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피지 관련 문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0%, #1353B4 30%, #1353B4 70%, #001F7E);" {{{+1 {{{#fff '''피지 대추장'''}}}}}}[br]{{{#fff '''Monarchy of Fiji | Tui Vit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919_150759_2.jpg|width=100%]]}}} || || {{{#fff '''초대'''}}} ||[[세루 에페니사 다콤바우]] || || {{{#fff '''말대'''}}} ||[[엘리자베스 2세]] || || {{{#fff '''신설'''}}} ||[[1871년]] [[10월 6일]] || || {{{#fff '''폐지'''}}} ||[[2012년]] [[3월 14일]] || ||<|2> {{{#fff '''지위'''}}} ||[[피지]] 전 국가원수 및 [[비주권군주제|비주권군주]] || ||([[영국]] 및 [[영연방 왕국]]의 국가원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피지]]의 전 국가원수 직위이자 전 비주권군주. [[피지어]]로 투이비티(Tui Viti)라고도 불린다. 처음에는 피지 출신인 [[세루 에페니사 다콤다우]]가 피지를 통일하며 신설되었으나 영국의 식민지가 되면서 [[1874년]]에 당시 [[영국 국왕]]이었던 [[빅토리아 여왕]]이 피지 대추장에 즉위하며 이후로도 영국 국왕이 겸임하게 된다. [[1970년]] 피지가 [[영연방 왕국]]으로 독립한 이후에는 [[상징적 국가원수]]가 되었고, [[1987년 피지 쿠데타]]로 인해 공화국으로 전환된 뒤에도 대추장을 우대하여 [[비주권군주제]]로 격하되어 유지되었으나, [[2012년]] 3월 14일 추장 평의회가 폐지되면서 피지 대추장직도 폐지되었다. 이후 2022년 9월 8일 영국 국왕이자 피지의 마지막 대추장이었던 [[엘리자베스 2세]]의 서거로 역대 피지 대추장들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엘리자베스 2세 재위 중에 직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후임 [[찰스 3세]]부터는 더 이상 피지 대추장을 겸하지 않는다. == 역대 대추장 == [include(틀:역대 피지 대추장)] *[[세루 에페니사 다콤바우]](1871년 6월 5일-1874년 10월 10일)[* 유일한 피지 원주민 출신 대추장.] *[[빅토리아 여왕|빅토리아]](1874년 10월 10일[* 영국 여왕 즉위는 1837년 6월 20일이었다.]-1901년 1월 22일) *[[에드워드 7세]](1901년 1월 22일-1910년 5월 6일) *[[조지 5세]](1922년 12월 6일-1936년 1월 20일) *[[에드워드 8세]](1936년 1월 20일-1936년 12월 11일) *[[조지 6세]](1936년 12월 11일-1952년 2월 6일) *[[엘리자베스 2세]](1952년 2월 6일-2012년 3월 14일)[* [[국가원수]]로서의 재위는 [[1987년 피지 쿠데타]] 이전까지였고, 이후에는 [[비주권군주제|비주권군주]]로 격하되어 2012년 추장 평의회 폐지까지 계속해서 명목상 임기를 지냈다.] [[분류:피지 대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