * [[취른하우스 정리]] * [[페르마의 대정리]] * [[제곱근의 앵무조개]] [[분류:삼각형]][[분류:논증 기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