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haikovsky Piano Concerto No.1 Bb minor Op.23 [목차] == 설명 == [youtube(Rhc-gfxHv_Y)] [[표트르 차이콥스키|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모스크바음악원 교수가 된 지 9년째 되던 해인 1874년에 쓰여졌다. 초연은 [[1875년]] [[10월 25일]] [[보스턴]]에서 피아니스트 [[한스 폰 뷜로]]의 연주에 의해 이루어졌다. 음악원의 원장인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에게 항상 경의를 표하고 있었던 차이콥스키는 피아노 협주곡의 첫 야심작인 제1번을 그에게 헌정하여 직접 초연을 맡아주길 부탁했다. 하지만 악보를 검토한 루빈스타인의 반응은 "협주곡의 상식에 벗어난 졸작"이라고 '''혹평'''하고는, 상당 부분을 개작하면 초연을 맡아주겠다는 것이었다. 격분한 차이콥스키가 이 제의를 거절하고 독일의 지휘자 겸 피아니스트인 [[한스 폰 뷜로]]에게 부탁했는데, 그로부터는 독창적이고 경탄할 만한 곡이라는 '''정반대'''의 평을 받았다.[* 뷜로가 이 곡의 가치를 알아보고 초연까지 성공으로 이끈데는 리스트 곡 연주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 뷜로의 장기가 발현되었다는 분석이 있다. 3악장에서 현란한 오케스트라와 피아노의 연주가 나오는데 이는 리스트의 스타일에서 받은 영향이 느껴진다.] 미국으로 초청받아 건너간 뷜로는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대성공을 거두었고, 그것은 러시아 작품이 국내에서 초연되던 관례를 깨뜨린 최초의 작품이 되었다. 3년 후 루빈스타인은 차이콥스키에게 사죄하며, 처음에 그를 매도한 것은 그 대곡을 작곡하면서 선배이자 대가인 자기에게 가르침을 받지 않은 것이 괘씸했기 때문이라 했던 후문이 있다. 완성 후 차이콥스키 자신에 의한 소소한 개작이 있었다. 우선 초연을 전후로 하여 오케스트레이션을 다소 수정했으며, 이후 런던에서 이 작품을 초연한 피아니스트 에드워드 단로이터에게 기술적인 조언을 받아 피아노 파트를 수정했다. 처음 완성된 지 약 15년 후인 1889년 비로소 오늘날 연주되는 최종적인 형태가 완성되었다. 사실 이 협주곡의 초반에 나오는 강한 피아노 화음은 개작을 거치기 전 차이코스프키가 처음 작곡했을 때는 아르페지오 형태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iDL0m3JkpM0]] [[http://imslp.org/wiki/Piano_Concerto_No.1,_Op.23_(Tchaikovsky,_Pyotr)|IMSLP 링크]] 처음 들으면 서주 부분의 강한 임팩트에 비해 1악장의 음량은 약한 편이므로 지루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신나는 3악장을 먼저 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러시아 국가 대신 사용되었다.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참조. == 편성 == * 목관: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 금관: 호른(F) 4, 트럼펫(F) 2, 트럼본 3(테너 2, 베이스 1) * 타악기: 팀파니(3개) * 현5부(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 독주 피아노 == 구성 == * 1악장 - Allegro non troppo e molto maestoso – Allegro con spirito (내림나단조 → 내림나장조) 서주가 포함된 자유로운 소나타 형식. 내림라장조의 서정과 열정을 테마로 4박자 내림나단조 화음으로 시작된다. 가장 유명한 부분이기도 한 이 도입부분에서는 특이하게도 1악장이 끝날 때까지 다시는 연주되지 않는다. 도입(서주)부분이 끝나면 서주보다는 비교적 조용한 분위기로 피아노로 1주제가, 클라리넷으로 2주제가 제시된다. 전개부, 재현부를 거쳐 독주 피아노의 [[카덴차]]가 나온다. 이후 피아노로부터 시작되는 코다에 돌입하여 화려하게 끝난다. * 2악장 - Andantino semplice – Prestissimo – Tempo I (내림라장조) 3부 형식. 현의 매우 여린 피치카토로 시작하며, 플룻으로 시작되는 하나의 감미로운 멜로디를 여러 악기가 조금씩 변형하여 돌아가면서 연주하는 형식으로 중간에 Pretissimo로 분위기가 갑자기 바뀌는 부분은 상당히 리드미컬하다. 다시 A'으로 돌아와 ppp로 평안하게 끝난다. * 3악장 - Allegro con fuoco (내림나단조 → 내림나장조) 론도 형식. 3도 또는 옥타브와 꾸밈음으로 이루어진 춤곡의 느낌이 나는 제1주제가 3악장을 전체적으로 구성한다. 1주제의 소개가 끝나면, 앞선 주제와는 분위기가 사뭇 다른, 차분되고 고양되는 느낌을 주는 내림 시 - 도 - 내림 시 - 내림 시로 구성되는 멜로디(제2주제)도 등장한다. 마지막 클라이막스에서는 피아노의 광속 양손 옥타브 스케일 이후 전 오케스트라와 피아노가 2주제를 연주하여 극적인 연출과 함께 감동과 전율을 선사한다. 3악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론도 주제(피아노) → 부주제 → 제2주제(현악, 노래하듯이) → 론도 주제(재현) → 에피소드의 삽입 → 부주제 → 변형된 제2주제(클라이막스) → 론도 주제에 의한 코다. == 국제 [[콩쿠르]]에서의 위상 == '''이 곡이 빠지면 섭섭하다.''' 아예 대놓고 이 곡이 전통의 공식지정곡인 [[차이콥스키 콩쿠르|콩쿨]]도 있고,이 밖에 다른 국제콩쿨들에서도 결선진출자가 3명이면 그 중에 2명은 이 곡으로 연주하는 꼴이고,'''심지어는 결선 진출자 전원이 이 곡을 연주하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일어난다.''' 호불호가 갈릴 염려가 상대적으로 적고 난도도 무난한 곡이라 오늘도 전세계의 국제콩쿠르 준비생들은 연습실에서 이 곡을 치고 있다. == 매체에서의 이용 == * 핑크 마티니의 'Splendor in the Grass'에서 [[샘플링]] [[http://www.youtube.com/watch?v=IcOGbIBpH-I&index=18&list=RDZOWqQsOwzjw|듣기]] * 고전게임 [[시티 커넥션]]의 스테이지 배경음 *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드라마)|베토벤 바이러스]] 13~14화 * [[DJMAX]] 시리즈의 [[피아노 협주곡 1번(DJMAX)]] * [[라바(애니메이션)|라바]] 시즌 2의 '화장실' 편에 등장 * [[파로디우스]] * [[터무니없는 전사 무테킹]] * [[그것만이 내 세상(영화)|그것만이 내 세상]](이병헌, 박정민 주연)에서 후반부 갈라콘서트 장면에서 연주됨[* 1악장의 초반부, 후반부, 3악장의 후반부를 각각 합친 작품이다.] * [[Hooked on Classics]]의 도입부 * [[2020 도쿄 올림픽]]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의 국가 대용[[https://www.youtube.com/watch?v=4D8ygFN1ucY|듣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올림픽 찬가]]를 사용했다.] [[분류:표트르 차이콥스키의 작품]][[분류:피아노 협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