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에페이로스 국왕)] ||||<#00bfff> {{{+3 '''피로스 2세''' }}}[br]{{{-1 Πύρρος}}} || ||<#00bfff> '''생몰년도''' ||미상 ~ 미상 || ||<#00bfff> '''출생지''' ||[[그리스]] [[에페이로스]] || ||<#00bfff> '''사망지''' ||미상 || ||<#00bfff> '''지위''' ||[[에페이로스]] 국왕 || ||<#00bfff> '''국가''' ||[[에페이로스 왕국]] || ||<#00bfff> '''가족''' ||[[알렉산드로스 2세(에페이로스)|알렉산드로스 2세]](아버지)[br][[올림피아스 2세]](어머니)[br][[프톨레마이오스(에페이로스)|프톨레마이오스]](형제)[br]프티아(누이)[br][[데이다미아]](딸)[br]네레이다(딸) || ||||<#00bfff> 에페이로스의 국왕 || ||<#00bfff> 재위 ||기원전 242년 ~ 미상 || ||<#00bfff> 전임 ||[[올림피아스 2세]](섭정) || ||<#00bfff> 후임 ||[[프톨레마이오스(에페이로스)|프톨레마이오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페이로스 왕국]] 16대 국왕. == 생애 == 에페이로스 왕국 14대 국왕 [[알렉산드로스 2세(에페이로스)|알렉산드로스 2세]]와 [[올림피아스 2세]]의 아들이다. 형제로 [[프톨레마이오스(에페이로스)|프톨레마이오스]], 누이로 프티아가 있었다. 기원전 242년경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그와 프톨레마이오스는 아직 미성년자였다. 그래서 어머니 올림피아스 2세가 섭정 여군(女君)으로서 국정을 이끌었다. [[유스티누스(역사가)|유스티누스]]에 따르면, 올림피아스 2세는 두 아들이 성년이 되었을 때 통치에서 물러났다.[* 기록이 미비해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는 기원전 234년에 사망했고, 그 역시 기원전 234년 이전 또는 직후에 사망했다. 올림피아스 2세는 두 아들의 잇따른 죽음에 슬퍼하다가 사망했고, 왕위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아들 피로스 3세에게 넘어갔다. 아테나이오스에 따르면, 그녀는 피로스 2세가 총애하던 티그리스라는 이름의 루카니아 여인을 독살했다. 이에 분노하여 그녀를 독살했다고 한다. 하지만 학자들은 이 이야기의 신빙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그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인과의 사이에서 두 딸 [[데이다미아]]와 네레이다를 낳았다. 데이다미아는 에페이로스 왕국 최후의 여왕이 되었고, 네레이다는 [[시라쿠사]]의 [[참주]] [[히에로 2세]]의 아들 [[겔론 2세]]와 결혼했다. [[분류:에페이로스 국왕]][[분류:아이아키다이]]