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br]Piatnitzkysauru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화석.jpg|width=100%]]}}} || ||<-2> [[쥐라기|쥐라기 전기]] ^^{{{-1 토아르시움절}}}^^[br]179,000,000 년 전~177,000,000년 전[br][[남아메리카]] || ||<-2><#f93> [[학명|{{{#000 '''학명'''}}}]] || ||<-2> ''' ''Piatnitzkysaurus floresi'' '''[br]Bonaparte, 1979 || ||<-2><#F96> {{{#000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석형류}}}''' ||[[석형류|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공룡|공룡상목^^Dinosauri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용반목^^Saurischi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수각아목|수각아목^^Theropoda^^]]||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상과}}}]]''' ||†[[메갈로사우루스상과|메갈로사우루스상과?^^Megalosauroidea^^]]^^{{{-1 ?}}}^^||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과^^Piatnitzkysauridae^^||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속^^''Piatnitzky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000 종}}}'''}}}]]''' || ||<-2> *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플로레시 (''P. floresi'')^^{{{-1 [[모식종]]}}}^^[br]Bonaparte, 1979 || ||<-2><#f96> '''{{{#000 '''동물 이명^^Synonyms^^'''}}}''' || ||<-2> * †[[콘도르랍토르|콘도르랍토르 쿠루밀리 ^^''C. currumili''^^]][br]Rauhut, 2005?[* 동물 이명 불확실]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atnitzkysaurus.jpg|width=100%]]}}} || || '''{{{#fff {{{+1 복원도}}}}}}'''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DO5L2XgAEbm6s.jpg|width=100%]]}}} || || '''{{{#fff {{{+1 골격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쥐라기]] 전기 토아르시움절[* 쥐라기 전기 지층 중 제일 최근 지층으로 사실상 중기 지층에 가깝다.] [[아르헨티나]]에서 살았던 소형 수각아목 공룡. 속명의 뜻은 '피아트니츠키 도마뱀'이다. == 특징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atnitzkysaurus,size.png|width=100%]]}}} || || '''{{{#fff {{{+1 인류와의 크기 비교}}}}}}''' || 우선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는 몸길이 약 4.3m, 몸무게는 450kg이다. 가장 큰 특징으로 이 녀석의 앞다리는 다른 [[메갈로사우루스상과]]와 달리 앞다리가 머리의 비율보다 매우 높은 편이다. 상대적으로 가볍게 만들어진 중간 크기의 이족 보행 육식동물이었지만, 이러한 추정은 아성체인 완모식표본에 적용한 것이라 성체는 더욱 컸을 것이다. 튼튼한 팔과 각 발에 4개의 발가락이 있는 강력한 뒷다리가 있다. 좌골의 길이는 423mm이며 두개골의 일부분은 같은 [[메갈로사우루스상과]]인 [[피베테아우사우루스]]와 비슷한 편이다. 벤턴^^(Benton)^^은 [[알로사우루스]]와 일반적으로 닮았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의 견갑골은 더 파생적인 경미류^^(Tetanurae)^^보다 짧고 넓다 . 상완골은 대퇴골 길이의 50%를 차지하며, 이는 기초 수각류 사이에 존재하는 원시적 상태이기도 하다 . 상완골과 대퇴골에 대한 척골의 상대적인 길이는 또한 기초 수각류의 길이와 비슷하다. 즉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의 앞다리가 [[알로사우루스]]보다 비례적으로 더 긴편이며 또한 치골과 좌골 사이의 넓은 접촉이 원시적인 편이다, 접촉이 감소하는 [[알로사우루스]]및 더 파생 된 경미류의 조건과는 훨씬 다르다.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의 치골은 또한 [[알로사우루스]]보다 완만하게 발달된 원위 발을 가지고 있다. 또한 크기 차이는 매우 나는편인데 알로사우루스는 9m,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는 4.3m이다. 같은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공존했던 공룡으론 같은 수각류 [[에오아벨리사우루스]], [[콘도르랍토르]], [[아스팔토베나토르]]와 용각류 [[파타고사우루스]] 등이 있다. 아스팔토베나토르는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보다 훨씬 더 거대한 육식공룡이었으므로 에오아벨리사우루스와 콘도르랍토르처럼 전형적인 중간 포식자 지위를 맡았을 것이다. == 연구사 == 1977년 아르헨티나의 카냐돈 아스팔토^^(Cañadón Asfalto Formation)^^ 지층에서 완모식표본 '''PVL 4073'''은 두개골의 일부분 중 상악골과 몸의 뼈 일부분만 발견 되었다. 화석이 단편적이여서 학자들이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를 다른 공룡의 복원도를 이용해서 복원을 하기도 했었다. 2년 후 보나파르트는 새로운 학명으로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플로레시라 지어준다. 1986년 [[알로사우루스상과]]에 분류되면서 후에 [[메갈로사우리아]]로 분류되었으나 긴 시간이 지난 2012년에서야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과^^(Piatnitzkysauridae)^^라는 새로운 분류를 가지게 되었다. === [[콘도르랍토르]]와 동일 종에 대해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DO5L2XgAEbm6s.jpg|width=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715661_orig.jpg|width=100%]]}}} || || '''{{{#fff {{{+1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의 발견 부위}}}}}}''' || '''{{{#fff {{{+1 콘도르랍토르의 발견 부위}}}}}}''' ||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콘도르랍토르]]와 매우 비슷한 편으로 나뉘는데 일부 학자들의 경우 이들을 동일종으로 보자는 의견도 있다. 다만 화석에서 일부 뼈의 차이가 있는데 [[콘도르랍토르]]의 경우, 천골 중심의 아래쪽 모양은 두 번째 중심은 넓고 평평한 바닥을 가지고 있으며 세 번째 중심은 완만하게 오목하다.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의 경우 두 번째 중심은 매끄럽게 둥글며 세 번째 중심은 정중선을 따라 평평하게 되어있다. == 대중 매체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룡킹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jpg|width=100%]]}}} || * [[일본]]의 카드 리더형 아케이드 게임인 [[고대왕자 공룡킹]]에 등장한 공룡들 중 하나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의 2기에 등장한다. == 관련 문서 == * [[마르쇼사우루스]] * [[콘도르랍토르]] [[분류: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