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예술체육단체)] [[파일:external/www.jlcxwb.com.cn/90fba61bf73c11a7d0c402.jpg|width=400&align=right]]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종합예술단. 가극단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가극 공연을 전문으로 하는 단체다. == 역사 == 직계 모체는 1946년에 창단된 북조선가극단이다. 이 가극단은 [[6.25 전쟁]] 직전까지 [[김순남]]의 '인민유격대'와 [[이면상]]의 '춘향전' 같은 북한 초기 [[오페라]]의 공연을 맡았고 전후에도 명칭 개명 없이 계속 가극 상연 위주로 활동했다. 1960년에는 [[평양대극장]]이 완공되자 상주 단체로 들어갔다. 1960년대 후반에 [[김정일]]이 북한 문화예술계의 실권자로 등장하면서 가극단의 성격도 변하기 시작했는데 우선 1971년에 초연된 혁명가극 '피바다'에서 이름을 따 피바다가극단으로 개칭되었다. 저 가극은 이후 연이어 발표된 '꽃 파는 처녀', '밀림아 이야기하라', '당의 참된 딸', '금강산의 노래'와 함께 북한에서 5대 혁명가극으로 칭할 정도로 상징성이 강하며 이후에도 계속 공연되어 2002년에는 총 공연 횟수가 1,500회를 돌파하는 등 가극단의 기본이자 최우선 공연 레퍼토리로 굳어져 있다. 명칭 변경과 동시에 국립가무단과 [[조선국립교향악단]], [[영화 및 방송음악단]]의 단원들이 대거 편입되면서 편제도 대규모화 되었다. 이듬해인 1972년에는 '피바다'의 창작과 상연에 대한 공로로 [[김일성훈장]]을 받았고 [[중국]]을 비롯한 우방국에도 파견되어 해외 공연을 개최하기도 했다. 2008년 무렵부터는 가극 공연 비중이 더욱 확대되어 각각 [[만수대예술단]]과 [[조선인민군협주단]]에서 주로 상연하던 '꽃파는 처녀'와 '당의 참된 딸'을 넘겨받아 상연하고 있다. 2009년 3월에는 중국 문화부의 후원을 받아 1961년 상연된 후 묻혀있던 중국 경극을 소재로 한 북한 가극 '[[홍루몽]]'을 40여 년 만에 리바이벌해 화제가 되었고[* 1960년대 초반까지 북한과 중국 관계는 괜찮은 편이었지만 이후 [[문화대혁명]]이 터지면서 서로를 '극좌 깡패네', '쏘련 후빨러네' 하면서 신나게 물어뜯었다. 특히 일부 [[홍위병]]들이 김일성을 '''관료주의'''라고 극딜하면서 관계가 막장으로 흐르기도 했다. 그 때문에 친선관계 속에서 나온 이 작품도 자동적으로 [[흑역사]]화 되었다.] 이듬해 9월에는 중국 설화를 바탕으로 한 오리지널 중국 가극 '양산백과 축영대'를 [[문화어]]로 번안해 상연하는 등 ~~형님나라 후빨~~외국 소재 혹은 외국 작품의 공연이 조금씩 늘고 있다. == 편성과 활동 양상 == 북한의 여타 종합예술단들과 마찬가지로 이 가극단도 독창 가수들과 무용단, 합창단, 관현악단, 무대기술진 등 가극 공연에 필요한 모든 인원을 단원으로 보유하고 있다. 1980년대 초반에 이 악단에 소속 혹은 부속되어 있던 조선국립교향악단을 비롯한 다른 단체가 독립한 뒤에도 큰 인원 변동 없이 활동하고 있는데, 국립교향악단을 부속 단체로 거느리고 있던 흔적은 가극단 소속 관현악단을 '교향악단'이라고 칭하고 있는 데서 볼 수 있다.[* 다만 서양악기가 중심인 국립교향악단과 달리, 피바다가극단 교향악단은 북한 개량악기와 서양악기가 동등한 비율로 편성된 '전면 배합관현악'편성을 취하고 있다.] 가극 공연이 주가 되는 만큼 북한에서 창작된 수많은 오페라를 비롯한 무대 작품을 초연한 경력을 갖고 있으며, 2000년대 중반까지도 혁명가극 계보를 이은 '사랑의 바다'를 초연하는 등 북한 혁명가극 창작과 상연에서 큰 몫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는 5대 혁명가극 외에 다른 신작 상연 소식이 북한 언론에 언급되지 않는 걸로 봐서는 비중이 약간 줄어든 듯 하다. 물론 가극 외에도 민속무용조곡 '계절의 노래' 같은 무용극 계통의 레퍼토리도 보유하고 있고, 그 외에도 이런저런 노래들이나 합창곡, 무용 소품 등을 공연하고 있다. 본거지인 평양대극장 외에도 당창건 기념일이나 [[조선인민군]] 창군일 등의 특별 공연 때는 다른 예술단과 합동으로 공연하거나 인민문화궁전이나 동평양대극장 등 평양 시내의 여타 공연장을 이용해 출연하기도 한다. 이외에 평양이나 여타 지역에서 경제선동을 위한 지방 공연도 종종 하고 있다. [[조선로동당]] 직속인 만수대예술단의 포스에는 약간 못미치지만, 이 가극단도 이런저런 칭호를 받은 유명 예술인들을 여럿 거느리고 있다. [[조선적]] 출신 예술인들도 종종 눈에 띄는데, 피바다에서 주인공인 어머니 역을 맡았던 여성중음([[메조 소프라노]]) 가수 조청미나 안무가 김목룡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단장(북한에서는 총장이라고 함)은 김수조가 맡고 있었지만, 2010년 11월 말 병사한 뒤로 후임은 불명이다. 약력 란에 언급한 것처럼 2000년대 후반 들어 중국과의 접점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특히 2008년 4월 중순부터 5월 말 사이에 있었던 '꽃파는 처녀'의 중국 순회 공연은 꽤 흥했는지 5월 31일에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추가 공연을 열기도 했다. 이후에도 심지어 1960년대에 나가리시킨 작품이나 중국 작품 번안한 것까지 공연할 정도면 북한도 어지간히 중국의 도움이 급한 모양이다. == 여담 == * [[1972년]] [[중국]] 공연을 마치고 조선민항{{{-1 (현재의 [[고려항공]])}}} 항공기를 이용해 돌아오던 중 [[평양국제비행장]]에서 [[버드 스트라이크]]로 비행기가 추락해 탑승자 전원이 숨져 진짜로 피바다가 된 무시무시한 참사인 [[1972년 피바다가극단 항공기 참사]]가 일어난 적이 있었다.[* 여담으로 같은 공산주의 국가의 악단인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이 항공기와 똑같은 기종을 타고 가다가 추락 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L037cJTZXaY|유튜브(주성하TV)]] [[주성하]] 기자가 [[최익규(1933)|최익규]]가 쓴 《주체예술의 향도성》이라는 책을 읽고 또 구전으로 들은 얘기를 바탕으로 '1971년 아니면 1972년 일어났다'고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 알렸는데 이후 [[북한]] 순천비행장에서 근무했었다는 사람이 댓글을 달아 '1972년'이라고 알려줬다. 그의 발언에 따르면 '[[평양국제비행장]]에서 이륙 직후 한쪽 엔진 고장으로 순천비행장에 비상착륙을 시도했고, 그때 랜딩기어가 부서져서 활주로를 이탈하여 화재가 발생했다'고 한다. 그는 '조종사가 의식을 잃었는지 도어를 개방하지 않았고, 그 때문에 모든 탑승객들이 불에 타서 죽었다'는 얘기와 '순천비행장 인근 금천리로 넘어가는 언덕에 합장묘가 있고, 조종사 무덤은 별개로 되어 있다'는 얘기도 덧붙였다. * [[2014년]]에는 이 가극단의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던 것으로 알려진 평양음악무용대학의 황상혁 교수가 중국에서 열리는 교육연수에 다른 단원 30여 명과 참석했다가 [[실종]]되었다. 북한 당국에서는 이를 [[탈북]]으로 여기고 중국 정부에 체포를 요청하기도 했으나 6년 뒤인 [[2020년]] 황 교수가 [[이제 만나러 갑니다(프로그램)|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출연하였다. 황 교수에 따르면 본인은 이 가극단 소속은 아니었고 본인이 이끌던 팀의 구성원 중 절반이 피바다 출신이었다고. [[분류:북한]][[분류:극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