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피오네르, other1=동명의 미사일, rd1=RSD-10 피오네르)] [include(틀:소년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revnost.blogg.se/0004e9fp_139631618.jpg]]}}} || || пионер || [목차] == 개요 == [[소련]] 및 [[공산권]] 국가의 소년단. 공산권판 [[보이스카우트]]라고 할 수 있는데[* 만약 TV 등지에서 소련이 나왔는데 보이스카우트라고 나온다면 100퍼센트 이쪽이다. 서방세계에서는 보이스카우트가 피오네르보다 친숙하기 때문에 이렇게 바꿔 표기하는 것.] 공산당에 의해 운영된다. 사실 창작이라기보다는 스카우트에서 이것저것 배워 온 셈. '피오녜르'(Пионер)[* 'Е'가 '예'로 발음됨. 다른 예로 '[[소비에트|Совет]]'가 있다.]는 [[러시아어]]로 '개척자'란 뜻으로, [[영어]]의 '[[파이오니어]]'(Pioneer)와 같다. 피오네르식 [[경례]], 목에 두르는 [[빨간 마후라]]가 이들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소련뿐만 아니라 1990년대 이전에는 30개국 이상에서 피오네르 조직이 있었다. 꼭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어도 그 나라의 공산당이 자체적으로 피오네르를 운영하기도 했다.~~물론 이름만 피오네르이고 그냥 소년빨치산인 경우도 많다.~~ 북한의 '[[조선소년단]]'이나 [[중국]]의 중국소년선봉대도 피오네르의 일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2.sina.com/U100P200T1D274459F16DT20090930164043.jpg|width=100%]]}}} || || 사진은 중국 소년선봉대의 모습 || 단원의 경례 방식이 특이한데 일반적인 [[거수경례]]처럼 오른손 손끝을 눈썹에 일치시키며 [[경례구호]]를 하는 것이 아니라 손이 머리 위에 올라가도록 하고 Всегда готов!(항상 준비!)이라는 경례구호를 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피오네르식 경례'라고 부른다. 여담으로 [[2008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 국기([[오성홍기]]) 게양 순서에서 56개 소수민족 어린이들이 오성홍기를 [[중국 인민해방군]] 의장대에게 넘긴 후 이 피오네르식 경례를 하는 장면이 그대로 전 세계에 방영되었는데 미국에서 중계를 하던 NBC는 이 부분을 자르고 멀리서 게양하는 것으로 바꿔 내보냈다. == [[소련]]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b/Soviet_Young_Pioneers_in_1983_in_the_Zeravshan_Mountains_of_Tajik_SSR.jpg/800px-Soviet_Young_Pioneers_in_1983_in_the_Zeravshan_Mountains_of_Tajik_SSR.jpg|소련 타지크 공화국의 피오네르, 1983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42ddIgtTGs)]}}} || || 대표적인 소련의 피오네르 노래인 "불을 붙여라, 푸른 밤이여" || 원조격인 소련의 피오네르는 1922년에 조직되어 1991년에 해체되었는데, 10세에서 15세 사이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했으며 기본적으로 [[콤소몰]](공산주의 청년단)의 지도를 받았고 피오네르의 하부조직으로는 октябрята(10월의 아이들)이 있었다. 입단할 때는 각지의 '피오네르 궁전'[* 중국이나 북한에 있는 '소년궁전'의 원조격.]에 있는 레닌 동상 앞에서 선서를 했다. 구호는 "Всегда готов!(항상 준비!)".[* [[보이스카우트]]의 구호 '차리고 있다!(Be Prepared!)'와 같은 의미이다.] 구 소련권에서는 소련 시절에 어린 시절을 보냈던 세대들에게 추억거리이기도 하다. 여름방학 기간에 피오네르에서 운영하는 휴양소[* 대표적인 캠프로는 [[흑해]]변에 있는 [[크림 반도]] [[얄타]]의 아르텍(Арте́к), [[크라스노다르]] 크라이의 오를료노크(Орлёнок) 등이 있다.]에서 캠핑을 하면서 즐겼던 경험은 다들 있기 때문. 물론 피오네르 자체는 [[소련 붕괴]] 이후 사라졌지만 캠핑하면서 놀고 장난치는 전통(?)만은 여전히 살아있다. 피오네르는 소련 붕괴 직후 [[소련 공산당]]이 금지되면서 해체되었으나 소련 공산당이 [[러시아 연방 공산당]]으로 부활함과 동시에 부활하였다. == [[동구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tJF1_gRYB0)]}}} || || 동독의 피오네르 단가 "Wir tragen die blaue Fahne" || [[동독]]의 [[에른스트 텔만]] 피오니어(Pionierorganisation Ernst Thälmann)도 소련과 비슷하게 자유 독일 유겐트(Freie Deutsche Jugend)의 지도를 받았는데 특이하게 파란 마후라를 달았다. 이 단체의 구호는 "평화와 사회주의를 위해 - 항상 준비(Für Frieden und Sozialismus seid bereit – Immer bereit)"[* 평화와 사회주의를 위해는 생략되기도 했다. 한편 서독의 스카우트에서는 Allzeit bereit라고 했다.]. 동독 외에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피오니르(Pionýr),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피오니르(Organizaţia Pionierilor),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디미트로프]] 피오네르(Димитровска пионерска организация "Септемврийче"),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피오네르 동맹(Savez pionira Jugoslavije), [[몽골 인민 공화국]]의 [[담딘 수흐바타르]] 기념 몽골 피오네르 연맹 "아트라스"(Д. Сүхбаатарын Нэрэмжит Монголын Пионерийн Байгууллага "Атлас") 등이 있었다. 체코의 피오니르는 공산주의에서 탈피한 채 지금도 남아 있다. == 중국 == 중국의 중국소년선봉대(정체자: 中國少年先鋒隊, 간화자: 中国少年先锋队, 병음: Zhōngguó shàonián xiānfēngduì, 약칭 少先隊)도 피오네르의 일종으로, 중국소년선봉대 소속 인원은 약 1억 4600만명이며, 기념행사에도 정기적으로 참여한다. 소선대 가입이 의무는 아니지만 왠만한 학생들은 가입을 하는 편이다. 그러나 아무나 가입되는것은 아니고, 최소한의 자격은 보기 때문에 모범생일수록 높은 지위에 오르며, 반대로 학교폭력을 일으키거나 촉법소년질같은 일을 하면 자격이 강퇴당한다. 과거 일부지역에서는 유소년 대상 문화시설 관리도 직접 맡았던 시절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지금은 옛날 얘기이다. == [[북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선소년단)] == [[베트남]] == '[[호치민]] 소년선봉대(Đội Thiếu niên Tiền phong Hồ Chí Minh)'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 같이보기 == * [[빨간 마후라]] * [[아토믹 하트]] - 피오네르: 당작의 [[아토믹 하트#능력|인게임 능력 소개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주인공 캐릭터로, 전형적인 피오네르 단원 복장을 하고 있다. 특유의 [[아토믹 하트/장비#폴리머 장갑|폴리머 장갑]]을 왼손에 쓰고 있는 게 특징. 게임 오버 화면에서 사망 원인을 표시하는 [[데스신|데스 애니메이션]]에서도 등장한다. [[분류:공산주의]][[분류:소년단]][[분류:소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